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자료
목록으로
컴퓨터 및 각종 통신기기의 발전과 함께 인터넷이 급속한 속도로 확산되면서 국제교역, 즉 무역의 방식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무역방식에서는 수출업자와 바이어와의 직접적인 대면접촉(face-to-face)과 신용장을 매개로 거래가 형성되고, 거래의 이행을 위해서 은행, 세관, 선사, 보험사 등 유관기관에서 많은 서류가 작성되고 전달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 확산 및 관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이버 공간에서 인터넷을 통해 무역거래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관련된 무역업무도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방식의 무역이 등장하고 있다. 이 새로운 무역방식을 전자무역이라고 부르고 있다. 무역과 관련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은 이미 무역자동화라는 개념 하에 국내·외에서 추진되어 왔었다. 인터넷 및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관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무역자동화 개념은 전자무역이라는 광의의 개념으로 편입되고 있다. (생략)
International Electronic Trade: Current Developments and It's Promotion Policy in Korea.
As the internet is rapidly spreading out, an international trade method is being changed. Typically, conventional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formulated in a way that exporters and buyers meet face-to-face and connect ties with a letter of credits. To carry out a contract, many documents have had to be written out and delivered in banks, customs, shipping and insurance companies. But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ternet, a global trade can be made via internet and other trade-related businesses can electronically be achieved. This new type of trade is called electronic international trade. (The rest is omitted.)
As the internet is rapidly spreading out, an international trade method is being changed. Typically, conventional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formulated in a way that exporters and buyers meet face-to-face and connect ties with a letter of credits. To carry out a contract, many documents have had to be written out and delivered in banks, customs, shipping and insurance companies. But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ternet, a global trade can be made via internet and other trade-related businesses can electronically be achieved. This new type of trade is called electronic international trade. (The rest is omitted.)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구성
제2장 전자무역의 개념 및 구분
1. 전자무역의 개념
2. 전자무역의 구분
제3장 국내의 전자무역 현황
1. 전자무역의 일반현황
2. 전자무역의 사업형태별 현황
제4장 해외의 전자무역 사례분석 및 시사점
1. 미국의 공공 무역거래알선 사이트분석
2. 싱가폴의 전자무역 촉진정책
3. 전자무역 전문시스템 분석
제5장 한국의 전자무역 활성화방안
1. 비정형화된 전자무역의 활성화
2. 정형화된 전자무역의 효율성 제고
3. 글로벌 전자무역 구현을 위한 대응
4. 전자무역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제6장 결론
참고문헌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구성
제2장 전자무역의 개념 및 구분
1. 전자무역의 개념
2. 전자무역의 구분
제3장 국내의 전자무역 현황
1. 전자무역의 일반현황
2. 전자무역의 사업형태별 현황
제4장 해외의 전자무역 사례분석 및 시사점
1. 미국의 공공 무역거래알선 사이트분석
2. 싱가폴의 전자무역 촉진정책
3. 전자무역 전문시스템 분석
제5장 한국의 전자무역 활성화방안
1. 비정형화된 전자무역의 활성화
2. 정형화된 전자무역의 효율성 제고
3. 글로벌 전자무역 구현을 위한 대응
4. 전자무역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제6장 결론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디지털 정책과 규제 변화 분석: Digital Policy Alert 통계를 중심으로
2023-12-11
연구보고서
디지털통상협정의 한국형 표준모델 설정 연구
2023-05-26
Working paper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에 관한 OECD의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
1999-07-15
연구보고서
통상관련 전자상거래 논의 동향과 시사점
1998-12-30
Policy Analysis
OECD의 전자상거래 관련 과세제도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1998-12-30
연구보고서
전자상거래의 국제적 논의동향과 대응과제
1998-04-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