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북 경제협력과 북한의 경제발전 전망 경제발전, 북한경제

저자 찐 저, 쉬원지, 위즈 발간번호 15-05 자료언어 Korean/Chinese 발간일 2015.12.30

원문보기(다운로드:4,97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15년 8월 남북한 고위급 접촉이 성사됨에 따라 남북관계가 새 출발을 예고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진전을 이루고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통일대박 등 대북 구상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관계 개선은 중ㆍ북관계의 심화를 촉진할 것이며, 이는 다시 남북관계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선순환구조의 형성은 결국 북한의 변화와 발전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게 될 것이다.
고도로 집중된 계획경제체제는 장기적으로 사회주의와 맞지 않다. 이것은 중국의 개혁ㆍ개방 성공이 입증한 핵심 결론 중 하나이다. 하지만 북한에서 시장경제체제가 확립될지 여부는 북한당국 스스로의 결정에 달려 있다. 따라서 북한의 변화는 그들의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시작되기 어렵다. 여기서 중ㆍ북 경협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북한의 경제발전을 포함한 양국의 공동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시장경제적 요소를 도입ㆍ확대함으로써 북한의 변화를 추동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대북 경협에서 성공한 중국기업의 사례를 보면, 개발과 지원, 치부(致富)와 보상, 경제이익과 사회이익을 결합함으로써 협력쌍방의 공동이익을 형성하고 공동발전, 공동수익, 공동성공을 달성하였다. 중 · 북 경협의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대북 농업협력을 통한 북한의 현대적 농업경제 건설, 대북 인프라 지원을 통한 북한의 경제발전기반 마련, 대북 경제개발구 건설지원을 통한 북한의 대외경제협력 촉진, ‘일대일로’ 전략과 관련한 북한의 국제 경제협력 참여 지원, 북한의 시장경제 인재 양성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선 후 북한을 읽는 핵심 키워드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의 새로운 치국이념(治國理念)인 인민중심과 과기흥국(科技興國)은 변화된 정세와 환경에서 김일성 · 김정일 주의를 어떻게 현 실정에 맞게 견지할 것인가의 문제에 천착한 것이라고 보인다. 이는 향후 북한 주민들의 삶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또한 김정은 시대 들어서 북한당국은 새로운 경제적 조치들을 내놓고 있다. 물론 현재 북한의 새로운 경제적 조치들은 서구적 의미의 ‘개혁ㆍ개방’이라기보다는 발전전략의 재추진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북한은 제도적으로 사회주의제도, 발전로드맵으로 공업화전략, 발전방식으로 유한개방, 발전모델로 정부 주도의 원칙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세대 집권자인 김정은 제1위원장의 사명은 경제발전과 민생해결에 있다. 이미 집권의 관건기에 들어선 김정은 체제는 국내를 안정시키면서 점차 시선을 밖으로 돌리고 대외관계 해결을 중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직은 제한적이나마 대외경제협력 확대를 통해 국내적 변화를 이끌고 이를 통해 다시 대외개방을 촉진하는 것이 북한 변혁발전의 기본로드맵이다. 아울러 북한의 경제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성과를 거두자면 조화로운 외부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다. 이는 현재와 같은 제재와 대치 속에서는 진정한 변화와 개방을 추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북한의 대외관계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남북관계 개선이며, 북한으로서 는 변화와 발전을 위한 외부환경 조성에서 한국의 역할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킬 것이다. 한국이 그러한 역할을 현명하게 수행한다면 북핵문제를 해결하고 동북아협력과 유라시아시대를 열어 ‘통일대박’의 실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With inter?Korean high?ranking officials having a successful contact in August 2015,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gins their new relationship and Park Geun?hye government’s “trust building process” also makes progress. Political initiatives towards unification such as Park’s “Eurasia Initiative” is also expected to be invigorated. Together with a sincere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will develop China and North Korea’s relation and economic cooperation, which will also give positive effect to sound development of inter? Korean relation, and eventually facilitate favorable conditions for North Korea to take reform and development. The reform and opening up experience of China indicate that highly centralized planning economy system does not suit to socialism, thus should be abandoned without any hesitation. Whether a market economy can be established in North Korea rests on the self?innovation of its economic policy. However, in China? North Korea’s economic cooperation, applying to market economic ethics will further promote North Korea’s reforming momentum. It is wrong to set the goal of economic cooperation as conducting North Korea’s reform at the very beginning. The new development strategy which focuses on economic construction and the underlying determination to reform are the source of impetus for North Korea’s reform and development. What should be done in the first place is to establish common interests and strengthen the power of economic cooperation. North Korea can learn successful experience of Chinese enterprises