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74/287

  • Consensus Toward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Consensus Toward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2016 년은 동북아 경제공동체 형성에 있어서 새로운 도전과제들이 제기된 해이다. 유럽 브렉시트 사건이 있었으며, 미국 대선과정에서는 보호주의 기조가 두드러졌다. 또한 북한의 핵실험과 이에 대응한 제재조치들로 역내 정치적 불안정성이..

    조이제 외 발간일 2016.12.30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Preface


    Contributors


    Introduction and Overview
    Cho Lee-Jay and Lee Chang Jae


    Statements by Hosts and Country Representatives

     

    Part I. Jilin Province’s Economic Development and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Part II. Cross-Border Infrastructure and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east Asia


    Part III. Future Tourism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Part IV. Building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Part V. Financi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Part VI. Energy and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Appendix 

    국문요약

      2016 년은 동북아 경제공동체 형성에 있어서 새로운 도전과제들이 제기된 해이다. 유럽 브렉시트 사건이 있었으며, 미국 대선과정에서는 보호주의 기조가 두드러졌다. 또한 북한의 핵실험과 이에 대응한 제재조치들로 역내 정치적 불안정성이 고조되었다. 한편 역내 협력증진에 긍정적인 움직임도 있었다. 한중일 FTA 협상이 꾸준히 진행되었으며, 상호 연계성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도 재확인되었다.
      동북아 연계성 증진을 뒷받침할 자금지원 논의도 지속되었다. 중국 주도의 아시아 인프라 투자은행(AIIB)이 추진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동북아개발은행은 이를 보완하는 동북아 역내 프로젝트를 위한 금융협력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과 기회가 상존하는 가운데 본고는 지역무역, 에너지, 교통·물류 인프라 개발 등 기능적 역내 경제협력에 초점을 둔 2016년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 2015 Trans-Pacific Intellectual Dialogue
    2015 Trans-Pacific Intellectual Dialogue

    KIEP와 하와이 EWC(East-West Center)는 2015 Trans-Pacific Intellectual Dialogue 주제 하에 국제세미나를 공동개최한 바 있으며, 한·중·일·미 4개국 전문가들이 모여 북태평양 지역 국가의 거시경제와 경제통합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해 토론하..

    정철 외 발간일 2016.12.30

    경제관계,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Contributors


    Introduction and Overview

    Mark Thoma


    Session 1 Trade


    China’s Emerging Trade Strategy: Drivers, Influence and Implications for North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Yong Wang


    1. Key Drivers of Change in China’s Trade Policy
    2. China’s Emerging Trade Policy
    3. Why will China Embrace Higher Standard FTAs?
    4. Integrate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AIIB into China’s Trade Policy
    5. Implications for the Global Trade Order and North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References


    China’s Belt-Road Initiative and Korea’s Eurasia Initiative

    Inkyo Cheong


    1. Introduction on Korea’s Eurasia Initiative
    2. China’s Belt-Road Initiative
    3. Korea’s Nordpolitik and Recent Performance of its Eurasia Initiative
    4.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High Diplomacy and Low (Domestic) Politics

    Claude Barfield


    1. Broad Themes and Analytic Frameworks
    2. Security/Diplomatic Rationale of Trade Policy
    3. The Low Domestic Politics of Trade: Who Wins and Who Loses
    4. The Political Problem Areas
    5. Concluding Observations


    Trade

    Comments by Taeho Bark


    Strengthening North Pacific Cooperation
    Comments by Theresa Greaney

     

    Session 2 Macroeconomic Perspectives


    Global Economic Problems and Emerging Market Economies’ Macroeconomic Policies

    Inchul Kim


    1. Introduction 102
    2. Global Economic Environment 103
    3. Analysis of Global Economic Problems 104
    4. Macroeconomic Policies for EMEs 109
    5. Conclusion 113


    References 114
    Economic Conditions in the US and the Uncertain Prospects for Future Economic Growth

