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이주관
-
기후클럽 형성에 대한 통상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클럽 형태의 협력이 주요국을 중심으로 형성됨. -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APEC 정상회의, G7 주도의 기후클럽, G20, 미ㆍEU 간 지속가능한 철강 알루미늄 글로벌 협정(GSSA)에..
이주관 외 작성일 2024.08.01 조회수 4,108
-
글로벌 환경상품ㆍ서비스 시장개방의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 환경시장 개방 논의가 WTO, 복수국간 협상, 지역ㆍ양자 간 무역협정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2020년 WTO 내 ‘무역과 환경지속가능 협의체(TESSD)’가 출범하였고 2021년 12월부터 환경상품ㆍ서비스 협상 개시를 공식화함.- 우리나라..
이주관 외 작성일 2023.06.02 조회수 4,370
-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 파리협정체제하 주요국의 그린뉴딜 정책은 교토의정서체제하 주요국 그린회복전략의 틀과 정책간 유사성이 매우 높음. - 현재의 그린뉴딜은 글로벌 경제위기 대응과 교토의정서 체제하의 온실가스 감축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인 08년 그린딜..
이주관 외 작성일 2022.06.17 조회수 77,113
-
FTA 신통상규범에 관한 통상법적 쟁점과 경제적 영향: 환경과 노동을 중심으로
▶ 환경보호 및 노동자 보호와 관련하여 FTA의 물적 적용범위와 의무의 수준이 확대ㆍ심화되는 추세▶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FTA 환경ㆍ노동 의무의 집행 가능성 강화 노력 또한 지속될 전망- 미국은 TPP 협상, USMCA 등에서 일관되게 제재 중심의 ..
이천기 외 작성일 2021.06.14 조회수 6,223
-
WTO 체제의 구조적 위기와 한국의 신 다자협상 대응방향
▶ WTO 다자체제의 구조적 위기- WTO 체제의 구조적 위기 저변에는 WTO 자체의 제도적 취약성이란 문제도 있지만 주요국(특히 미국과 중국) 간 정치적 힘의 대립도 밀접히 연계- 따라서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상당 기간 WTO 다자체제..
서진교 외 작성일 2021.04.27 조회수 7,175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main/img/contents/kogl_number4.jpg)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