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글로벌 환경상품ㆍ서비스 시장개방의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 환경시장 개방 논의가 WTO, 복수국간 협상, 지역ㆍ양자 간 무역협정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2020년 WTO 내 ‘무역과 환경지속가능 협의체(TESSD)’가 출범하였고 2021년 12월부터 환경상품ㆍ서비스 협상 개시를 공식화함.
- 우리나라가 참여 중인 IPEF 및 FTA 협상에서 환경시장 개방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면서 국내산업을 고려한 개방에 대한 입장 정립과 협상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음.
▶ 글로벌 환경상품의 교역은 전체 교역의 18.6%, 우리나라는 세계시장의 5%를 차지(2020년)
- 우리 환경상품 수출입은 아시아권에 집중, 중국은 가장 큰 시장이자 수입원임.
- 환경상품 수입의 경우 FTA를 통해 미국ㆍEU 100%, 중국은 60% 무관세 혜택을 봄.
- 국내 환경서비스 산업은 2013년 29조 원에서 2020년 34조 원으로 연평균 2.2% 성장함.
- 최근 국내 환경서비스 투자는 정체된 상태이고, 기업규모는 영세한 편임.
▶ 환경보호를 위한 통상 측면의 노력은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① 비친환경 상품ㆍ서비스 통상규제 ② 친환경 상품ㆍ서비스 시장개방)으로 요약됨.
- 첫째, 강화된 환경규범을 도입해 비친환경 상품에 대해 추가적인 비용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비친환경 상품의 생산 및 유통을 억제하는 방법과 둘째, 친환경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 비용을 낮춤으로써 관련 상품의 생산 및 교역을 활성화하는 방식이 있음.
첨부파일
-
장첵연구브리핑 23-10 글로벌 환경상품ㆍ서비스 시장개방의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pdf (857.38KB / 다운로드 1,722회)다운로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