    Mark Thoma


    1. Introduction
    2. The Current State of the US Economy
    3. Forecast for GDP
    4. Risks to Growth
    5. Conclusion


    References


    China’s New Economic Norms

    Yijiang Wang


    1. Introduction
    2. The Slowdown
    3. Features of the New Economy
    4. Concluding Remarks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nd the Struggle for the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Ming Wan


    1. Introduction
    2. The AIIB as an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
    3. The AIIB and International Order
    4. The AIIB and China
    5. Recommendation


    Macroeconomic Perspectives for Developed and Emerging Economies

    Comments by Michael J. Roberts


    1. Introduction
    2. Emerging Economies
    3. China 200
    4. The United States


    Macroeconomic Perspectives

    Comments by Yoon Je Cho


    1. Secular Stagnation
    2. China’s Economic Slowdown
    3. The Inclusion of RMB in the SDR Basket

    Session 3 Finance


    Strategies for Currency Convertibility: Korea’s Perspectives

    Jang Yung Lee


    1. Definition and Accepted Wisdom
    2. Benefits and Costs of Convertibility
    3. Strategies for Currency Convertibility
    4. Countries’ Experiences of Convertibility
    5. Conclusion and Policy Suggestions
    References


    Unconventional Monetary Policy, Spillovers, and Liftoff: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

    Marcus Noland


    1. Introduction
    2. How We Got Here
    3. Spillovers
    4. Liftoff
    5. Conclusions
    References


    Exploration of the Prospect of Cooperation between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PP in Global Economic Governance

    Xiaotong Shan


    1. Development Philosophy and Cooperation Approach of Belt and Road Initiative
    2. BRI’s Implications for the Global Economy
    3. Comparison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PP
    4. Cooperation betwee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PP for Global Economic Integration
    5. Mutual Learning betwee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PP
    6. A Preliminary Study on Cooperation betwee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PP
    7. Conclusion
    References


    Finance Issues

    Comments by Baybars Karacaovali


    Session 4 Major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Monetary Policy Response in Emerging Economies and North Pacific Cooperation

    Il Houng Lee


    1. Introduction
    2. Capital Flows and Impact on Emerging Markets
    3. Not Always an Efficient Allocation of Capital Across Borders
    4. Synchronization of Interest Rates
    5. Unsynchronized Business Cycles
    6.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onetary Policy
    7. Capital Flow Measures
    8. Strengthening North Pacific Cooperation


    Major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Comments by Taeho Bark


    Conference Program
    Program
    Participants 

    국문요약

    KIEP와 하와이 EWC(East-West Center)는 2015 Trans-Pacific Intellectual Dialogue 주제 하에 국제세미나를 공동개최한 바 있으며, 한·중·일·미 4개국 전문가들이 모여 북태평양 지역 국가의 거시경제와 경제통합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해 토론하고, 무역과 통화정책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지역경제의 안정과 발전을 위한 다각적 협력방안을 모색하였습니다.
     

  •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 태동과 한국의 대응방향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 태동과 한국의 대응방향

      중국이 국제금융질서에서 부상하는 양상은 서구 주도의 IMF 체제 내에서의 위상 강화, AIIB · NDB 같은 자국 주도의 MDB 설립 등 신금융질서 형성, 위안화 국제화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중국은 IMF에서 지분율 상향조..

    임호열 외 발간일 2016.12.30

    경제협력, 환율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구성과 방법


    제2장 중국 주도 신금융질서 태동의 의미와 전망

    1. 중국의 부상과 그 배경
    가. 중국의 부상과 국제적 위치
    나. IMF 체제의 개혁 요구
    다. ADB 독점체제와 AIIB 설립
    라. 위안화 국제화
    2. 중국 주도 신금융질서 태동의 성과와 한계
    가. IMF 지분개혁과 위안화의 SDR 편입
    나. 중국 주도의 국제금융기구 설립
    다. 위안화 국제화의 진전 상황
    3. 중국 내부의 개혁과제와 신금융질서 형성의 장애물
    가. 금융의 국제적 부상을 위한 내부 개혁의 필연성
    나. 금융 개혁과 개방의 성과
    다. 추가적인 개혁의 장애물
    4. 중국 주도 신금융질서의 전망


