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본 연구는 개도국 경제성장 및 발전이론과 개발 과정에서 자원부국이 경험하는 특성 등을 고려하여, 몽골 경제 정책권고 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몽골 경제 연산가능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모형을 작성하여 정량분석을 시도하는 한편, 자원부국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로 정성분석을 수행하고, 양자를 결합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CGE 분석에서는 몽골의 광산품 생산‧수출 소득의 다양한 지출패턴이 초래하는 차별적인 장기 경제성장 결과에 주목하면서, 교육‧보건투자와 인프라스트럭처 투자가 지속적 장기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강조하였다. 정성분석에서는 어떻게 네덜란드병(Dutch Disease)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지속적 장기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발굴하였다.
1. CGE 모형과 정책실험
본 연구에서는 GTAP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4개 권역(몽골, 한국, 중국 및 기타세계), 16개 산업과 5개 생산요소(토지, 비숙련노동, 숙련노동, 자본 및 자연자원)로 구성된 글로벌 SAM과 GTAPinGAMS 모형을 작성하였다.
연구목적에 맞게 자연자원을 토지와 별개인 독립적인 생산요소(석탄, 광물, 기타 채취업 등 자원산업에만 투입)로 파악하였고, 자연자원 소득 모두가 몽골정부에 귀속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몽골정부가 각종 세금, 자연자원 소득과 자본수지(경상수지 적자)를 정부지출 또는 민간이전지출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자연자원 소득 모두를 정부가 사용할 수도 있고, 민간부문에 이전지출하여 민간소비 또는 투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몽골의 자원생산‧수출의 파급경로 분석을 위해 석탄, 광물, 기타채취업 등 자원산업을 그리고 이들 자원산업의 연관산업으로 기타광물제품, 철강제품, 기타금속‧금속제품 및 석탄‧석유제품을 별개의 산업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몽골 경제의 특성을 반영하여 육류‧산동물와 의류‧직물을, 그리고 인프라, 교육 등 장기성장 관련 산업으로 전기‧가스‧수도‧건설, 공공서비스와 사업서비스를 별개의 산업으로 가정하였다.
3장에서는 이를 사용하여 초기균형조건에 나타난 몽골 경제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4장에서는 같은 규모의 자연자원 생산증가 또는 소득증가의 다양한 지출패턴이 초래하는 차별적인 결과를 모의실험하였다.
자연자원 생산‧소득 100% 증가의 단기 시나리오(표 4-1의 B1)는, 자연자원을 투입하는 산업에서 수요증가, 정부의 소득 증가(지출패턴은 초기균형상태와 동일)로 재화와 요소시장 및 거시경제 부문에서 발생한 불균형이, 상대가격체계 조정으로 새로운 균형을 회복하는 기준 시나리오이다. 중기 시나리오(표 4-1의 B2)는 앞의 수요-소득 증가에 끝나지 않고 증가된 소득이 자본재, 교육(공공서비스) 또는 하부구조에 지출되면서 동 부문 생산증가로 연결되는 시나리오이다. 장기 시나리오(표 4-1의 B3)는 앞의 수요-소득 증가, 생산증가와 함께 생산성 증가가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중기효과 시나리오(B2)는 다시 B2_SK 시나리오(증가된 자원소득 100%를 자본재 생산에 지출), B2_SP 시나리오(교육 등 공공서비스 생산에 지출), B2_SU 시나리오(전기‧가스‧수도‧건설 등 하부구조 생산에 지출) 등 3가지로 나누어 정책실험하였다. 장기효과 시나리오(B3)도 B3_SP_T 시나리오(중기 시나리오 B2_SP의 장기 연장 시나리오로서 교육 등 공공서비스 생산증가에 따라 비숙련 및 숙련노동의 생산성이 10% 상승한다고 가정), B3_SU_T(중기 시나리오 B2_SU의 장기 연장 시나리오로, 전기‧가스‧수도‧건설부문 중간투입 생산성이 추가적으로 7% 상승한다고 가정) 및 B3_S_T 등 3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정책실험하였다. 특히 B3_S_T는 본 연구가 가설적으로 설정한 몽골의 자원소득 사용 장기발전 시나리오로, 자연자원 사용증가분의 40%를 하부구조(전기‧가스‧수도‧건설) 생산에 투입하고, 공공서비스 생산(교육 및 훈련) 및 자본재 생산(투자)에 각각 30%를 투입하는 시나리오이다. 이에 따라 노동생산성이 3%(B3_SP_T 시나리오에서 채택한 노동생산성 증가 폭(10%)의 30%에 해당하는 규모), 하부구조 중간재투입 생산성이 2.8%(B3_SU_T 시나리오에서 채택한 인프라 중간투입 생산성 증가 폭(7%)의 30%)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B2_S_T 시나리오의 분석결과 몽골의 GDP, 민간소비, 정부지출 및 투자 증가율은 각각 8.38%, 11.07%, 6.59% 및 32.84%로, 단지 자연자원 생산만을 증가시킨 기준시나리오 B1 대비 각각 4.55%포인트, 8.84%포인트, 7.20%포인트, 32.84%포인트 높았다. B1과 B2_S_T 양 시나리오에서 자연자원 100% 증가가 자연자원 및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대동소이했지만, GDP, 민간소비, 정부지출 및 투자 등 거시경제에 미친 영향은 대단히 차별적이었다. 단순히 자연자원 생산 또는 수출만을 증가시키는 패턴의 정책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교육 등 공공서비스 부문의 생산증가와 연계하는 정책과 인프라 구축에 투자(전기‧가스‧수도‧건설부문 생산)하는 정책이 몽골 경제의 장기 경제성장 잠재력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미래의 소비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다.
