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776건 현재페이지 178/278

  • Revisiting the Open Regionalism of APEC
    Revisiting the Open Regionalism of APEC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역내 협력은 경제적인 측면과 정치적 측면에서 공히 특징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다. 대체로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이전까지는 역내 국가들은 무역블록 형성에 반대하면서 다자간 무역체제를 지지해왔으며, 1990년대 말에야 비..

    최석영 발간일 2004.09.20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REGIONALISMS IN APEC REGION

    1. Economic Regionalism
    1.1 Overview
    1.2 Underly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1.3 Potential Risks

    2. Political Regionalism
    2.1 Overview
    2.2 Underlying Patterns of Existing Arrangements

    III. “OPEN REGIONALISM” of APEC

    1. APEC as New Regional Governance
    1.1 Soft Regionalism
    1.2 Vision-setting and Implementation
    1.3 Broadening of the Horizon

    2. “Open Regionalism” of APEC
    2.1 Background
    2.2 What does “Open Regionalism” mean?
    2.2.1 The Second Report of EPG
    2.2.2 Bergsten's Observation
    2.2.3 “Open Sub-regionalism”

    3. Assessments and New Challenges
    3.1 Introduction
    3.2 An APEC-wide PTA and “Open Regionalism”
    3.3 Security Agenda and “Open Regionalism”

    IV. CONCLUSION
    1. Regionalisms in APEC Region
    2.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국문요약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역내 협력은 경제적인 측면과 정치적 측면에서 공히 특징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다. 대체로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이전까지는 역내 국가들은 무역블록 형성에 반대하면서 다자간 무역체제를 지지해왔으며, 1990년대 말에야 비로소 경제적 지역주의가 본격적으로 발달했다고 할 수 있다. (생략)
    <
  • 현대 러시아 정치, 경제의 이해
    현대 러시아 정치, 경제의 이해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가 실패하고 낡은 소련체제가 무너진 이후, 개혁의 과정을 지나온 러시아는 10여 년 동안 극도의 혼란기를 거쳤다. 일거에 기존 시스템을 전도시킨 1992년의 급진개혁, 의사당 포격 사태를 불러온 극심한 보·혁간 갈등..

    정여천 외 발간일 2004.09.08

    경제발전
    원문보기
    목차
    머리말

    제 1 편 고르바초프에서 푸틴까지
    제 1 장 러시아 정치·사회 개혁의 방향과 내용
    제 2 장 러시아의 경제개혁 약사(略史)

    제 2 편 러시아를 움직이는 힘
    제 3 장 블라디미르 푸틴 : 독재자인가 마지막 구세주인가
    제 4 장 석유와 천연가스 : 러시아 에너지산업의 현재와 미래
    제 5 장 러시아 경제의 성장 전망과 발전 잠재력

    제 3 편 정치 권력과 경제 권력
    제 6 장 러시아의 정당과 정치엘리트
    제 7 장 올리가르흐(oligarch) : 러시아식 재벌의 탄생과 활동

    제 4 편 러시아와 한국
    제 8 장 러시아와 남북한
    제 9 장 러시아 시장과 한러 경제협력
    국문요약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가 실패하고 낡은 소련체제가 무너진 이후, 개혁의 과정을 지나온 러시아는 10여 년 동안 극도의 혼란기를 거쳤다. 일거에 기존 시스템을 전도시킨 1992년의 급진개혁, 의사당 포격 사태를 불러온 극심한 보·혁간 갈등, 연 3,000%까지 치솟았던 물가상승률과 끝없이 추락하는 경제성장률, 루블화 가치의 대폭락, 그리고 대내외 채무를 동결하는 모라토리엄 사태 등이 있었다. (생략)
    <
  • Fi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Fi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금융제도의 발전은 전반적인 경제발전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중요성과 진화적 발전과정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 이유는 금융부문과 실물부문과의 연결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

    박영철 외 발간일 2004.08.30

    경제발전, 금융정책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Overview of Financial Development in Korea

