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유럽 경제에서 중소기업은 일자리와 부가가치 창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최근 들어 EU와 회원국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핵심 요소 중의 하나인 혁신성장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정부도 중소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을 고려하여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여전히 정책 개선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EU 및 회원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중소기업정책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정책 수립과 개선을 위한 사례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EU에서 중소기업은 기업의 수, 일자리, 부가가치 창출에서 각각 99.8%, 66.4%, 56.8%를 차지하고 있지만, 혁신적인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자체 평가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국제화 측면에서 유럽 내 많은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해외 소비자를 찾는 어려움, 동종 업종 기업과의 경쟁, 금융조달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이런 일련의 상황을 반영하여 EU는 회원국들에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이나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중소기업법(Small Business Act)」, 경쟁력프로그램(COSME), 금융지원, 중소기업의 국제화, 표준화 등이 EU가 시행하는 대표적인 정책이다. 「중소기업법」은 기업가정신 고취, ‘Think Small First’, 금융접근성, 기술과 혁신에 있어 10개 원칙을 제안하고 있으며, 회원국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자체 「중소기업법」을 마련하고 있다. 중소기업 경쟁력 프로그램인 COSME는 금융지원은 물론 국제화 및 지재권 보호 등을 담고 있다. 또한 금융지원에 있어서는 중소기업-대기업 대출금리 격차 완화, EU 차원의 EIC Funding을 통한 시장진출과 기술혁신에 필요한 자금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SME Instrument는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지원을 하고 있다. EU는 순환경제에 대한 전략을 발표하고 친환경경제로의 전환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을 포함한 EU 역내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회원국 간 상이한 표준의 조화 및 국제기구에서 논의되는 기술표준 선정에 EU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기술표준화 관련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이해당사자들이 표준화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하고자 재정지원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이해당사자들의 표준화 관련 부담을 경감시키고 있다.
EU 차원에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은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며, 결국 회원국이 중소기업정책을 주도하고 있는바, 회원국 차원의 중소기업정책 특징을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국가경쟁력 지표 및 기업규모별 특징을 기준으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를 사례연구 국가로 선정했다. ‘히든 챔피언’으로 대표되는 독일은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국가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자본시장의 접근성이 낮아 정책적 지원 필요성이 높다. 공공 부문의 금융조달 프로그램이 대출, 지급보증, 보조금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Future of the German Mittelstand Action Programme)이 시행 중에 있다. 이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디지털화를 지원하는 미텔슈탄트-디지털 전략은 디지털화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기업 현황을 반영한 것으로, 디지털화의 인식 제고 및 기업환경이 상이한 중소기업에 대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R&D 금융지원 프로그램인 중소기업 주요 혁신 프로그램(ZIM)은 2012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중소기업의 국제협력 네트워크 지원으로 확대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기업이 위치한 지역의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참여하는 기업이 많을수록 지원규모가 커진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기업경영 및 기술혁신을 위한 자문 프로그램인 go-Inno와 기술이전을 지원하는 INNO-KOM은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go-Inno는 바우처를 통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 디지털화에 대한 외부 컨설턴트의 자문을 받고 비용을 보조받는 프로그램이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면서 기술력을 확보한 스타트업의 인수를 지원하는 정책인 Nexxt Change는 스타트업의 출구전략이면서 동시에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프랑스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대기업-중소기업 간 상생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에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하고자 2018년 PACTE를 발표했다. 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 함께 사는 사회 속 기업이라는 목표 아래 창업간소화, 실패기업의 재기지원, 기업양도, 금융지원, R&D 기술지원, 임금근로자에 대한 보상 등 광범위한 정책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기업-소기업-중기업-대기업으로 이어지는 기업성장단계별 정부지원과 기업부담이 서로 다른 만큼, 성장 중인 기업에 더 많이 혜택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기관이 다수 존재할수록 기업의 입장에서는 적절한 기관을 찾는 것이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하는 만큼 프랑스 정부는 중소기업 지원기관을 통합해가고 있다. 한편 대기업과 달리 경쟁력 제고와 기술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중소기업은 ‘경쟁클러스터’로 대표되는 정책을 통해 다양한 혜택을 받고 있다. 한곳의 클러스터에 입주한 기업, 기관, 연구단체 등이 기술개발, 인력교류, 정보교류를 통해 시너지를 증대하고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제고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런 지역별․분야별 클러스터는 스타트업정책인 La French Tech에도 반영되어 스타트업 지원은 물론 지역별로 특화된 스타트업 클러스터를 육성하고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을 유치하고 있다.