자원부국 개도국의 경우 자원을 채굴하여 수출하고 그 소득으로 현재의 소비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유인이 강하다. 당면한 빈곤문제와 사회적 불안정성을 극복하는 것이 현재 시점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빈곤문제, 불안정 문제를 일시적으로 완화할 뿐, 장기적인 빈곤퇴치 및 지속가능 성장과 연결되지 않는다. 재생불가능한, 그래서 고갈되어 가는 자원 사용에서 발생하는 가치를 미래에 투자(노동생산성 증가와 선진 기술 활용능력 제고, 인프라스트럭처의 질 향상, 자본축적 등)하는 리더십이 빈곤퇴치 및 지속가능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2. 자원부국 해외 사례와 시사점
경제발전 초기 단계에서의 자원수출은 해당 국가의 기초적인 부를 축적하게 해주어서 경제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데 절대적인 도움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자원수출과 현재 소비만 강조될 경우 오히려 제조업 기반을 무너뜨릴 수가 있고, 그 결과 경제성장의 동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네덜란드병(Dutch Disease)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천연자원의 수출을 통해 유입되는 외화자금을 국가가 제대로 관리한다면 제조업을 포함한 미래 성장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지만, 자원수출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외화자금을 적절하게 관리하지 못할 때에는 오히려 그 경제의 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국내로 유입된 통화를 관리하지 못하면 국내 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자국 화폐가치 절상으로 수출경쟁력을 하락시킬 수 있다. 또는 국내로 유입된 외환이 국민들에게 선심성으로 나누어지는 복지정책으로만 쓰인다면 국민들의 근로의욕 저하, 흔히 말하는 복지병에 걸려서 지속가능한 성장은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5장에서는 천연자원이 풍부한 국가의 경제발전 성공 및 실패 사례를 보면서, 몽골 경제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먼저, 네덜란드병의 기원이 되는 네덜란드 사례를 살펴본 후 유럽, 중앙아시아의 자원부국 사례를 살펴보았다. 네덜란드의 네덜란드병 극복정책은 노르웨이,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과 차이점을 보였지만, 네덜란드병의 기원을 설명하고 어떤 정책을 통해 극복했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했다.
무엇보다도 자원수출을 통해 조성된 자금으로 국부펀드를 조성하여 해외투자를 통한 자금 불리기 정책이 필요하다. 과거 몽골은 자원수출을 통해 조성된 자금을 모든 국민들에게 일정 금액의 현금으로 지급한 적이 있다. 당시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펼쳐진 일회적인 정책이긴 하지만, 앞으로 경제개발을 위해 추진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이러한 선심성 정책은 결국 몽골경제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몽골정부는 인프라 구축, 교육 등 공공서비스 개발을 위한 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하되, 국부펀드를 구축하여 미래의 재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3. 산업구조 발전전략 제언
한 산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제일수록 해당 산업의 총수요가 감소하거나 국제가격 하락과 같은 부정적인 충격이 찾아올 때, 그 경제는 큰 위험에 처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몽골은 광물자원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심지어 그 광물자원의 수출국 또한 중국으로 한정되다시피 하고 있다. 즉, 산업의 다양화뿐만 아니라 수출지역의 다변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의 다양화, 즉 현재 비교우위가 있는 산업의 전후방 연관산업의 발전이 필요하다. 몽골정부는 장기 경제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각 단계별 전후방 연관산업의 발전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먼저, 몽골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인 광물산업에서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현재 몽골의 광물수출 유형은 원재료 수출로 대변된다. 원재료를 수출할 경우 몽골 경제가 창출해 낼 수 있는 부가가치의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몽골 정부는 광물의 가공산업 육성을 이루어 내야 할 것이다.