    III. Finance and Growth Nexus: Long-run Causality
    1. Methodology
    2. Data
    3. Empirical Results

    IV.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금융제도의 발전은 전반적인 경제발전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중요성과 진화적 발전과정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 이유는 금융부문과 실물부문과의 연결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 경제성장에 있어 금융제도의 양적, 질적 중요성은 그동안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생략)
    <
  • EU확대 이후 중·동구 지역의 교역·투자전망과 한국 경제에 대한 시사점
    EU확대 이후 중·동구 지역의 교역·투자전망과 한국 경제에 대한 시사점

    지난 2004년 5월 중ㆍ동구 8개국을 포함한 10개국이 신규로 EU에 가입하여 공식적으로 EU는 기존의 15개 회원국에서 25개 회원국으로 확대되었다. 이로 인해 EU는 총인구가 20% 증가한 4억 5,500만 명에 달하게 되었으며, GDP 규모는 5% 증가한 9조..

    이철원 발간일 2004.08.30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중동구 지역의 교역추이와 향후 전망
    1. 교역추이
    2. EU확대 이후 교역추이 전망

    제3장 중동구 지역의 FDI 유입추이와 향후 전망
    1. FDI 유입 현황
    2. EU확대 이후 FDI 유입 전망

    제4장 한국과 중동구 지역의 경제협력 현황 및 전망
    1. 교역현황
    2. 한국 기업들의 투자현황
    3. 향후 경제협력 전망

    참고문헌
    국문요약
    지난 2004년 5월 중ㆍ동구 8개국을 포함한 10개국이 신규로 EU에 가입하여 공식적으로 EU는 기존의 15개 회원국에서 25개 회원국으로 확대되었다. 이로 인해 EU는 총인구가 20% 증가한 4억 5,500만 명에 달하게 되었으며, GDP 규모는 5% 증가한 9조 6천억 유로에 이르게 되었다. 인구에 비해 신규가입국의 경제규모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EU 경제에 근본적인 변화는 없을 듯하다. 그러나 기존 회원국 입장에서 EU 경제성장의 새로운 활력이 될 수 있다는 기대와 신규가입국 입장에서 생활수준이 기존 회원국에 점차 수렴해 갈 것이라는 기대로 최근 유럽대륙 전체가 희망에 부풀어 있다. (생략)
    <
  • Expansion Strategies of South Korean Multinationals
    Expansion Strategies of South Korean Multinationals

    최근 기업들은 해외직접투자를 이용하여 국경을 초월한 최적의 입지에서 생산 및 경영을 영위함으로써 경쟁력을 개선하고 있다. 이를 반영한 해외직접투자는 매년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1980년도에 전 세계 GDP의 5.3%에 불과하던 해외직접투자액이..

    이홍식 발간일 2004.08.25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Data

    III. The Pattern of Outward FDI: An Initial Look

    IV. Comparing Affiliate Production for Export and Local Sale
    1. Affiliate Exports and Local Sales
    2. The Export versus Local Sales Decision

    V. Conclusion
    국문요약
    최근 기업들은 해외직접투자를 이용하여 국경을 초월한 최적의 입지에서 생산 및 경영을 영위함으로써 경쟁력을 개선하고 있다. 이를 반영한 해외직접투자는 매년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1980년도에 전 세계 GDP의 5.3%에 불과하던 해외직접투자액이 2000년 현재 23%로 증가하였으며, 연간 증가율 또한 국제무역 증가율의 4배 이상 앞서고 있다. 특히 한국, 홍콩, 중국,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해외직접투자 또한 1980년 이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생략)
    <
  • North Korea Development Report 2003/04
    North Korea Development Report 2003/04

    북한경제에 대한 국내 독자들 및 국제기구와 미국을 포함한 우방국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North Korea Development Report를 발간하고 그 국문판에 해당하는 "북한경제백서"를 함께 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한반도 주변국가와의 국제적 역학관..