장인기업, 가족기업으로 대표되는 이탈리아는 스타트업이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투자협력을 통해 정책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와 달리 브랜드 관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인바, ‘Made in Italy’는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인증을 받은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제조공정과 제품의 경쟁력이 중소기업의 성공과 성장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이라는 점이 반영된 것이다. 한편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지역클러스터가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는 주요 산업 접근법을 통해 2011년 이후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책기반으로 삼고 중소기업이 혁신에 동참하도록 하기 위해 혁신인센티브제도(MIT)를 운영 중에 있다. 혁신자문, 타당성, R&D, 자문, 네트워크를 포괄하는 MIT는 중소기업 혁신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응용과학연구지원기관(TNO)을 통해 기술과 혁신을 필요로 하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특화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독립된 이들 연구기관들이 정부의 주무부처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정부에서 하지 못하는 역할을 보완하고 있다는 점은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부문의 지원을 가능하도록 한다.
앞에서 살펴본 EU 및 주요국의 중소기업정책 못지않게 한국의 중소기업정책도 매우 포괄적인 범위에서 전 부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사례와 비교할 때 다른 점은 미시적인 부문에서의 차이점, 시행과정에서의 차이점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기존 정책의 효과성 측정, 피드백 실시, 그리고 효율적 수행에서 전반적인 재검토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보고서는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클러스터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온라인 클러스터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온라인 클러스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기업이 직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클러스터 내의 통합지원, 클러스터 간 통합지원 등을 구분하여 추진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적 전략을 정밀하게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역량센터를 전국 곳곳에 설립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지금도 여러 성격의 지원센터가 전국에 산재해 있으나, 성과를 위해서는 ‘예컨대 중소기업의 디지털화를 위한 특화된 역량을 지원한다’는 분명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에도 각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물류산업이 특화된 곳은 물류 디지털화를, 마케팅과 전자상거래가 강한 곳은 전자상거래 지원 등으로 특성에 맞게 디지털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네덜란드나 스웨덴, 덴마크, 독일 등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연구기술연구소의 기능을 대폭 확충하여 중소기업이 연구개발, 기술적 애로, 인력 교육, 금융 및 세제 문제 등 구체적인 사안에 대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독립된 연구지원기관을 확산시키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한국형 통합 국가브랜드를 도입하여 브랜드파워가 약한 중소기업이 통합 국가브랜드의 도움을 받고 해외진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한류의 영향 등으로 한국의 국가브랜드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시대에 통합 국가브랜드는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통합 국가브랜드를 사용하게 되면 이것을 사용하기 위한 자격 요건을 갖추기 위하여 중소기업들이 자발적으로 품질 향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유인을 갖게 될 것이다.
다섯째, 중소기업의 국제화와 가치사슬 편입을 위하여 역외가공이 더욱 잘 활용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미리 구축해둘 필요가 있다. 무역원활화 차원에서 추진하는 정책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미래에 한반도에 역외가공지역을 구축하여 남북한 협력을 활성화하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도 특히 중요하다.
When speaking of the European economy,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hereafter SMEs) have been playing a pivotal role in creating jobs and adding value to products. In this sense, the EU and the Member States are focusing on SMEs for innovative growth as a core ele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eagerly supporting SMEs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Yet there is room for policy improvement. This report will overview the important aspects of SME policies of the EU and selected Member States. Based on the findings we will make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Korea’s SME policy.
European SMEs take a share of 99.8% among the total number of enterprises and account for 66.4% of the number of jobs, and 56.8% of value creation. Despite this high performance by European SMEs, their innovative competitiveness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at of the large enterprises in Europe. Moreover, many European SMEs complain about the hardships of internationalisation, particularly in finding international buyers, competing with other companies in similar fields, financing, etc., which is another indicator of their competitiveness.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 EU has been providing a number of guidelines and policies to support SMEs, such as the Small Business Act (SBA), COSME programme, funding, and programmes to assist their internationalisation and standardization. The SBA proposes 10 principles in promoting entrepreneurship, such as “Think Small First”, and access to finance, innovation and technology, based on which the governments of Member States have established domestic legislation on SMEs. COSME, an SME competitiveness enhancing programme, involves financing, internationalisation,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tc. In terms of funding, the EU is trying to ease the gap between SMEs and large-companies’ loan interest rates and to support market acces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by utilising EIC funding. In particular, the SME Instrument has been used to financially support SMEs with innovative technology. The EU has announced a strategy for the circular economy and is supporting the transition to an environment-friendly economy. The EU has also been reinforcing its support for standardization, not only for SMEs but enterprises of all sizes, to harmonise differing standards within the Member States as well as to have the EU standards adopt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Stronger financial support is being provided for the stakeholders in the discussion of standardization, to lessen their burdens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actively.