둘째, 섬유 및 의류산업의 육성이다. 몽골은 양, 염소 등의 목축업이 발달되어 있다. 특히 캐시미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뛰어나서 유럽 등지로의 수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몽골에서 사육되는 양과 염소의 수는 5천만 마리에 육박하고 있다. 하지만 목축산업에서 더 높은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목축업의 대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다시 섬유 및 의류산업의 발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캐시미어와 가죽제품을 제외한 일반 섬유산업은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몽골은 면화가 아닌 목축산업을 이용한 가죽의류를 포함한 가죽제품 및 캐시미어 산업을 중점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관광산업의 육성이다. 몽골의 여행 최대 성수기는 7~8월뿐이다. 이 기간이 몽골의 날씨가 가장 좋으며 몽골 최대축제인 나담 축제가 열리는 시기이다. 추위가 시작되는 10월부터 봄까지는 관광비수기에 접어든다. 관광산업이 발달된 동남아시아에 비하여 외국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기간이 아주 짧기 때문에 현재의 몽골 관광산업은 미개발상태와 다름없다. 몽골은 이렇게 미개발된 관광산업을 개절별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 여름철 관광은 게르체험, 국립공원탐방, 문화체험 등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겨울철 관광을 위한 아이템은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일부 지역에 스키장이 건설되어 있기는 하지만 개장시기, 인프라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있다. 겨울철 해외여행객을 끌어들일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은 몽골에서 겨울철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한다면 관광비수기를 상당 폭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몽골의 겨울은 추위가 심하여 외부 활동하는데 지장이 많으므로 내부 활동이 가능한 관광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외국인 전용 카지노 개설을 생각할 수 있다. 몽골의 인접국인 중국인은 카지노를 즐긴다. 그리고 몽골을 찾는 해외 관광객 1위가 중국인이다. 그렇다면 몽골은 무엇보다도 중국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카지노 개장으로 많은 중국인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스키장과 인접한 곳에 카지노를 설치한다면 두 가지를 동시에 즐기려는 중국관광객을 성공적으로 유치할 가능성이 높다.
작은 내수시장, 약한 제조업 기반, 러시아와 중국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리적 위치 등 여러 가지 악조건이 몽골 경제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장기적으로는 앞서 제안한 일부 제조업의 발전, 나아가서는 관광서비스를 포함한 서비스시장 발전방향의 경제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CGE 분석에서는 몽골의 광산품 생산‧수출 소득의 다양한 지출패턴이 초래하는 차별적인 장기 경제성장 결과에 주목하면서, 교육‧보건투자와 인프라스트럭처 투자가 지속적 장기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강조하였다. 정성분석에서는 어떻게 네덜란드병(Dutch Disease)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지속적 장기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발굴하였다.
1. CGE 모형과 정책실험
본 연구에서는 GTAP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4개 권역(몽골, 한국, 중국 및 기타세계), 16개 산업과 5개 생산요소(토지, 비숙련노동, 숙련노동, 자본 및 자연자원)로 구성된 글로벌 SAM과 GTAPinGAMS 모형을 작성하였다.
연구목적에 맞게 자연자원을 토지와 별개인 독립적인 생산요소(석탄, 광물, 기타 채취업 등 자원산업에만 투입)로 파악하였고, 자연자원 소득 모두가 몽골정부에 귀속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몽골정부가 각종 세금, 자연자원 소득과 자본수지(경상수지 적자)를 정부지출 또는 민간이전지출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자연자원 소득 모두를 정부가 사용할 수도 있고, 민간부문에 이전지출하여 민간소비 또는 투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몽골의 자원생산‧수출의 파급경로 분석을 위해 석탄, 광물, 기타채취업 등 자원산업을 그리고 이들 자원산업의 연관산업으로 기타광물제품, 철강제품, 기타금속‧금속제품 및 석탄‧석유제품을 별개의 산업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몽골 경제의 특성을 반영하여 육류‧산동물와 의류‧직물을, 그리고 인프라, 교육 등 장기성장 관련 산업으로 전기‧가스‧수도‧건설, 공공서비스와 사업서비스를 별개의 산업으로 가정하였다.