    조명철 외 발간일 2004.07.30

    경제협력,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제Ⅰ편 거시경제 및 금융 제1장. 거시경제 현황평가와 전망 제2장. 국가재정 수입 및 지출 제3장. 금융 및 가격관리 제Ⅱ편 산업 및 사회간접자본 제4장. 공업부문 제5장. 농업부문 제6장. 상업 및 유통부문 제7장. 군수산업 제8장. 사회간접자본 제Ⅲ편 대외경제와 남북한 경제협력 제9장. 대외경제관계 제10장. 경제특구 제11장. 남북한 경제협력 제Ⅳ편 사회복지 및 과학기술 제12장. 사회복지부문 제13장. 과학기술부문 제Ⅴ편 북한 경제개혁조치의 평가와 과제 제14장. 최근 경제정책 변화의 내용과 배경 제15장. 최근 경제정책의 특성과 문제점 제16장. 북한의 경제개혁 전망과 개선과제
    국문요약
    북한경제에 대한 국내 독자들 및 국제기구와 미국을 포함한 우방국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North Korea Development Report를 발간하고 그 국문판에 해당하는 "북한경제백서"를 함께 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한반도 주변국가와의 국제적 역학관계 속에서 북한경제를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과 북한경제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을 위해 북한의 경제체제와 조직, 산업부분별 현황, 대외경제관계 등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아울러 북한의 거시경제정책, 재정정책, 화폐금융제도 및 가격관리체계, 상업·유통체계, 과학기술정책, 사회복지시스템, 군수사업 현황 등 다양한 경제 분야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였다. 또한 남북경협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북한경제 발전을 위한 한국의 역할에 대한 논의도 수록하였다. 그리고 시행 2년여가 된 7.1경제관리개선조치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등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경제현황 및 정책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북한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최대 현안에 대한 집중 분석을 시도하였다. 북한경제와 관련한 각 분야를 망라하고 있는 본 보고서가 북한경제를 관찰하는 국내외 정책담당자, 연구자 및 학생을 포함하여 한반도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분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 2003/04 북한경제백서
    2003/04 북한경제백서

    북한경제에 대한 국내 독자들 및 국제기구와 미국을 포함한 우방국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North Korea Development Report를 발간하고 그 국문판에 해당하는 "북한경제백서"를 함께 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한반도 주변국가와의 국제적 역학관..

    KIEP 발간일 2004.07.30

    경제협력,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제Ⅰ편 거시경제 및 금융
    제1장. 거시경제 현황평가와 전망
    제2장. 국가재정 수입 및 지출
    제3장. 금융 및 가격관리

    제Ⅱ편 산업 및 사회간접자본
    제4장. 공업부문
    제5장. 농업부문
    제6장. 상업 및 유통부문
    제7장. 군수산업
    제8장. 사회간접자본

    제Ⅲ편 대외경제와 남북한 경제협력
    제9장. 대외경제관계
    제10장. 경제특구
    제11장. 남북한 경제협력

    제Ⅳ편 사회복지 및 과학기술
    제12장. 사회복지부문
    제13장. 과학기술부문

    제Ⅴ편 북한 경제개혁조치의 평가와 과제
    제14장. 최근 경제정책 변화의 내용과 배경
    제15장. 최근 경제정책의 특성과 문제점
    제16장. 북한의 경제개혁 전망과 개선과제







    국문요약
    북한경제에 대한 국내 독자들 및 국제기구와 미국을 포함한 우방국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North Korea Development Report를 발간하고 그 국문판에 해당하는 "북한경제백서"를 함께 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한반도 주변국가와의 국제적 역학관계 속에서 북한경제를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과 북한경제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을 위해 북한의 경제체제와 조직, 산업부분별 현황, 대외경제관계 등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아울러 북한의 거시경제정책, 재정정책, 화폐금융제도 및 가격관리체계, 상업·유통체계, 과학기술정책, 사회복지시스템, 군수사업 현황 등 다양한 경제 분야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였다. 또한 남북경협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북한경제 발전을 위한 한국의 역할에 대한 논의도 수록하였다. 그리고 시행 2년여가 된 7.1경제관리개선조치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등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경제현황 및 정책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북한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최대 현안에 대한 집중 분석을 시도하였다. 북한경제와 관련한 각 분야를 망라하고 있는 본 보고서가 북한경제를 관찰하는 국내외 정책담당자, 연구자 및 학생을 포함하여 한반도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분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 E-Finance Development in Korea
    E-Finance Development in Korea

    1980년대 말 이후 국내 전자금융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국내 금융산업이 보다 정보집약적 성격을 많이 함유하면서 동시에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이 약진에 기인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국내 전자금융산업은 금융구조조정과 맞물려 급격..

