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세계지역전략연구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 한류 분석과 문화협력 확대방안: 음악 및 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경제관계

저자 김정곤, 이정미, 윤지현 발간번호 20-02 발간일 202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83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인도 내 한류는 2000년대 초반, 마니푸르를 비롯한 북동부 지방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2010년대 초반까지 인도 본토에서 한류에 대한 관심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비주류 문화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최근 인도의 한류는 K-pop과 K-drama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성장하고 있는 인도의 한류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한류 확산의 배경과 확산 수준, 주요 특징 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인도의 음악 및 영상물 시장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인도는 전통적으로 자국 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국가이지만, 소득증가와 더불어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디지털 플랫폼이 확산되면서 자연스럽게 해외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높아졌는데, 이는 한국 음악과 드라마, 영화 등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2020년에는 인도의 주요 위성방송사들이 한국전용 채널을 열면서 온라인 콘텐츠를 잘 이용하지 않는 계층에도 한류가 확산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인도의 한류 확산 동향을 분석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에서는 K-drama에 대한 관심 수준이 가장 높으며, 그 뒤를 이어 K-pop, K-movie의 순이다. K-drama는 넷플릭스와 아마존 프라임, 그리고 인도 자국 OTT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K-pop은 BTS를 중심으로 인도 전역으로 인기가 확산되고 있다. K-drama, K-pop에서 시작된 한류는 최근 뷰티와 음식, 한국어 학습으로 이어지고 있다.
   둘째, 인도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한류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특기할 점은 K-pop과 K-drama는 최근 동남아시아와 인도의 인기 트렌드가 동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한류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의 실시간 확산이 가능해진 환경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인도에서는 IT, 가전 등 한국의 대표 제품과 브랜드가 광범위한 관심을 받고 있는 반면, BTS와 같은 문화 콘텐츠의 브랜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매년 실시하는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제조업 브랜드와 더불어 K-drama와 K-pop이 한국 연상 이미지로 점차 부상하고 있다. 이는 인도에서도 한류가 한국의 이미지와 결부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넷째, K-drama와 K-pop에 대한 관심은 북동부 7개 주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이 남부 지역이다. 나머지 지역에서는 한류 문화 콘텐츠에 대한 인기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지지 않은 편이다. 다만 인도 언론의 보도를 종합해보면, 현재 한류가 인도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동부 7개 주는 소득수준은 낮지만 인종적ㆍ문화적으로 한국과 친밀도가 높은 조건을 갖고 있다. 남부의 퐁디셰리, 케랄라, 안드라프라데시, 타밀나두, 카르나타카는 종교, 문화적 개방성이 높은 편이며, 상대적으로 소득 및 교육 수준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다섯째, 2004년부터 최근까지 인도 내 장기적인 한류 추이를 살펴보면, 한류에 대한 관심 수준은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시점에 가장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2020년 K-drama 관련 보도 건수가 전년의 2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유사한 현상이 동남아시아에서도 나타나지만, 인도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지역별로 보면 북동부 7개 주와 남부 지역에서 코로나19 이후 한류 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이다. K-pop의 경우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낮았던 케랄라, 델리에서도 관심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즉 코로나19 이후 인도에서 한류 확산에 매우 유리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제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에 기초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ㆍ인도 문화교류의 첨병으로서 한류의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 지역적으로 델리, 뭄바이와 같은 대도시는 물론, 최근 한류가 부상하고 있는 남부 지역에 대한 한류 연계 문화교류사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타밀나두나 케랄라는 오랜 문화산업 배경을 갖고 있어, 한류 확산의 거점 지역으로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인도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한류의 확산이 동남아시아에 비해 더욱 두드러지는 국가로, 기업은 물론 정부 역시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대(對)인도 한류 기반 문화교류사업 개발에 많은 자원을 투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최근 한류 확산을 계기로 인도에서 한국어 교육의 저변을 더욱 확충할 필요가 있다. 2020년 한류실태조사에서 인도 소비자들은 언어적 요인을 한국 문화 콘텐츠 소비의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꼽았다. 한류 확산은 한국어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고, 한국어 습득은 한국 일반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되므로, 한국어 교육은 한류의 긍정적 외부효과를 극대화하고 한국의 국가 브랜드를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가 될 것이다. 인도의 경우 아직 한류와 한국의 국가 브랜드 사이의 연결고리가 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노력이 더욱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인도와 2015년에 체결한 시청각 공동제작 협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인도는 한국을 포함한 15개 국가와 시청각 공동제작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활용해 프랑스, 캐나다 등과 다수의 영화를 공동으로 제작했다. 인도는 이미 다수의 한국 영화를 리메이크하였고, K-drama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영화나 드라마를 공동으로 제작한 사례는 아직 없다. 인도와의 공동제작을 고려할 경우, 인도 영화계가 요구하는 새로운 제작기술과 서사기법 등을 바탕으로 다가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인도 내 한류 확산을 위해 관련 기관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인구 13억 규모의 인도에 진출한 기관으로는 한국문화원(델리)이 유일한 가운데, 인도에서도 정부 부처 및 기관 차원의 협력을 더욱 확대할 시점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한류를 국가 브랜드로 연계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중요하다. 이미 동남아시아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한류는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현시점에 인도는 이러한 작업이 더욱 중요한 국가이다. 특히 코로나19를 계기로 인도 진출 한국기업(특히 중소기업)의 마케팅과 한류 문화 콘텐츠를 결합하는 데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고, 온ㆍ오프라인 비즈니스 전시회, 문화교류 사업 시 한류와 한국의 대표적인 제품, 서비스 등을 연계하는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Hallyu in India began around Manipur and other northeastern regions in the early 2000s. Until the early 2010s, interest in Korean cultural content in mainland India was low, and it was not treated as a mainstream culture. Recently, however, the Hallyu in India has been spreading around K-pop and K-drama. This study analyzed the background, level of popular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llyu in India and suggested some policy implications.
   Chapter 2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India’s audiovisual content markets. India is traditionally a country with a high preference for its own culture, but interest in various cultural content is increasing around the Millennial generation with income growth. Recently, as the digital platform has spread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access to overseas content has naturally increased, which is an opportunity to expand interest in Korean music, dramas, movies, etc. In 2020, for example, major Indian satellite broadcasters opened channels exclusively for Korea,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Hallyu to expand to those who have not yet contacted online content.