3장에서는 이를 사용하여 초기균형조건에 나타난 몽골 경제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4장에서는 같은 규모의 자연자원 생산증가 또는 소득증가의 다양한 지출패턴이 초래하는 차별적인 결과를 모의실험하였다.
자연자원 생산‧소득 100% 증가의 단기 시나리오(표 4-1의 B1)는, 자연자원을 투입하는 산업에서 수요증가, 정부의 소득 증가(지출패턴은 초기균형상태와 동일)로 재화와 요소시장 및 거시경제 부문에서 발생한 불균형이, 상대가격체계 조정으로 새로운 균형을 회복하는 기준 시나리오이다. 중기 시나리오(표 4-1의 B2)는 앞의 수요-소득 증가에 끝나지 않고 증가된 소득이 자본재, 교육(공공서비스) 또는 하부구조에 지출되면서 동 부문 생산증가로 연결되는 시나리오이다. 장기 시나리오(표 4-1의 B3)는 앞의 수요-소득 증가, 생산증가와 함께 생산성 증가가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중기효과 시나리오(B2)는 다시 B2_SK 시나리오(증가된 자원소득 100%를 자본재 생산에 지출), B2_SP 시나리오(교육 등 공공서비스 생산에 지출), B2_SU 시나리오(전기‧가스‧수도‧건설 등 하부구조 생산에 지출) 등 3가지로 나누어 정책실험하였다. 장기효과 시나리오(B3)도 B3_SP_T 시나리오(중기 시나리오 B2_SP의 장기 연장 시나리오로서 교육 등 공공서비스 생산증가에 따라 비숙련 및 숙련노동의 생산성이 10% 상승한다고 가정), B3_SU_T(중기 시나리오 B2_SU의 장기 연장 시나리오로, 전기‧가스‧수도‧건설부문 중간투입 생산성이 추가적으로 7% 상승한다고 가정) 및 B3_S_T 등 3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정책실험하였다. 특히 B3_S_T는 본 연구가 가설적으로 설정한 몽골의 자원소득 사용 장기발전 시나리오로, 자연자원 사용증가분의 40%를 하부구조(전기‧가스‧수도‧건설) 생산에 투입하고, 공공서비스 생산(교육 및 훈련) 및 자본재 생산(투자)에 각각 30%를 투입하는 시나리오이다. 이에 따라 노동생산성이 3%(B3_SP_T 시나리오에서 채택한 노동생산성 증가 폭(10%)의 30%에 해당하는 규모), 하부구조 중간재투입 생산성이 2.8%(B3_SU_T 시나리오에서 채택한 인프라 중간투입 생산성 증가 폭(7%)의 30%)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B2_S_T 시나리오의 분석결과 몽골의 GDP, 민간소비, 정부지출 및 투자 증가율은 각각 8.38%, 11.07%, 6.59% 및 32.84%로, 단지 자연자원 생산만을 증가시킨 기준시나리오 B1 대비 각각 4.55%포인트, 8.84%포인트, 7.20%포인트, 32.84%포인트 높았다. B1과 B2_S_T 양 시나리오에서 자연자원 100% 증가가 자연자원 및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대동소이했지만, GDP, 민간소비, 정부지출 및 투자 등 거시경제에 미친 영향은 대단히 차별적이었다. 단순히 자연자원 생산 또는 수출만을 증가시키는 패턴의 정책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교육 등 공공서비스 부문의 생산증가와 연계하는 정책과 인프라 구축에 투자(전기‧가스‧수도‧건설부문 생산)하는 정책이 몽골 경제의 장기 경제성장 잠재력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미래의 소비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다.
