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권혁주
-
신보호무역주의정책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 최근의�� 보호무역주의는 포퓰리즘의 성격이 강하고, 정책적 수단으로 WTO 체제 출범 이후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관세조치를 포함하고 있어 금융위기 이후 경기회복 지연 및 경기침체 상황 장기화 우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중 통상갈등이..
김종덕 외 작성일 2020.05.26 조회수 9,711
-
원청-하청 간 거래관행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 독일ㆍ미국의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 자동차산업에서 완성차기업-부품기업 간 관계는 ‘공정경제’와 ‘혁신성장’이 만나는 지점- 부품기업이 혁신이라는 결과를 낳기 위해서는 연구개발투자라는 투입이 필요한데, 투자의 비용과 이익이 완성차기업-부품기업 간 배분되는 방식이 부..
조동희 외 작성일 2020.04.09 조회수 3,742
-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성장전략: 미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 1990년대 중반 이후 세계경제는 IT 혁명을 바탕으로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 혹은 인터넷 경제(internet economy)로 상징되는 패러다임 전환을 경험 - 경제활동의 무대 역시 전자상거래(e-commerce)나 공유경제(share economy)가 상징하듯..
김규판 외 작성일 2018.01.15 조회수 6,702
-
미국 신정부 통상정책 방향 및 시사점: 미중관계를 중심으로
■ 2016년 11월 8일 열린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제45대 미 합중국 대통령으로 당선-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캠페인 당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라는 슬로건하에 미국은 현재 세계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
윤여준 외 작성일 2018.01.15 조회수 3,991
-
미국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 지속가능성 점검 및 시사점
■ 2007~0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경제는 여타 선진국 대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미국의 2011~14년간의 평균 GDP 성장률은 2.4%(PPP 기준)를 기록하고 있으나 미국을 제외한 G7국가(캐나다,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의 동기..
김원기 외 작성일 2017.01.15 조회수 3,783
-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출구전략 효과 및 시사점
■ 2015년 12월 단행된 미국의 금리인상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통화정책 정상화가 이루어질 전망- 미 통화당국은 2008년 시작된 금융위기의 타개를 위해 다수의 비전통적인(unconventional) 정책도구들을 양산- 이와 관련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윤여준 외 작성일 2016.01.26 조회수 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