    제3장 중국 주도 국제금융기구의 구조와 운영

    1.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 설립목표, 자본 및 조직구조
    나. 사업 운영방식
    다. 사업 진행상황
    라. 기존 MDB와의 차별성
    2. 신개발은행(NDB)
    가. 설립목표, 자본 및 조직구조
    나. 사업 운영방식
    다. 사업 현황
    3. 실크로드 기금(Silk Road Fund)
    가. 설립목표, 자본 및 지배구조
    나. 사업 투자방식
    다. 사업 현황
    4. 중국 주도의 국제금융기구 발전 전망


    제4장 위안화 국제화 평가 및 위안화블록 형성 가능성

    1. 위안화 국제화 평가
    2. 위안화 국제화의 과제와 향후 전망
    가. 과제
    나. 향후 전망
    3. 위안화블록 형성 가능성
    가. 위안화 통화블록 논의
    나. 평가 및 전망


    제5장 한국의 대응전략

    1. 중장기 정책 대응방향
    가. 기본 방향
    나. 세부 대응방안
    2. AIIB 체제에의 대응
    가. 인프라 건설기업 참여방안
    나. 민간 금융기관 참여방안
    다. AIIB의 북한문제 접근법과 한국의 대응


    제6장 요약 및 결론

    1. 중국 주도 신금융질서 태동의 의미와 전망
    2. 중국 주도 국제금융기구의 운영과 발전 전망
    3. 위안화 국제화 평가 및 위안화블록 형성 가능성
    4. 한국의 대응전략
    5.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중국이 국제금융질서에서 부상하는 양상은 서구 주도의 IMF 체제 내에서의 위상 강화, AIIB · NDB 같은 자국 주도의 MDB 설립 등 신금융질서 형성, 위안화 국제화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중국은 IMF에서 지분율 상향조정을 줄기차게 요구하여 2016년 구조개혁안 발효로 3위의 지분율을 확보했으며 위안화가 SDR 바스켓에 역시 3위로 포함되는 값진 성과를 일구어냈다. 또한 중국은 ADB의 독점지대였던 아시아에 AIIB를 설립함으로써 대안적 다자개발은행(MDB)의 창설이라는 공감대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한편 위안화 국제화는 중국의 국제위상 강화라는 대외목표와 물가안정과 내부개혁의 동력이라는 대내목표하에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위안화의 무역결제 비중은 2015년 말 전 세계의 2% 내외, 투자 비중은 16.6%를 차지하였으나 채권시장 비중은 아직도 0.6%, 비축통화 비중은 세계 외환보유액의 1.1%에 불과하다. 따라서 위안화 국제화가 어느 정도 성과는 거두었으나, 중국의 경제력 신장과 비교하면 빠르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중국 주도의 금융질서가 자리 잡으려면 무엇보다 위안화 자유태환, 자본계정 개방, 환율 시장화 등을 계속 추진해야 하나 중국은 추가적인 개혁 · 개방에 신중한 접근을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자본개방이 초래할 경제위기 전이현상 우려, 둘째, 은행권에 대한 당국의 개입이 사라질 때 부실채권 증가와 은행 이윤율 저하, 그림자금융 만연, 셋째, 투자와 저가 수출 같은 구시대적 성장방식과의 완전한 결별 곤란, 넷째, 국유부문 지배 향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국이 관리 변동환율제를 유지하고 자본개방도 실험적으로만 허용하려는 만큼 국제금융 위상 및 위안화의 영향력이 단시일에 높아지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최근 위안화의 절상 기대가 꺾이면서 위안화 국제화의 추동력도 약화되고 있다.
      최근 출범한 중국 주도의 다자개발금융기구인 AIIB · NDB 및 실크로드 기금 등은 중국의 국가전략인 일대일로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고 위안화 국제화에 기여하고 있다. AIIB와 NDB는 적정수익률 추구, 표준화된 조달 절차, 세이프가드 등에서 기존 MDB와 유사하다. 그러나 설립목표가 인프라 지원에 집중되어 있고 중국이 30%의 지분으로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점, 위안화로 자금조달을 시도하고 대출절차가 기존 MDB에 비해 빠르고 간편하다는 점은 기존의 MDB와 차별화된다. 그리고 AIIB는 초기 사업으로 일대일로 연선국가에 대한 교통 · 전력 등 인프라 투자에, NDB는 BRICs 국가의 재생에너지 인프라 투자에, 새로 창설될 SCODB는 중앙아시아의 인프라 투자에 집중한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실크로드 기금의 경우 국가외환관리국 등이 투자한 중국의 정부기금이기 때문에 풍부한 외환보유액을 이용해 신속하고 과감한 투자를 시행함으로써 일대일로 사업의 자금창구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다. 