   Chapter 3 and 4 analyzed the trend of the Hallyu in India,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est in K-drama is highest in India, followed by K-pop and K-movie. The distribution of Korean content is expanding through Netflix, Amazon Prime, and India’s own OTT (Over-The-Top). Meanwhile, K-pop is gaining popularity throughout India, with BTS at the center. The Hallyu, which began with K-drama and K-pop, has recently led to preference to K-beauty, food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Second, India is significantly less interested in Hallyu than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Indonesia, the Philippines and Malaysia. What is special about K-pop and K-drama is that trends in Southeast Asia and India have tended to synchronize. This is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which real-time spread of content through online has become possible, along with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Hallyu content.
   Third, while Korea’s flagship products and brands such as IT and home appliances are receiving widespread attention in India, brand awareness of cultural content such as BTS, which can be direct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is relatively low. However, according to the annual survey of the Hallyu abroad conducted by the Korea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motion Agency, K-drama and K-pop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element constructing Korea’s country image in India. This shows that the Hallyu is beginning to be associated with the image of Korea among Indian people.
   Fourth, K-drama and K-pop are attracting attention in limited regions of India. The Hallyu in India is concentrated in seven northeastern states, followed by the southern region. In the rest of the region, the popularity of Hallyu is relatively not noticeable. However, according the Indian presses, it is believed that the Hallyu is now expanding throughout India. Seven northeastern states have low income levels, but are ethnically and culturally close to Korea. Pondicherry, Kerala, Andhra Pradesh, Tamil Nadu and Karnataka in the southern region are religiously and culturally open,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income and education.
   Fifth, the long-term Hallyu trend in India since 2004 shows that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Hallyu is most noticeable as the spread of Covid-19 began. In particular, the number of K-drama-related reports in 2020 doubled from the previous year in India. This phenomenon is also seen in Southeast Asia, but is most prominent in India. By region, interest in Hallyu content after Covid-19 in seven northeastern states and southern regions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case of K-pop, interest tends to rise in Kerala and Delhi, which had relatively low interest in K-pop. Covid-19 made favorable condition for the spread of the Hallyu in India.
   Chapter 5 presents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Hallyu-linked cultural exchange projects in the southern part of India where the Hallyu has recently emerged, as well as in large cities such as Delhi and Mumbai. Tamil Nadu and Kerala have cultural industry backgrounds and could be a new hub for the Hallyu. In addition to K-drama and K-pop, we also needs to pay attention to K-beauty, which has high potential to expand the market regardless of India’s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we need to exp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with the popularity of the Hallyu. Indian consumers cite linguistic factors as an important obstacle to Korean cultural content consumption. Since the spread of the Hallyu leads to demand for the Korean language, and the knowledge on the Korean language leads to interest in the Korea itsel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 an important medium for maximizing the positive external effects of the Hallyu and improving Korea’s national brand.
   Third,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Agreement on Cooperation in Audio-Visual Co-production signed between Korea and India in 2015. India signed audio-visual co-production agreements with 15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has jointly produced a number of films with France, Canada, etc. India has already remade a number of Korean films and is showing interest in K-drama, but there have been no cases of co-production of movies or dramas yet. Korean producers should consider what Indian consumers and producers expect from the joint produc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cooperation among cultural agencies. While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Dehli is the only institution in India, it is time to actively expand institutional-level cooperation in India.
   Fifth, regarding India, Korean government or agencies’ supports to link Hallyu to national brands are crucial.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Korean companies (especially SMEs)’ marketing in India combined with Hallyu content.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주요 내용과 차별성

 

제2장 인도 음악ㆍ영상물 시장의 현황 및 특징
1. 개요
2. 영상물 시장
3. 음악 시장
4. 소결

 

제3장 인도 한류 개관 및 현황
1. 인도 한류 개관
2. 인도 한류의 수준
3. 인도 한류 현황
4. 인도 내 한류 인식

 

제4장 인도 한류의 분석: 구글 트렌드를 중심으로
1. 연구방법
2. 주요 한류 분야
3. 동남아시아와의 비교
4. 한류 확산과 한국에 대한 인식
5. 지역별 한류 확산 수준과 주요 특징
6. 기존 조사결과와의 비교

 

제5장 결론
1. 연구 요약
2. 한류 연계 한ㆍ인도 문화협력 확대방안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24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미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주요과제와 협력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30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 및 한국의 협력방안 2021-06-21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중남미 협력 방안: 의료 및 방역 부문을 중심으로 2021-06-21 연구보고서 중국의 통상환경 변화와 국가별 상품 간 수출 대체가능성 연구 2021-05-28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정체성으로 본 푸틴의 러시아: 한,러 교류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2021-04-2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