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과 베트남의 금융개혁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경제개혁, 북한경제

저자 데이빗 달러 발간번호 15-04 자료언어 Korean/English 발간일 2015.12.30

원문보기(다운로드:4,63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과 베트남은 지난 25년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 성장세를 보였다. 양국 모두 소련을 모델로 계획경제체제를 운영하였으나, 결과가 실망스러움에 따라 과거로부터 벗어나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비준한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했다. 중국은 1978년 소집된 회의 이후 ‘개혁개방’을 시작했고, 베트남은 몇 년 후인 1986년 “도 이머이(쇄신)”라는 슬로건을 내건 정책으로 개혁을 시작했다. 각 국가의 금융제도 개혁은 개혁 전반에 중요한 요소이며, 어려운 동시에 리스크에 쉽게 노출되는 부분이다. 중국과 베트남의 금융개혁의 성과, 유사점, 차이점 등을 조사하여 다른 개발도상국 및 북한이 배울 만한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은 중국과 베트남 개혁 초기 단계와 유사한 양상을 띠고 있다. 만약 북한이 시장경제로의 개혁을 추구한다면, 중국과 베트남의 경우에서 배울 점들이 있을 것이다.
중국과 베트남은 금융제도의 전환, 즉 단일은행제도에서 실질경제에 도움이 되면서도 시장에 기반을 둔 시장지향제도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룩했다고 평가된다. 이들의 경험에서 배울 만한 몇 가지 교훈이 있다. 첫째, 이들은 수십 년에 걸쳐 개혁을 점진적으로 추구해왔다. 둘째, 개혁의 특성 중에는 국가 상황에 따라 결정된 것도 있다. 이러한 여건하에서, 여러 결정을 하는 데서 어느 정도의 자유가 있었고, 중국과 베트남이 각기 다른 선택을 한 것이 흥미롭다. 중국과 베트남의 금융개혁에서 배울 수 있는 점은 두 나라의 서로 다른 선택과 그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면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북한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상업은행 부문에서 중국과 베트남 모두 상업은행의 기능을 중앙은행에서 분리했으며, 다수의 국유상업은행을 설립했다. 개혁 과정에서 두 나라는 은행의 효율적 운영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오늘날까지도 국가가 은행의 과반을 소유하도록 했다. 중국과 베트남 모두 국책은행을 설립해 특정 부문(농업, 인프라, 대외무역)에 정책금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양국 모두 은행간 경쟁 및 소규모 신규진출을 허용했다. 두 국가간에 차이가 나는 부분은 상업은행의 외국인투자였다. 베트남은 외국은행 설립에 더 개방적이었다. 외국은행의 진출은 은행 부문의 건전한 경쟁과 안정을 가져다준다. 중국은 2015년까지 외국은행의 중국 내 독립적인 운영을 막았으며, 이들의 시장점유율도 1% 정도로 제한하고 있다.
중국은 외국은행의 독립적인 운영은 원하지 않았으나, 큰 규모의 국제은행을 소수의 전략적 파트너로 영입하는 이점은 누렸다. 부실채권을 대차대조표에서 제거하고 은행의 자본을 재구성하여 전략적 파트너를 영입함으로써, 중국은 SOCB 역량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홍콩에서의 성공적인 IPO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베트남은 외국은행을 전략적 파트너로 영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국내 IPO가 성공적이지 못했다.
통화정책 및 인플레이션 통제에서는 베트남보다 중국에서 배울 점이 더 많다. 두 나라 모두 초기에는 양적 통제에 의존해, 초반에는 개별 은행에 대출 할당량을 제시했고 나중에는 대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지급준비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금리도 통화 관리에 어느 정도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한때 대출 및 자금이 급증해 GDP 디플레이터로 측정된 인플레이션이 10% 이상이던 적도 있다. 하지만 1997년부터 지금까지 중국은 전반적으로 M2 증가율을 20% 미만, 인플레이션을 한 자릿수로 유지해오고 있다. 베트남은 대출 급증으로 성장률을 높이려는 시도를 여러 차례 했다. 베트남 M2 증가율은 전반적으로 연20%를 훨씬 웃돌았다. 이로 인해 베트남은 실질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심화되었으나, 인플레이션이 위험할 정도로 높아지는 변화가 심한 사이클을 겪게 됐다. 이를 억제하면 성장률이 급락했다.