As the Member States ultimately lead policies to support SMEs with EU-level policy playing a supplementing role, it is important to analyse policy features at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based o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dex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we selected Germany, France, Italy, and the Netherlands for our case study. Germany, famous for its “hidden champions,” has been carrying out the “Future of the German Mittelstand” Action Programme to secure financial support and boost the growth of its SMEs. Based on this programme, the “Mittelstand-Digital” strategy operates to convince SMEs of the need to digitalize their operations and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he Central Innovation Programme for SMEs (ZIM) not only provides financial support for R&D at SMEs but has since been expanded into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network to support SMEs. The management and technical innovation consulting programme “go-Inno” and technology transfer support programme “INNO-KOM” are also assisting SMEs in practical terms.
France, facing a similar problem with Korea of ensuring the growth of both large companies and SMEs, announced the Action Plan for Business Growth and Transformation (PACTE) in 2018. PACTE provides a wide range of support, such as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firms, revitalise unsuccessful companies, company transfer, financing, R&D technology support, compensation for employees, etc. with the aim of easing the burden of emerging companies. The “competitive cluster” policy provides additional benefits for SMEs struggling with competitiveness issues and technical development, and the “La French Tech” policy aims to nurture regional start-up clusters and invite competitive start-ups.
Italy is supporting start-ups to become competitive SMEs through investment cooperation. The nation actively manages the brand “Made in Italy” and exercises strict quality control over SMEs authorized to use it, providing a good example of brand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mpanies. Italy also operates regional clusters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its SMEs.
The Dutch industrial policy is based on a top-sector approach. The nation operates an innovative incentive scheme (MIT) that aims to help SMEs take part in innovation, and which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for the role it plays. SMEs and start-ups can receive specialised support such as from the Netherlands Organisation for Applied Scientific Research (TNO). These research institutions link the companies with the government and complement the role of the government by providing the practical support that SMEs need.
Just like the SME policies of the EU and the Member States, Korea’s SME policies are comprehensive in scope and involve many different ministries in various ways. Despite these similarities, Korea’s policies mostly differ from the EU and the Member States at the micro level and enforcement processes. This indicates the ne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policies, obtain feedback, and perform an overall re-examination of their performance efficiency. In this context, and based on the case studies, we are suggesting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Korea.
First, it is essential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cluster network to improve utilization of the clusters. This online cluster network will enable the companies to receive integrated support directly by intra-cluster or inter-cluster support. To achieve this goal it is important to prepare a detailed phasing strategy.
Second, we can consider establishing nation-wide competence centres in Korea. Korea already has numerous types of SME support centres. For better performance it is crucial to present a clear and specific objective, for instance, providing specialised support for digitalisation of the SMEs. This should be done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logistics digitalisation for regions specializing in logistics and e-commerce support for regions where marketing and online business is active.
Third,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greatly expand the functions of technical research institutions, which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Netherlands, Sweden, Denmark, and Germany. Offering more assistance for research support institutions will help SMEs to receive the support they need with specific issues in the areas of R&D, technical difficulties, training human resources, finance and taxation problems, etc.
Fourth, the introduction of an integrated nation brand of Korea would help SMEs to export or expand overseas, especially those who lack a well-known brand name. Considering the elevated nation brand value of Korea, thanks to developments such as the Korean wave (Hallyu), establishing an integrated nation brand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ce Korea establishes an integrated nation brand, SMEs who wish to utilise it would voluntarily participate in efforts to improve their product quality and competitiveness in order to acquire the rights to use the integrated nation brand.
Fifth, it would be wise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basis for outward processing in advance to provide for the internationalisation of SMEs and their involvement in value chains. Policies to facilitate trade will be of great help toward this. Considering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establishing an area for outward processing would also be important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유럽의 중소기업 특징과 주요 정책
1. 유럽의 중소기업 특징
가. 개관
나. 회원국별 중소기업 특징 및 성과
2. EU 중소기업의 국제화 분석
3. EU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 및 제도
가. 중소기업법(SBA: Small Business Act)
나. 금융
다. 국제화 및 해외시장 접근 개선
라. 조세
마. Green Action Plan(GAP)
바. EU SME Envoys Network
사. 표준화 조화
아. 기타 지원
제3장 EU 주요국의 중소기업정책
1. 독일
가. 개관
나. 주요 정책
다. 평가
2. 프랑스
가. 개관
나. 중소기업 지원법 및 분야별 정책
다. 평가
3. 이탈리아
가. 개관
나. 중소기업법 및 주요 정책
다. 평가
4. 네덜란드
가. 개관
나. 주요 정책
다. 평가
제4장 한국 중소기업정책에 주는 시사점
1. 한국의 중소기업정책 개관과 현황
2. 해외 사례의 시사점
가. 클러스터 활용도 제고: 온라인 클러스터 네트워크 구축
나.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역량센터: 설립 및 역할 강화
다. 연구기술연구소(RTO)의 적극적 활용
라. 한국형 통합 국가브랜드 도입
마. 역외가공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 확충
제5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2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