through China?North Korea’s  economic cooperation, combining development with support, wealth with rewarding, economic benefit with social benefit, which will form common interests between the two parties. According to this, North Korea’s modern agricultural economy through agricultural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build foundations for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supporting in infrastructure,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supporting in establishing Nor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Zone and involve North Korea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implementation of “One Belt One
Road” strategy are needed. Entering the era of Kim Jong Un’s ruling, North Korea’s core key word is ‘Change’.
First Chairman Kim Jong Un’s new political ideas which is “Peoplecentered, National Prosperity led by science and technology” resolves the problem of how to adhere to the KIM Il Sung ? KIM Jong Il Doctrine in new situation and new environment and it will have a deep impact to liberat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s thoughts. After first chairman Kim Jong Un takes power, new economic development measures were established.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North Korea's current new economic development measures as reform and opening?up. It is better to consider it as the strategy of re?promoting modernization in a new period. In other words, from institutional perspective, it is a socialis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path, it is industrialization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method, it is limited opening, and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model, it is government?led.
The third generation?Kim Jong Un’s mission is to develop and resolve people’s livelihood issue. Besides, Kim Jong?un’s regime has already entered a crucial phase, where he needs to keep stabilizing domestic situation as well as pay more attention to foreign relationship management. Despite of the limited impacts of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North Korea’s basic path to development is still likely to be that the opening?up through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stipulates domestic reform, and such reform propels further openingup. Harmonious external environment would become indispensable for North Korea to achieve further development. While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sanction and confrontation, it is rather difficult to make material progress. In this sense, facilitating external environment can be deemed as necessary condition for North Korea to increase reforming efforts. The most important part in improving North Korea’s foreign relations is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There is thus no other choice but to expect the role of South Korea in the process of facilitating North Korea’s external environment for reform and development, and President Park Geun?hye’s import role in improving trust within Korea Peninsula is further highlighted. If South Korea is able to wisely fulfill such role, with North Korean nuclear issue’s being resolved, a new era of Eurasia and Northeast Asian cooperation will come and the reunification is possible to be realized. 

서언


국문요약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제2장 최근 북한경제 변화양상 분석

1. 김정은 집권 후 북한경제의 새로운 변화
2. 신규 이념과 조치에 대한 평가와 분석
3. 김정은 제1위원장 집권의 사명 및 발전 전망


제3장 중국과 북한의 현대화 경로 비교를 통해 본 북한의 과제

1. 단계별 특징과 원인
2. 북한경제의 장기간 쇠퇴 원인


제4장 중국의 개혁·개방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1. 배경과 초기 조건
2. 추진 단계와 내용
3. 중국 개혁·개방의 기본경험
4. 북한에 주는 시사점


제5장 중·북 경제협력의 현황과 발전전망

1. 기존 중·북 경제협력의 한계성
2. 중·북 경제협력에서의 시장의 역할(市場驅動)
3. 중·북 경제협력의 내용
4. 북한 내 시장경제 인재 양성


제6장 결론: 북한의 변화발전 전망

1. 기본전제
2. 기본환경
3. 원천동력
4. 발전로드맵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10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벨라루스 디지털 경제 발전과 한·벨라루스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2021-12-24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 IT 산업 발전과 한-러 협력: 러시아의 경제 구조 전환을 중심으로 2020-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