금리 측면에서는 중국과 베트남은 서로 다른 노선을 택했고, 둘 사이의 중간 지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베트남은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일 때 사람들이 은행에 자국통화 저축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강력한 금융억압은 선택할 수 없었다. 개혁 초기 베트남은 금리의 빅뱅 자유화를 시도했다. 모든 경제참여자가 통제받지 않는 금리를 대중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 짧은 실험은 엉망으로 끝났다. 규제가 탄탄하지 않은 환경에서 금리 자유화는 결국 남용을 야기했고, 신용협동조합의 실패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극단적인 노선을 취했다. 실질금리를 마이너스로 유지하고, 필요 이상으로 금리를 통제했다. 중국의 투자집약적 성장모델 요소의 하나가 바로 금리정책이었다. 그러므로 북한은 중국과 베트남 금리정책의 중간적 정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개혁 초기에는 금리를 통제하면서도 실질금리는 어느 정도 플러스로 유지해야 한다. 중국보다 빠르게 유연성과 시장결정적인 금리를 도입하되, 개혁 10년은 지난 후에 해야 할 것이다.
중국과 베트남, 그리고 다른 동아시아 산업국(대한민국, 대만 등)에서 배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통화정책 중 하나는 화폐가치가 고평가되지 않게 하고, 주로 저평가 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중국처럼 인플레이션이 낮은 환경을 만들 수 있다면 달러와 같은 주요통화에 연동시키는 것이 닻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단 1994년 이후의 중국처럼 주요국 통화에 연동된 환율이 자국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달러 또한 유로나 엔 등 다른 화폐에 대비해 예측 가능하지 않은 변동을 보일 수 있다. 실질환율을 안정화하고, 생산성 이득에 기여하는 완만한 절상을 허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정책일 것이다. 즉 통화바스켓에 연동시키고 서서히 조정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과 베트남은 환율 관리 측면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몇 가지 실수를 했다. 중국의 경우, 달러가치가 떨어지고 있던 시점에 달러연동을 유지하여 화폐가치가 지나치게 평가절하됨으로써 대규모 무역흑자를 내 통화정책을 복잡하게 만든 것이
실수였다. 결국 당국은 국제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 환율의 급절상을 허용했다.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절하되고 뒤이어 2005년부터 급절상된 롤러코스터 같은 현상보다는 실질실효환율의 완만한 절상이 더 나았을 것이다. 베트남은 대규모 자금유입으로 인해 실질실효환율의 큰 변동폭을 허용했다. 베트남은 자금통제로 자금유입을 제한하거나 유입 당시 불태화(sterilization)했더라면 더 나았을 것이다.
자본시장 측면에서는 중국이나 베트남 둘 다 높은 평가를 받기는 어렵다. 두 나라 모두 기업의 자본시장 진입을 엄격히 제한하고, 주요 국영기업을 부분 민영화하는 데에 시장을 활용하고자 했다. 그 결과 시장의 깊이가 없고 버블이 생기기 쉬워졌다. 소수 투자자들의 활동만으로도 가격이 급등하여 돌이킬 수 없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시장에 금융제도를 개방하는 데는 두 가지 이슈가 있다. 금융서비스를 외국인직접투자에 우선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업은행, 보험을 비롯한 다른 부문에 투자 경험이 많은 다국적기업은 금융시장에 안정과 경쟁을 가져올 것이다. 중국은 이러한 혜택을 누릴 기회를 놓친 반면, 베트남은 좀 더 개방적이었다. 국제금융에 대한 또 다른 이슈는 자본 포트폴리오의 유입과 유출을 위한 자본계정의 개방이다. 이 유출입은 일명 ‘핫머니(hot money)’라고 하는데, 불안정을 초래하거나 초기 단계에는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중국은 이 유출 · 입을 엄격히 통제했다. 심지어 직접투자 유입도 불태화했다. 화폐가 심각하게 과소평가된 기간에도 외환보유액을 축적하는 등 중국이 과했을 수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대외금융 관리에 대해 배울 점이 많다. 베트남은 핫머니 유출 · 입에 대해 보다 개방적이었다.
해외 금리가 낮을 때에는 이를 잘 활용하고 싶은 유혹이 들겠지만, 결국 실질환율을 절상하여 변동성 문제를 일으킨다. 개혁 후 수십 년이 지난 지금, 중국과 베트남의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중국은 국제적으로 대규모 채권국인 반면 베트남은 대규모 채무국이라는 점이다. 개발도상국에 가장 적합한 정책은 FDI를 활용하면서도 기타 유출 · 입은 제한하는 것과, 대대적인 화폐 절상 방지에 필요한 외환보유액 축적을 결합하는 것일 것이다.
전환경제의 금융개혁이 갈 길은 6無(No)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은행위기(banking crisis), 두 자릿수 인플레이션(double-digit inflation), 마이너스 실질금리(negative real interest rates), 화폐 과대평가(over-valued currency), 증시 버블(stock market bubble), 핫머니 유출 · 입(hot money inflows)을 배제하는 것이다. 