반면 AIIB나 NDB는 MDB이기 때문에 자금조달과 투자결정에서 소정의 절차를 거쳐야 하고 국제기구 운영 노하우와 국제 인프라 시장 이해 등의 내부역량도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일대일로의 금융 지원은 당분간 실크로드 기금이 주도하고 AIIB와 NDB가 보조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들 기구는 유라시아에서 경제성 있는 프로젝트(bankable project)를 발굴하기 어렵고 중국 주도의 금융기구들이 국내외에서 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가 쉽지 않은 등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중장기적으로 이러한 과제를 극복해 국제금융기구로 안착하고 일대일로 건설 지원으로 위안화 국제화가 탄력을 받는다면 중국 주도의 새로운 금융질서도 점차 윤곽을 뚜렷하게 드러낼 것이다.
      한편 중국은 1997년 이래 위안화 국제화를 꾸준히 추진하여 위안화 무역결제의 확대, 역외 위안화시장 발달 촉진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위안화의 무역결제 기능과 투자통화 기능도 제고되고 있으며 위안화가 IMF의 SDR 통화 바스켓에 편입됨으로써 국제통화로서의 위상도 한층 높아졌다. 다만 최근까지 중국 정부가 위안화의 국제통화화를 위한 환율안정보다는 가치절하를 통한 경제성장 및 수출에의 기여를 우선시해 왔다. 따라서 위안화 국제화는 환율시장화 추진으로 환율 충격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어떻게 최소화할지, 중국 정부가 외부요인에 의한 개혁개방 차질에 어떻게 대응할지, 금융 건전성 감독과 국제부동자금의 유출입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할지와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여하튼 위안화 국제화는 중국의 국가전략이며 13 · 5 규획기간 동안 관련 제도를 정비 · 개선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일대일로 지역이 위안화 국제화의 핵심지역으로 점차 명확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 홍콩 · 대만 등 중화권 국가를 중심으로 위안화 통화블록 형성 논의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3대 측면을 종합해 보면 중국 금융의 지향 목표 및 내부 역량, AIIB의 사업 진행속도, 서구의 견제 등에 비추어 현재의 국제금융질서가 단기간에 중국 주도로 크게 바뀌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한국은 중국이 주도하는 새로운 국제금융기구와 위안화 국제화를 양대 축으로 하는 신금융질서에 대한 중장기 전략과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국익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우선 중국은 금융부실과 국제금융질서를 주도할 역량 불충분 등의 국내 문제와 선진국 중심의 기존 질서의 견제에 신중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기 때문에 한국은 적극적이면서도 치밀한 편승전략(bandwagon policy)이 필요하다. 가령 한국은 중국이 주창한 AIIB의 창립회원국으로 참여하였듯이 중국이 선도하는 제도와 기구에 대해 선제적인 평가와 발 빠른 참여가 필요하며 여기에는 정부와 민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울러 한국은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가 확산될 동남아, 서남아, 중앙아시아에서 적극적인 대응태세를 갖추는 동시에 동북아 개발 이니셔티브를 주도하는 이른바 투트랙전략을 구사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중국계 금융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위안화 채권 발행 등으로 홍콩 · 싱가포르 등과 차별화된 위안화 역외허브 육성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 한국이 AIIB Institute 설립을 선도하여 한국에 유치하고, 중장기적으로 북한 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한국 주도의 개발금융기구를 설립하는 방안도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AIIB 출범은 한국에는 도전이자 기회가 될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인프라 건설기업 및 민간 금융기관의 경쟁력과 인프라 시장 진출은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의 인프라 건설기업은 재원조달 능력, 기술경쟁력, 네트워크 구축 등에서 글로벌 역량이 부족하고 수주 이해도 미흡하여 MDB를 활용한 사업 참여가 부진하다. 