자원부국 개도국의 경우 자원을 채굴하여 수출하고 그 소득으로 현재의 소비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유인이 강하다. 당면한 빈곤문제와 사회적 불안정성을 극복하는 것이 현재 시점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빈곤문제, 불안정 문제를 일시적으로 완화할 뿐, 장기적인 빈곤퇴치 및 지속가능 성장과 연결되지 않는다. 재생불가능한, 그래서 고갈되어 가는 자원 사용에서 발생하는 가치를 미래에 투자(노동생산성 증가와 선진 기술 활용능력 제고, 인프라스트럭처의 질 향상, 자본축적 등)하는 리더십이 빈곤퇴치 및 지속가능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2. 자원부국 해외 사례와 시사점
경제발전 초기 단계에서의 자원수출은 해당 국가의 기초적인 부를 축적하게 해주어서 경제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데 절대적인 도움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자원수출과 현재 소비만 강조될 경우 오히려 제조업 기반을 무너뜨릴 수가 있고, 그 결과 경제성장의 동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네덜란드병(Dutch Disease)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천연자원의 수출을 통해 유입되는 외화자금을 국가가 제대로 관리한다면 제조업을 포함한 미래 성장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지만, 자원수출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외화자금을 적절하게 관리하지 못할 때에는 오히려 그 경제의 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국내로 유입된 통화를 관리하지 못하면 국내 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자국 화폐가치 절상으로 수출경쟁력을 하락시킬 수 있다. 또는 국내로 유입된 외환이 국민들에게 선심성으로 나누어지는 복지정책으로만 쓰인다면 국민들의 근로의욕 저하, 흔히 말하는 복지병에 걸려서 지속가능한 성장은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5장에서는 천연자원이 풍부한 국가의 경제발전 성공 및 실패 사례를 보면서, 몽골 경제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먼저, 네덜란드병의 기원이 되는 네덜란드 사례를 살펴본 후 유럽, 중앙아시아의 자원부국 사례를 살펴보았다. 네덜란드의 네덜란드병 극복정책은 노르웨이,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과 차이점을 보였지만, 네덜란드병의 기원을 설명하고 어떤 정책을 통해 극복했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했다.
무엇보다도 자원수출을 통해 조성된 자금으로 국부펀드를 조성하여 해외투자를 통한 자금 불리기 정책이 필요하다. 과거 몽골은 자원수출을 통해 조성된 자금을 모든 국민들에게 일정 금액의 현금으로 지급한 적이 있다. 당시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펼쳐진 일회적인 정책이긴 하지만, 앞으로 경제개발을 위해 추진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이러한 선심성 정책은 결국 몽골경제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몽골정부는 인프라 구축, 교육 등 공공서비스 개발을 위한 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하되, 국부펀드를 구축하여 미래의 재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3. 산업구조 발전전략 제언
한 산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제일수록 해당 산업의 총수요가 감소하거나 국제가격 하락과 같은 부정적인 충격이 찾아올 때, 그 경제는 큰 위험에 처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몽골은 광물자원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심지어 그 광물자원의 수출국 또한 중국으로 한정되다시피 하고 있다. 즉, 산업의 다양화뿐만 아니라 수출지역의 다변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의 다양화, 즉 현재 비교우위가 있는 산업의 전후방 연관산업의 발전이 필요하다. 몽골정부는 장기 경제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각 단계별 전후방 연관산업의 발전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먼저, 몽골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인 광물산업에서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현재 몽골의 광물수출 유형은 원재료 수출로 대변된다. 원재료를 수출할 경우 몽골 경제가 창출해 낼 수 있는 부가가치의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몽골 정부는 광물의 가공산업 육성을 이루어 내야 할 것이다.