China and Vietnam have been the two fastest growing economies in the world in the past 25 years. Each started out as a planned economy in the model of the Soviet Union, and each achieved disappointing economic results. In each country there was a clear break with the past and a shift to a more market-oriented economic system, ratified by a deci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In China the key meeting was held in 1978 and launched gaige kaifang (reform and opening up). In Vietnam reform was launched a number of years later at a Party meeting in 1986 under the banner of doi moi (renovation).
In each country reform of the financial system was one important element of reform, an aspect that is difficult and prone to risks. It is useful to examine their record of financial reform,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o draw some lessons -- lessons that would be helpful for developing countries in general, and potentially for DPRK in particular. DPRK has some important similarities with China and Vietnam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reform. If DPRK were to pursue market-oriented reform, then the financial lessons of China and Vietnam could be quite relevant.
China and Vietnam both have to be judged as successful in transforming their financial systems from mono-banking to a more market-oriented system that supports a real economy that is also largely market based. A couple of general lessons can be taken from their experience. They have pursued reform gradually, over a period of decades. Second,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form were dictated by country conditions. That said, there were considerable degrees of freedom in various choices and it is interesting that the two countries often made different choices. Some of the potential lessons from financial reform in China and Vietnam come from comparing their different choices and results. So, what are some of the potential lessons for DPRK?
In the area of commercial banking, both China and Vietnam separated commercial banking functions from the central bank and established several state-owned commercial banks. Much of their reform was then concentrated on making those banks operate efficiently, while remaining under state-majority ownership up until today. They both developed policy banks to take over the function of directing credit to particular sectors (agriculture, infrastructure, foreign trade). They both allowed a small amount of entry into and competition among banks. The interesting area of difference is how they treated foreign investment in commercial banking. Vietnam was more open to foreign banks setting up operation. This foreign entry provides healthy competition and stability to the sector. China up until 2015 has resisted foreign banks operating independently in China and has restricted them to about 1% of the market.
While China did not want foreign banks operating independently, it did, however, see the benefit of bringing in big international banks as strategic, minority partners of the four SOCBs. By taking off the balance sheets the non-performing loans, recapitalizing the banks, and bringing in the strategic partners, China wa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OCBs and lay the foundation for successful IPOs in Hong Kong. Vietnam was not willing to bring in foreign banks as strategic partners and as a result its domestic IPOs have not been successful.
In the area of monetary policy and inflation control, China provides better lessons than Vietnam. Both countries relied initially on quantitative controls, initially lending quotas for individual banks and later, required reserve ratios that could be raised or lowered to affect the amount of lending. Over time, interest rates have begun to play some role in managing monetary policy. China went through a learning period during which the growth rate of credit and money was too high, and inflation as measured by the GDP deflator, above 10%. But from 1997 until today, China generally kept the growth of M2 below 20% and inflation, in single digits. Vietnam was often trying to push the growth rate higher through faster growth of credit. In Vietnam the growth rate of M2 generally has been above 20% per year, often well above that rate. This has made Vietnam prone to boom-bust cycles in which real growth and inflation both accelerate, but inflation becomes dangerously high. Reining it in then leads to a sharp drop in the growth rate.
In the area of interest rates, the two countries took different paths and there is something to be said for finding a middle ground between the two. Vietnam did not have the option of severe financial repression because people simply would not put domestic currency deposits into banks at sharply negative real interest rates. Early in its reform Vietnam attempted a big bang liberalization of interest rates: it allowed all kinds of different economic entities to offer uncontrolled interest rates to the public. This short experiment ended in disaster because interest-rate liberalization in a poorly regulated environment led to abuses and failures of credit cooperatives. China was at the other extreme, keeping controlled interest rates quite negative in real terms and sticking with interest rate controls long past the point at which they were necessary.
