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저자 김수진 발간번호 17-02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7.05.04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례없는 장·단기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주요 선진국 들의 민간투자 침체가 장기화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유동성과 실물투자 사이의 연결이 약화된 현상을 투자퍼즐로 정의하고, 글로벌 투자부진의 원인을 선진국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어온 (글로벌) 메가트렌드란 구조적 측면에서 설명한다. 총수요 채널을 통해 투자부진의 원인을 분석한 기존 투자 가속모형에 투자수요를 결정짓는 총내수의 설명변수로 서비스 산업으로의 이행, 고령화, 소득불평등을 추가하여 분석했다. 분석결과, 메가트렌드 변수는 민간투자와 뚜렷한 음의 관계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들 가운데 서비스 산업으로의 구조변화와 고령화가 민간투자 부진을 주요하게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산업으로의 이행이 민간투자 부진에 미치는 영향은 구조변화 시 나타나는 가격지배현상으로, 부정적으로 해석될 필요가 없는 반면, 고령화와 소득불평등의 영향은 민간투자 촉진차원에서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요구된다. 또한 개방경제 모형에서 무역상대국의 고령화와 소득불평등이 자국 민간투자에 미치는 전이효과가 유효하게 나타난바, G20 등 국제협의체 차원의 성공적인 거시정책공조가 글로벌 민간투자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Even at near-zero interest rates for a prolonged period since the financial crisis, why has business investment in advanced economies remained persistently below its pre-crisis level? This paper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roots of this investment puzzle from the global megatrend perspective. The empirical model of this study augmented the uncertainty-finance accelerator investment model with megatrend variables of a transition to service industry, ageing population and a rise in income inequality. The main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y have affected negatively the business investment over the period 1980-2014. The shift-to-service driven investment fall is the price-dominant effect during the transition, which is not necessarily pessimistic news, while the suppressing effects from ageing and a rise in income inequality require adequate policy reactions. In addition, the analysis finds significant negative spillover effects of trade partners' ageing and income inequality on a country's own private investment.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I expect that the G20’s efforts in inclusiveness with structural reforms will stimulate global business investment.
Keywords: investment, megatrends, aggregate demand, uncertainty, G20, inclusiveness
JEL classification: E20, F41, F42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Data
1. Investment
2. (Global) Megatrends
3. Uncertainty
III. Empirical Model: Augmented Demand Accelerator Model
IV. Results and Policy Implication
1. Closed Economy
2. Open Economy
V. Conclusion
Appendix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 46 |
---|---|
판매가격 | 3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