따라서 인프라 건설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우리 기업의 역량 강화와 수주 확대전략 수립이 긴요하다. 기업의 역량은 전문인력 양성, 해외인력 파견을 통한 현지정보 수집능력 제고, 해외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동반진출 확대 등으로 보강하고, AIIB 사업은 본 사업은 물론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관련된 인프라 건설의 전후방산업에 대한 수주 확대를 모색해야 한다. 동시에 MDB 사업 참여방식도 MDB 주도형에서 투자개발형으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는 보증료 및 수수료 인하, MDB 조달시장 및 수주 정보 제공, 중견기업 참여 확대 등을 통하여 건설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민간 금융기관은 설문조사(ECA · 금융기관 등 152명 대상) 결과 영미계에 비해 금융자문 · 주선 능력, 딜소싱 채널 및 네트워크, 사업실적 및 시장평판 등 인프라 금융 경쟁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우리 금융기업의 AIIB 사업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AIIB 초기 발행 채권 인수, AIIB의 초기 사업 협조융자를 통한 사업실적(track record) 축적, 6대 경제회랑 내 해외지점 확충,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업무 및 중국 기업과의 협력 강화 등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또한 K-ECA의 보증부 대출을 활용한 리스크 축소, 공적개발원조(ODA) 자금 활용, 해외 인프라 금융에 적합한 내부 원가금리 부여, 건설기업 · K- ECA와의 해외 인프라시장 동반진출을 통한 딜소싱 채널 구축 등도 필요할 것이다. 정부도 해외 금융협력 강화, 금융주재관 파견, 해외 인프라 수주 ·투자지원센터 산하에 AIIB 센터 설립, 다원화된 해외 인프라 투자기구 재정비 및 특화 펀드 설치 등을 통하여 금융기관을 측면 지원할 필요가 있다.
      한편 북한의 경우 핵문제 해결이 선행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북한이 AIIB 비회원국인 데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 주도의 신질서에 합류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중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한국은 북한 개발과 통일비용을 염두에 둔 개발금융기구(동북아개발은행) 설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북핵문제 해결 후 이 개발금융기구가 동북아 및 북한 개발이슈와 연계하여 AIIB 등과의 협력을 주도함으로써 통일 한반도의 개발주도기구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는 아직 태동 단계에 있다. 일대일로 사업의 경우 서남아 등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반면 동남아에서는 주춤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경제력 팽창과 남중국해에서의 국경 분쟁 등으로 주변국들이 중국의 지나친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중국 주도의 AIIB · NDB 등 새로운 개발금융기구 역시 주변국의 능동적인 지원 없이는 순항하기 어렵다. 위안화 국제화도 아직은 발전단계이며 위안화 통화블록을 논의하기에는 시기상조로 보인다. 다시 말해 국제통화질서에서 위안화가 상당한 위상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지역통화질서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다 정교한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최근 한국의 AIIB 가입을 계기로 일각에서는 한국이 중국에 지나치게 경도되고 있다는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국익을 바라보고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 태동 추세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이 국제금융 주도 역량 부족과 주변국의 경계로 인한 일대일로 사업 지연 등으로 녹록지 않은 여건에 처해 있을 때 한국이 인프라 기업의 해외 자금조달과 신용평가, 제3국 공동 진출 등에서 선제적인 정책 공조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즉 중국의 신금융질서 형성에서 한국이 전략적 가치가 있을 때 발 빠른 협력을 강화하여 조력자로 부각될 수 있다면 이는 우리의 국익에 부합할 것이다. 