둘째, 섬유 및 의류산업의 육성이다. 몽골은 양, 염소 등의 목축업이 발달되어 있다. 특히 캐시미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뛰어나서 유럽 등지로의 수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몽골에서 사육되는 양과 염소의 수는 5천만 마리에 육박하고 있다. 하지만 목축산업에서 더 높은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목축업의 대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다시 섬유 및 의류산업의 발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캐시미어와 가죽제품을 제외한 일반 섬유산업은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몽골은 면화가 아닌 목축산업을 이용한 가죽의류를 포함한 가죽제품 및 캐시미어 산업을 중점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관광산업의 육성이다. 몽골의 여행 최대 성수기는 7~8월뿐이다. 이 기간이 몽골의 날씨가 가장 좋으며 몽골 최대축제인 나담 축제가 열리는 시기이다. 추위가 시작되는 10월부터 봄까지는 관광비수기에 접어든다. 관광산업이 발달된 동남아시아에 비하여 외국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기간이 아주 짧기 때문에 현재의 몽골 관광산업은 미개발상태와 다름없다. 몽골은 이렇게 미개발된 관광산업을 개절별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 여름철 관광은 게르체험, 국립공원탐방, 문화체험 등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겨울철 관광을 위한 아이템은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일부 지역에 스키장이 건설되어 있기는 하지만 개장시기, 인프라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있다. 겨울철 해외여행객을 끌어들일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은 몽골에서 겨울철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한다면 관광비수기를 상당 폭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몽골의 겨울은 추위가 심하여 외부 활동하는데 지장이 많으므로 내부 활동이 가능한 관광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외국인 전용 카지노 개설을 생각할 수 있다. 몽골의 인접국인 중국인은 카지노를 즐긴다. 그리고 몽골을 찾는 해외 관광객 1위가 중국인이다. 그렇다면 몽골은 무엇보다도 중국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카지노 개장으로 많은 중국인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스키장과 인접한 곳에 카지노를 설치한다면 두 가지를 동시에 즐기려는 중국관광객을 성공적으로 유치할 가능성이 높다.
작은 내수시장, 약한 제조업 기반, 러시아와 중국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리적 위치 등 여러 가지 악조건이 몽골 경제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장기적으로는 앞서 제안한 일부 제조업의 발전, 나아가서는 관광서비스를 포함한 서비스시장 발전방향의 경제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Mongolian Economy Development Strategy: CGE Analysis and Case study
Chang Soo Lee and Backhoon Song
RThis study derived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to Mongolian government by considering theories on economic development and past experience of other countries together. Specific methodologies adopted in this study ar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analysis and survey of policy experiences of natural resource abundant countries.
In CGE analysis, we specially emphasis on the effects of various fund allocations generated by export behaviors on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The results show that policies of investments on education, public service sectors, and infrastructure can generate higher economic growth rather than policies for current consumption expansion. In addition, we deliver how resource abundant countries overcome so-called Dutch Disease and pursue th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1. CGE model and simulation
Firstly we build Global SAM consisting of 4 countries (Mongolia, Korea, China, and Rest of World), 16 sectors and 5 production inputs and set up GTAPinGAMS model.
There are some assumptions that we take in this model to simplify the model. We assume that income generated from sales of natural resources is belong to government revenue, and then Mongolian government allocate this fund for the use of either government expenditure itself or for transfer to private sector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olicy that is oriented to increase export or income of natural resources is not effective enough. In the long run, when the government uses the fund for education, public service, and infrastructure the better economic result we could be anticipated.
Many developing countries endowed with abundant natural resources tend to use their budgets for current consumption because the government puts more weight on reduction of 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and social instability. However, this type of policy would only reduce those problems in temporal, not in the long run. Hence,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improve infrastructure and public services including education.
2. Case studies
In the beginning stage of a developing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the export of natural resources helps to upgrade the level of economy by accumulating capital. However, when the government emphasizes too much on export of natural resources and current consumption, it ends up with economic disaster that is well known as ‘Dutch Disease’. For example, the export fund causes domestic inflation, appreciation of domestic currency, and finally aggravates export competitiveness. When a country hands out export fund to people just for the sake of welfare, it prevents the economy from growing sustainably. However, when a country spends the export fund for future economic development not current welfare, that country will have the good chance to upgrade not only manufacturing sectors but also its sound economic structure.
In Chapter 5, we examin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 studies about th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 export funds to avoid dutch disease. A few years ago, Mongolian government distributed lump sum allowance to people.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used the political-patronage tactic on the electorate in order to gain votes. Since Mongolian government has many projects and policies to pursue its economic development, this kind of policy does not help the economic development at all. Hence, Mongolian government should pursue long-term economy policies such as build-up of infrastructure, strengthening of public service including public education. In addition, we suggest the Mongolian government set up its sovereign wealth fund as other countries have been doing.
3. Policy recommendation
Mongolian economy leans too much toward natural resource industries. One of problems that Mongolian economy faces is that its level of export dependence on natural resources is too high. Under this situation, when Mongolian economy is shocked by external factors for example sharp decline of international prices of natural resources, it would b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them. In addition, its export is too much concentrated toward China. Geographical property of Mongol that is in a deadlock by China and Russia makes it too difficult to find other trade partners due to transportation cost.
