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와 다국적기업(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의 활동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직접투자의 GDP에 대한 비중은 여전히 낮은 편이나 1997년을 전후로 하여 외국인 및 해외직접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및 해외직접투자가 산업구조와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많은 국내외 연구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생략)
Global 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and MNEs (multinational enterpris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1980s. Recent Korean FDI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even though its ratio to GDP is still smaller than those of any other countries. The impact of FDI inflows and outflows on the industrial and employment structure is thus of great interest. (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1장 서론
제2장 탈산업화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제점
1. 외국문헌
2. 국내문헌
3. 기존 문헌의 문제점
제3장 OECD 국가들의 탈산업화 추이와 한국의 특이성
1. 한국, 미국 및 일본의 탈산업화 추이
2. 한국, 미국 및 일본의 산업별 고용 및 부가가치 비중 추이
3. 경제발전단계와 탈산업화
4. 한국 탈산업화의 특이점
제4장 OECD 국가의 탈산업화 원인에 대한 실증분석
1. 탈산업화의 원인
2. 추정모형 및 자료
3. 실증분석 결과
제5장 한국의 직접투자와 탈산업화
1. 세계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 동향
2. 한국의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 동향
3.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의 전후방연관효과
4. 산업연관표 분석모형
가. 생산유발효과 분석
나. 취업유발효과 분석
5. 자료 및 분석결과
6. 외환위기 전후의 고용 유발 및 손실 효과 비교
7. 산업연관분석의 한계점
제6장 한국의 탈산업화와 정책적 시사점
1. 탈산업화에 대한 평가 126
2. 해외직접투자의 탈산업화에 대한 영향 평가
3. 탈산업화 속도 조절을 위한 산업구조조정
4. 서비스산업의 비중 증대와 성장잠재력
5.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정책
6. 외국인직접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
가.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정책
나. 고용유발계수의 크기와 노동생산성: 개방의 반경쟁효과
다. 제조업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서비스업분야 육성
라. 외국인투자 유치 규제 완화와 전망 산업
마. 개발도상국형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정책의 탈피
제7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1장 서론
제2장 탈산업화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제점
1. 외국문헌
2. 국내문헌
3. 기존 문헌의 문제점
제3장 OECD 국가들의 탈산업화 추이와 한국의 특이성
1. 한국, 미국 및 일본의 탈산업화 추이
2. 한국, 미국 및 일본의 산업별 고용 및 부가가치 비중 추이
3. 경제발전단계와 탈산업화
4. 한국 탈산업화의 특이점
제4장 OECD 국가의 탈산업화 원인에 대한 실증분석
1. 탈산업화의 원인
2. 추정모형 및 자료
3. 실증분석 결과
제5장 한국의 직접투자와 탈산업화
1. 세계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 동향
2. 한국의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 동향
3.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의 전후방연관효과
4. 산업연관표 분석모형
가. 생산유발효과 분석
나. 취업유발효과 분석
5. 자료 및 분석결과
6. 외환위기 전후의 고용 유발 및 손실 효과 비교
7. 산업연관분석의 한계점
제6장 한국의 탈산업화와 정책적 시사점
1. 탈산업화에 대한 평가 126
2. 해외직접투자의 탈산업화에 대한 영향 평가
3. 탈산업화 속도 조절을 위한 산업구조조정
4. 서비스산업의 비중 증대와 성장잠재력
5.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정책
6. 외국인직접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
가.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정책
나. 고용유발계수의 크기와 노동생산성: 개방의 반경쟁효과
다. 제조업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서비스업분야 육성
라. 외국인투자 유치 규제 완화와 전망 산업
마. 개발도상국형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정책의 탈피
제7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70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3-12-30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자료
국내 전략산업 투자유치 인센티브 개편 방향
2023-12-08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방안
2021-06-21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 Do Korean Firms Respond to the Labor Costs of Host Countries?
2020-09-01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How Does Protectionist Trade Policy Interact with FDI?
2019-12-30
연구보고서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다국적기업 철수의 영향과 정책대응 방안
2019-12-30
연구자료
한일 및 한중일 투자협정의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 국내법원판결에 관한 판정례를 중심으로
2019-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경제, 제도, 비즈니스 환경을 중심으로
2019-12-30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