    정책연구브리핑
  • A New Measure of Inter-industry Distan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U.S. Regiona..
    A New Measure of Inter-industry Distan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U.S. Regiona..

    본 연구에서는 산업간 연계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지수(index)를 제시하였다. 이 지수는 기존 지수와 달리 한 산업의 생산물이 다른 산업의 중간재로 이용되기까지 거치는 수직적 생산 단계(vertical production stage)를 구분하고 각 단계에 가중치..

    윤여준 외 발간일 2016.12.30

    경제발전, 산업구조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2. Measure of Inter-Industry Distance

    3. The Empirical Analysis
    3-1. Model Specification
    3-2. Data Description
    3-3. Empirical Results

    4.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본 연구에서는 산업간 연계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지수(index)를 제시하였다. 이 지수는 기존 지수와 달리 한 산업의 생산물이 다른 산업의 중간재로 이용되기까지 거치는 수직적 생산 단계(vertical production stage)를 구분하고 각 단계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산업간 ‘거리’ 개념을 포함하였다. 이에 따라 본 지수는 산업간 연계성에 있어 더욱 포괄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본 연구는 개발된 지수를 이용하여 미국 각 지역의 ‘산업간 밀접도’를 측정하는 지수를 구축, ‘산업간 밀접도’가 해당 지역의 노동생산성과 양의 관계를 갖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는 지역 내 산업간 연계성이 집적효과(agglomeration effect)에 기여한다는 마샬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해당 지수가 산업간 연계성을 측정하는 대안적인 지수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핵심용어: 산업간 연계성, 직접효과, 생산성
     

  • 2015 KIEP Visiting Fellows Program
    2015 KIEP Visiting Fellows Program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989년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발족한 이래 우리나라의 세계지역연구를 선도해 왔으며 세계 유수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연구협력팀은 국내외의 연구자간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2009년도부..

    KIEP 발간일 2016.12.30

    경제관계,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Acknowledgements


    Notes on the Contributors


    1. Study on the Marine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Cao Zhongxiang

    Introduction

    Body

    Conclusions

    References


    2. Study on the Innovation Driven Industrial Upgrading in Korea
    Sheng Chaoxun

    Introduction

    The Course of Industrial Upgrading Driven by Innovation and

    the Main Measures of South Korea

    Chinese case: The New Situation and New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Driven Industrial Upgrading in China

    Conclusions

    References


    3. Gravity, Borders, and the Potential for Economic Integration in the Asia Pacific: Evidence from Korea and Russia
    Kiril Tochkov

    Abstract

    Introduction

    Methodology

    Data

    Results

    Potential Determinants of the Border Effects

    Conclusions

    References


    4. Korea’s FTA Strategy and its Implications to China
    Zhou Mi

    Introduction

    Body

    Conclusions

    References


    5. Are China’s Exports Crowding Out or Coexisting with Korea’s Exports in the Arab Region?
    Nashwa Mostafa Ali Mohamed

    Abstact

    Introduction

    The Performance of Arab Imports

    Determinants of Arab Imports Demand Function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Korean Exports towards Arab Region

    The Results

    References


    6. Free Trade between Korea and Mexico: Obstacles and Advantages
    Adolfo Alberto Laborde Carranco

    Summary

    Introduction

    Mexico-South Korea Bilateral Relations (1960-2014)