Mongolian government should diversify its economy structure into more processing oriented one. Mongolia’s main exports are the raw types of natural resources which is not creating higher value added. Rather creating new industries such as BT, IT etc that Mongolia has never have before, it should develop forward-backward industries of current existing industries. We suggest that when the government invests into processing industries for raw materials, the economy earns more value added.
Second, textile and cloth industries should be put on the top priority of economic development. Livestock farming such as sheep, and goat has comparative advantage than other countries. Especially cashmere products have a price comparativeness over other countries’ products, so it exports mainly to European countries.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50 million livestock in Mongolia. The competitiveness of textile and cloth can also be acquired when livestock farming industry should be promoted enlargement. When this is successfully done it leads the development of textile and cloth industries as well.
Third, Mongolian government should notice the importance of tourism. The peak season for tourism to Mongolia is only between July and August. During September to June, it is hard to attract foreign tourists to Mongolia because of cold weather con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Mongolian government needs to develop winter sightseeing merchandises.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China is a neighboring nation and Chinese like gamble, Mongolian government sets up gambling facility near ski resort, then it would attract Chinese into there in winter season. But, in order to reduce negative effects from gambling industry, the government should also set up a law that could prevent domestic people from using the gamble facilities.
Chang Soo Lee and Backhoon Song
RThis study derived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to Mongolian government by considering theories on economic development and past experience of other countries together. Specific methodologies adopted in this study ar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analysis and survey of policy experiences of natural resource abundant countries.
In CGE analysis, we specially emphasis on the effects of various fund allocations generated by export behaviors on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The results show that policies of investments on education, public service sectors, and infrastructure can generate higher economic growth rather than policies for current consumption expansion. In addition, we deliver how resource abundant countries overcome so-called Dutch Disease and pursue th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1. CGE model and simulation
Firstly we build Global SAM consisting of 4 countries (Mongolia, Korea, China, and Rest of World), 16 sectors and 5 production inputs and set up GTAPinGAMS model.
There are some assumptions that we take in this model to simplify the model. We assume that income generated from sales of natural resources is belong to government revenue, and then Mongolian government allocate this fund for the use of either government expenditure itself or for transfer to private sector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olicy that is oriented to increase export or income of natural resources is not effective enough. In the long run, when the government uses the fund for education, public service, and infrastructure the better economic result we could be anticipated.
Many developing countries endowed with abundant natural resources tend to use their budgets for current consumption because the government puts more weight on reduction of 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and social instability. However, this type of policy would only reduce those problems in temporal, not in the long run. Hence,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improve infrastructure and public services including education.
2. Case studies
In the beginning stage of a developing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the export of natural resources helps to upgrade the level of economy by accumulating capital. However, when the government emphasizes too much on export of natural resources and current consumption, it ends up with economic disaster that is well known as ‘Dutch Disease’. For example, the export fund causes domestic inflation, appreciation of domestic currency, and finally aggravates export competitiveness. When a country hands out export fund to people just for the sake of welfare, it prevents the economy from growing sustainably. However, when a country spends the export fund for future economic development not current welfare, that country will have the good chance to upgrade not only manufacturing sectors but also its sound economic structure.
In Chapter 5, we examin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 studies about th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 export funds to avoid dutch disease. A few years ago, Mongolian government distributed lump sum allowance to people.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used the political-patronage tactic on the electorate in order to gain votes. Since Mongolian government has many projects and policies to pursue its economic development, this kind of policy does not help the economic development at all. Hence, Mongolian government should pursue long-term economy policies such as build-up of infrastructure, strengthening of public service including public education. In addition, we suggest the Mongolian government set up its sovereign wealth fund as other countries have been doing.
3. Policy recommendation
Mongolian economy leans too much toward natural resource industries. One of problems that Mongolian economy faces is that its level of export dependence on natural resources is too high. Under this situation, when Mongolian economy is shocked by external factors for example sharp decline of international prices of natural resources, it would b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them. In addition, its export is too much concentrated toward China. Geographical property of Mongol that is in a deadlock by China and Russia makes it too difficult to find other trade partners due to transportation cost.
Mongolian government should diversify its economy structure into more processing oriented one. Mongolia’s main exports are the raw types of natural resources which is not creating higher value added. Rather creating new industries such as BT, IT etc that Mongolia has never have before, it should develop forward-backward industries of current existing industries. We suggest that when the government invests into processing industries for raw materials, the economy earns more value added.
