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Economic Impact of Foreign Debt in Korea 금융위기

저자 황상인 발간번호 97-07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1997.12.30

원문보기(다운로드:68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최근 한국의 총외채가 급격히 증가하고 그중에서도 단기외채가 특히 급증하고 있다. 총외채의 규모 그 자체보다 외채 구조상 단기외채에 치중되어 있고 총외채 증가율이 높다는 점이 현 외채위기의 주요한 요인이다. 이와 같은 급격한 외채증가의 구조적 요인으로는 경상수지 적자의 누적, 기업의 과도한 투자, 관치금융, 노동시장의 유연성 부족 및 정부정책의 신뢰성 부족 등을 들 수있다.

본 연구의 계량분석에 의하면, 외채증가율의 증가는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외채가 적정수준으로 유지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저축을 늘리거나 투자를 줄여 경상수지를 흑자로 전환해야 하며 규제완화를 통해 외국인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외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정부는 외채의 규모와 구조의 추세를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는 등 외채관리체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Korea has recently experienced a rapid increase of total external debt and a predominance of short-term loans. Instead of the level of debt itself, the debt structure and the increase in the growth rate of deb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volved in the current debt crisis.

The empirical analysis on Korea's foreign debt indicates that an increase in the growth of debt is harmful to Korea's economy and that total external debt may not be sustainable. The result of the sustainability test implies that the gradual reduction of foreign debt to a certain level is desirable. In order to decrease the foreign debt, Korea needs to increase its current account surplus, either by increasing savings or by decreasing investment, and increase foreign direct investment through deregulation.

The structural problems associated with a rapid increase in debt are: accumulation of current account deficits; over-investment; a large amount of bank liabilities due to government intervention; labor market inflexibility; and a loss of policy credibility. These contribute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tremendous increases of foreign debt.

The current debt crisis was difficult to predict because it was caused by complex economic, financial and political events. For the efficient debt management, a possible solution is to set up an early warning system that can predict debt crisis.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at this point to improve the national debt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monitor and manage the scale and structure of outstanding debt. Then, Korea will be able to track down the flow of its debt structures and trends. In this way, Korea can plan and prepare well in advance to prevent future debt problems.
Abstract

I. Introduction

II. Foreign Debt Analysis

III. Economic Effects of Debt
1. Recent Research on Debt
2. VAR Approach
3. Economic Effects
4. Sustainability

IV. Structural Problems of Foreign Debt
1. Current Account Deficit
2. Over-investment
3. Bank Liability
4. Labor Inflexibility
5. Policy Credibility

V. Conclusion

Appendix Ⅰ. VAR and Impulse-Response Functions
Appendix Ⅱ. Data Source
Reference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42
판매가격 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금융위기 전개 과정 및 요인 분석: 복잡계와 머신러닝 방법론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신용공급 변동이 경제성장 및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 2020-12-30 연구보고서 금융불안지수 개발과 금융불안 요인 변화 분석 2018-12-31 연구보고서 글로벌 부동산 버블 위험 진단 및 영향 분석 2018-05-20 Working paper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U.S. Monetary Policy Surprises 2016-07-29 Policy Analysis Why Did Korean Domestic Demand Slow Down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2015-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불균형의 조정 전망과 세계경제적 함의 2014-12-30 지역연구시리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럽 은행산업의 대내외 환경 변화와 대응 전략 2014-12-26 지역연구시리즈 유럽재정위기에 대한 유럽중앙은행의 대응과 역할 변화 2014-12-22 연구보고서 금융통합이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 2013-12-30 연구보고서 국가 채무가 국가 신용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2-12-31 연구보고서 금융시장을 통한 효율적 환헤지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 2012-12-31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Domestic Public Debt Crisis 2011-11-24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미ㆍ중 경제관계 2010-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채권시장의 변화와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 2010-12-30 연구자료 글로벌 금융위기의 구조적 영향과 통상정책에 대한 시사점 2009-12-30 연구보고서 서브프라임 위기 이후 국제금융질서 재편과 시사점 2009-12-30 연구보고서 해외충격에 따른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에 대한 연구 2009-12-30 연구자료 장기불황 이후 일본경제의 구조변화와 글로벌 경제위기 2009-10-30 Proceedings Ten Years after the Korean Crisis: Crisis, Adjustment and Long-run Economic Growth 2008-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