    Economic Relations between Mexico and South Korea

    Conclusions

    Appendix

    References

    Mexicon Figures


    7. The Role of MIKTA: Understanding Korean and Turkish Perspectives
    Selcuk Colako?lu

    Introduction

    MIKTA: A New Global Initiative

    Conclusion

    References


    8. China-US Bilateral Investment Treaty (BIT)
    Xu Man

    Introduction

    The Interest Demands of the U.S. from the China-US BIT

    The Interest Demands of China from China-US BIT

    Negative List as the Core Issue and Sticking Point: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 and Opening Up

    Suggestions on BIT Negotiation Strategy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989년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발족한 이래 우리나라의 세계지역연구를 선도해 왔으며 세계 유수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연구협력팀은 국내외의 연구자간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2009년도부터 「방문학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세계 각국의 유수한 학자와 지역연구 전문가를 초청하여 세계 지역에 대한 연구 성과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협력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2015 KIEP Visiting Fellows Program은 그의 일환으로 출간되는 성과물로, 이를 통하여 다양한 학자들의 연구 역량과 견해를 통찰하고자 합니다.
     

  • 제2회 KU-KIEP-SBS EU센터 대학(원)생 EU 논문공모전 수상논문집
    제2회 KU-KIEP-SBS EU센터 대학(원)생 EU 논문공모전 수상논문집

    KU-KIEP-SBS EU센터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고려대학교, SBS와의 컨소시엄으로 설립되었으며, EU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지원을 받는 유럽 교육·연구 및 공공외교 기관으로서 2014년 5월 출범하였습니다. KU-KIEP-SBS EU센터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6.12.28

    에너지산업, 자본시장
    원문보기
    목차

    [ 대상 ]


    Financial Intermediaries, Volatility, and Cross-Border Lending: Empirical Evidence from the Euro Area
    RYU DonghanㆍSON Jang Ho


    Ⅰ.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Econometric Framework and Data Description

    IV. Empirical Results

    V. Conclusion

    References

     

    [ 우수상 ]


    EU Energy Policy Agenda and European Commission: The Case Study of Energy Union Agenda-Setting Strategy
    SOHN Hyodong


    Ⅰ. Introduction

    II. European Commission and (Energy) Policy Agenda-Setting

    III. Case Study of European Commission Agenda Strategy: Energy Union

    IV.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KU-KIEP-SBS EU센터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고려대학교, SBS와의 컨소시엄으로 설립되었으며, EU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지원을 받는 유럽 교육·연구 및 공공외교 기관으로서 2014년 5월 출범하였습니다. KU-KIEP-SBS EU센터에서는 유럽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EU 지역연구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제2회 KU-KIEP-SBS EU센터 대학(원)생 EU 논문공모전』을 개최하였고, 본 논문공모전의 수상작 두 편을 모아 수상논문집을 발간하였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KU-KIEP-SBS EU센터는 논문공모전 실시를 통해 유럽통합을 비롯하여 EU의 경제, 정치 및 사회현상과 관련된 이슈를 분석하고 EU와 한국 간의 협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제시에 기여할 것입니다.
     

  • What Explains Current Account Surplus in Korea?
    What Explains Current Account Surplus in Korea?

    1997년 외환위기 이후부터 한국은 지속적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이어 왔으며, 최근 급속히 증가하여 2015년에는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GDP의 7.7%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이 이토록 큰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를 경험하고 있는 이유를 OECD 국가..