    안충영 외 발간일 2004.07.25

    금융제도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Brief History of E-Finance Development in Korea

    III. Background for Development of E-finance in Korea

    IV. Evaluation of E-finance Development in Korea

    V. Conclusion
    국문요약
    1980년대 말 이후 국내 전자금융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국내 금융산업이 보다 정보집약적 성격을 많이 함유하면서 동시에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이 약진에 기인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국내 전자금융산업은 금융구조조정과 맞물려 급격히 발전하게 되었다. 금융구조조정의 여파로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전자금융의 발전이 촉진되었다. (생략)
    <
  • FTA의 득과 실
    FTA의 득과 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총 184개의 FTA가 발효되어 있을 정도로 지역주의는 다자간 협상체제와 더불어 세계 무역질서를 주도하는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다. EU는 동유럽으로 단일시장을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및 중남미 국가와의 FTA도 추..

    박순찬 외 발간일 2004.06.30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1. FTA 현황 및 경제적 이해득실의 이론적 배경
    가. FTA 현황
    나. FTA 협정을 전후한 성과분석
    다. 요약 및 시사점

    2.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가. NAFTA 추진의 배경 및 요인
    나. NAFTA 전후의 성과분석- 득과 실
    다. 요약 및 시사점

    3. 유럽연합(EU)
    가. 유럽연합의 형성
    나. EU의 동유럽 확대
    다. EU - 터키 관세동맹
    라. EU - 남아프리카공화국 FTA

    4. MERCOSUR
    가. FTA 추진의 배경 및 요인
    나. FTA 협정을 전후한 성과 분석 - 득과 실
    다. 요약 및 시사점

    5. ASEAN 자유무역지대(AFTA)
    가. FTA 추진의 배경 및 요인
    나. FTA 협정을 전후한 성과 분석
    다. 요약 및 시사점

    6. 아프리카 및 중동의 FTA
    가. 요르단-미국 FTA
    나. GCC(Gulf Cooperation Council)

    7. 요약 및 결론
    가. NAFTA
    나. EU
    다. MERCOSUR
    라. ASEAN
    마. 아프리카 및 중동의 FTA
    바. 경제적 손실
    사. 시사점
    국문요약
    현재 전 세계적으로 총 184개의 FTA가 발효되어 있을 정도로 지역주의는 다자간 협상체제와 더불어 세계 무역질서를 주도하는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다. EU는 동유럽으로 단일시장을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및 중남미 국가와의 FTA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은 NAFTA에 이어 미대륙 전체를 단일시장으로 형성하려는 미주자유무역지대(FTAA)의 창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생략)
    <
  • Complementar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Multinational Activities
    Complementar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Multinational Activities

    본고는 수평적 다국적 기업활동과 수직적 다국적 기업활동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다국적 기업의 비용함수로부터 이론적 모형(theoretical model)을 구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생략)

    배성일 외 발간일 2004.05.15

    기업경영,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OLI Framework and the Unification of Vertical and Horizonatl MNCs
    Activities
    1. OLI Framework
    2. The Unific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Multinational Activities
    III. Model Specification
    1. The Cost Minimizing Problem of MNCs
    2. Implications of the Model
    IV. The Emipirical Tests
    1.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Exports
    2. Data Description
    3. Effects on the Vertical Multinational Activity
    V.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본고는 수평적 다국적 기업활동과 수직적 다국적 기업활동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다국적 기업의 비용함수로부터 이론적 모형(theoretical model)을 구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생략)
    <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