Second, textile and cloth industries should be put on the top priority of economic development. Livestock farming such as sheep, and goat has comparative advantage than other countries. Especially cashmere products have a price comparativeness over other countries’ products, so it exports mainly to European countries.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50 million livestock in Mongolia. The competitiveness of textile and cloth can also be acquired when livestock farming industry should be promoted enlargement. When this is successfully done it leads the development of textile and cloth industries as well.
Third, Mongolian government should notice the importance of tourism. The peak season for tourism to Mongolia is only between July and August. During September to June, it is hard to attract foreign tourists to Mongolia because of cold weather con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Mongolian government needs to develop winter sightseeing merchandises.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China is a neighboring nation and Chinese like gamble, Mongolian government sets up gambling facility near ski resort, then it would attract Chinese into there in winter season. But, in order to reduce negative effects from gambling industry, the government should also set up a law that could prevent domestic people from using the gamble facilit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개요
2.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가. 몽골 경제발전 전략 연구
나. 개도국 원조 효과 파악을 위한 CGE 방법론
제2장 몽골의 경제 현황
제3장 CGE 모형 구조와 초기균형 몽골 경제 특성
1. 서론
2. CGE 모형의 구조
가. 개요
나. 산업부문
다. 가계와 정부 부문
3. 초기균형에 나타난 몽골 경제의 구조
가. 생산구조
나. 최종수요 구조
다.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와 산업별 수요
라. 세입구조
제4장 CGE 정량분석
1. 개도국 경제발전의 성장론 쟁점과 CGE 정책실험의 배경
2. 자연자원 생산증가의 CGE 정책실험
가. 분석 시나리오
나. 분석 결과
3. 기타 CGE 정책실험
가. 분석 시나리오
나. 분석 결과
제5장 자원부국 경제개발의 사례연구
1. 네덜란드
가. 네덜란드병의 원인 진단
나. 네덜란드병 극복정책
2. 노르웨이
가. 산업 및 수출구조
나. 노르웨이 국부펀드
다. 국부펀드 운용 현황
3. 러시아
가. 산업 및 수출구조
나. 러시아 국부펀드
다. 러시아 경제의 문제점
4. 카자흐스탄
가. 산업 및 수출 구조
나. 카자흐스탄 국부펀드
제6장 몽골 경제 장기발전전략 수립 및 정책적 시사점
1. 산업구조 측면의 발전전략
2. 몽골모형 결과와 발전전략
3. 해외 사례를 통한 발전전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개요
2.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가. 몽골 경제발전 전략 연구
나. 개도국 원조 효과 파악을 위한 CGE 방법론
제2장 몽골의 경제 현황
제3장 CGE 모형 구조와 초기균형 몽골 경제 특성
1. 서론
2. CGE 모형의 구조
가. 개요
나. 산업부문
다. 가계와 정부 부문
3. 초기균형에 나타난 몽골 경제의 구조
가. 생산구조
나. 최종수요 구조
다.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와 산업별 수요
라. 세입구조
제4장 CGE 정량분석
1. 개도국 경제발전의 성장론 쟁점과 CGE 정책실험의 배경
2. 자연자원 생산증가의 CGE 정책실험
가. 분석 시나리오
나. 분석 결과
3. 기타 CGE 정책실험
가. 분석 시나리오
나. 분석 결과
제5장 자원부국 경제개발의 사례연구
1. 네덜란드
가. 네덜란드병의 원인 진단
나. 네덜란드병 극복정책
2. 노르웨이
가. 산업 및 수출구조
나. 노르웨이 국부펀드
다. 국부펀드 운용 현황
3. 러시아
가. 산업 및 수출구조
나. 러시아 국부펀드
다. 러시아 경제의 문제점
4. 카자흐스탄
가. 산업 및 수출 구조
나. 카자흐스탄 국부펀드
제6장 몽골 경제 장기발전전략 수립 및 정책적 시사점
1. 산업구조 측면의 발전전략
2. 몽골모형 결과와 발전전략
3. 해외 사례를 통한 발전전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41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국제 논의와 한국기업 참여 가능성 연구
2024-11-13
ODA 정책연구
Assessing Vietnam’s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 Comprehensive Review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보조금 정책 개혁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벨라루스 디지털 경제 발전과 한·벨라루스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