This interest rate policy is one factor behind China’s highly investment-intensive growth model. There is much to be said for an interest rate policy that splits the difference between China and Vietnam. Control interest rates in the early stages of reform but ensure that they are at least moderately positive in real terms. Introduce greater flexibility and market-determination at a pace faster than China did, but probably not during the first decade of reform.
One of the most important monetary lessons from China, Vietnam, and the earlier East Asian industrializers (South Korea, Taiwan) is to not let the currency become over-valued, and preferably to keep it modestly under-valued. If a low-inflation environment can be achieved, such as in China, then pegging to a major currency such as the dollar has some appeal as an anchor, provided the pegged exchange rate makes the country highly competitive, as in China’s case after 1994. However, it is a fact of life that the dollar will vary in value against the Euro, Yen, and other currencies in an unpredictable way. It is a more reasonable policy to try to stabilize the real exchange rate and to allow some modest appreciation over time in order to account for productivity gains. In es sence this involves pegging to a basket and allowing some adjustment over time.
In the cases of China and Vietnam, they each made some mistakes in exchange rate management, in different directions. China, by sticking with its dollar peg in a period when the dollar was depreciating, let its currency become too under-valued resulting in large trade surpluses that complicated monetary policy and were not in the country’s interest. The authorities then had to allow fairly sharp appreciation in order to get back close to external balance. It would have been better to have smooth appreciation of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ather than the roller-coaster of devaluation from 1998 to 2005 followed by sharp appreciation after 2005. Vietnam allowed even larger swings in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principally because of big shifts in capital flows (discussed below). Vietnam would have been better off either limiting capital inflows through capital controls or sterilizing inflows when they occurred.
In the area of capital markets, neither China nor Vietnam gets particularly high marks. Each country wanted to severely limit access of firms to the capital markets so that they could use the markets to partially privatize a few key state enterprises. The end result was thin markets, prone to bubbles. It only took a small amount of investor interest to push up prices quickly, leading to inevitable corrections.
Finally, in terms of opening the financial system to the global market there are two distinct issues. It makes sense first to open up financial services to direct foreign investment. Experienced international firms investing in commercial banking, insurance, and other sectors bring stability and competition to these markets. China has missed the opportunity to get these benefits, while Vietnam has been more open. The other issue of international finance concerns opening the capital account to inflows and outflows of portfolio capital. These flows, often referred to as “hot money,” can often be destabilizing and hard to manage at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China was smart to severely limit these flows. China sterilized even direct investment inflows. It may have gone over-board, particularly with the reserve accumulation during the years of severe currency under-valuation, but overall it provides interesting lessons on external management. Vietnam was more open to hot money flows. It is tempting to make use of these flows when foreign interest rates are low, but they do appreciate the real exchange rate and cause problems of volatility. One of the striking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Vietnam after decades of reform is that China is a big net creditor internationally whereas Vietnam is a big net debtor. The optimal policy for a developing country probably lies in between: making use of FDI but limiting other flows, and accumulating reserves as necessary to prevent large appreciations of the currency.
In summary, the main tasks of financial reformers in transition economies can be summarized in six “no’s”:
·No banking crisis
·No double-digit inflation
·No negative real interest rates
·No over-valued currency
·No stock market bubble
·No hot money inflows. 

서언


국문요약


영문요약

Ⅰ. 서론

Ⅱ. 중국의 경제·금융 개혁 개괄

Ⅲ. 베트남의 경제·금융 개혁 개괄

Ⅳ.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의 분리

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Ⅵ. 금리 결정방법 및 개혁

Ⅶ. 환율 결정방법 및 개혁

Ⅷ. 자본시장의 발전

Ⅸ. 금융제도에서 외국인투자에 대한 개방

Ⅹ. 북한 경제와 금융제도

ⅩⅠ. 결론: 중국과 베트남의 경험에서 배울 점 요약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8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 2023-12-29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Policy Analysis The Income-led Growth in Korea: Statu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Countries 2020-10-08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연구보고서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 협력의 비전: 분야별 협력과제와 실현방안 2020-11-30 전략지역심층연구 체제전환국의 민간기업 및 기업가 육성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연구: 러시아,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2020-08-31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의 관광정책 추진 동향과남북 관광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0-08-03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