    한치록 외 발간일 2016.12.16

    금융정책, 환율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Contributors

    1. Introduction 

    2. Korea and Global Imbalances

    3. Data and Methodology

    4. Decomposition of Korea’s Current Account Surplus

    5. Policy Implications

    6.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1997년 외환위기 이후부터 한국은 지속적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이어 왔으며, 최근 급속히 증가하여 2015년에는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GDP의 7.7%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이 이토록 큰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를 경험하고 있는 이유를 OECD 국가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상수지가 최근에 증가하는 이유는 한국이 겪고 있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주로 기인한다. 고령화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다른 OECD 국가들의 경우에도 인구구조의 변화는 이들 국가의 경상수지 변화가 장기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대체로 잘 설명한다. 한국의 경상수지는 장차 인구구조의 변화를 반영하여 2042년에는 0으로 줄어 들고 그 후에는 경상수지가 적자로 전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를 줄이기 위하여 환율을 조정하거나 정부재정을 확대하도록 권고받고 있는데 이러한 정책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1%의 경상수지를 줄이기 위해 환율은 12%의 절상이 필요하며, 정부재정은 GDP 대비 5-6%의 적자재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치는 환율 및 재정정책의 내생성을 고려하지 않는 수치이며, 이들 변수들의 내생성을 고려한 경우 환율이 경상수지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1.6배 늘어나는 데 그치고 재정정책의 효과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핵심용어: 경상수지, 인구구조, 고령화
     

  • Government Spending Policy Uncertainty and Economic Activity: U.S. Time Series E..
    Government Spending Policy Uncertainty and Economic Activity: U.S. Time Series E..

    본 연구는 미국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정지출정책의 불확실성이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재정지출정책 불확실성 지수를 구축한 후 도구변수를 사용한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proxy SVAR)을 이용하여 재정지출정책..

    김원기 발간일 2016.12.16

    경제전망, 조세제도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Contributor

    1. Introduction

    2. Literature

    3. Government Spending Policy Uncertainty Index: Construction and Evaluation

    4. Econometric Method and Data

    5. Results

    6. Discussion

    7. Concluding Remarks

    Appendix

    References
     

    국문요약

    본 연구는 미국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정지출정책의 불확실성이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재정지출정책 불확실성 지수를 구축한 후 도구변수를 사용한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proxy SVAR)을 이용하여 재정지출정책의 불확실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재정지출정책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경우 민간소비와 투자 등 민간경제활동이 상당한 정도로 위축되며,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상당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축차구조를 가정한 구조적 벡터 자기회귀모형(recursive SVAR)의 경우 내생성(endogeneity) 문제로 인하여 이러한 불확실성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용어: 수출부가가치, 옵쇼링, 거래비용 

  • The Economic Effects of Labor Force Enhancement in the Asia-Pacific Region by Tr..
    The Economic Effects of Labor Force Enhancement in the Asia-Pacific Region by Tr..

    본 연구는 가장 최신의 분석자료인 Global Trade Analysis Project DB version 9를 축차동태일반균형모형에 적용시켜 APEC 차원에서의 무역자유화에 따른 노동생산성 개선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관세감축을 적용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성한경 발간일 2016.11.30

    APEC,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Gains in Labor Productivity from Trade Liberalization

    Ⅲ. Economic Effect of Labor Productivity Gain by Trade Liberalization

    Ⅳ. Results

    Ⅴ. Concluding Remarks

    Appendix

    References
     

    국문요약

    본 연구는 가장 최신의 분석자료인 Global Trade Analysis Project DB version 9를 축차동태일반균형모형에 적용시켜 APEC 차원에서의 무역자유화에 따른 노동생산성 개선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관세감축을 적용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이 연구는 Ahn et al. (2016)에 보고된 노동생산성의 변화에 관심을 둔다.
    분석 결과들은 노동생산성 증대에 따른 국가의 실질 GDP 증가를 보여준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동일한 수준의 노동생산성 증대에 대해 무역자유화의 편익이 선진국에서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생산구조나 경제규모에 따른 효율성이 선진 경제권에서 더 잘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태지역 국가들이 무역자유화를 추진할 또 다른 유인을 제공한다.
     

  • Paths and Strategies towards the FTAAP: Linking Integration and Inclusive Growth
    Paths and Strategies towards the FTAAP: Linking Integration and Inclusive Growth

      아태자유무역지대(FTAAP: Free Trade Area of the Asia-Pacific)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청사진이 제시되고 있지만, 무역과 투자 자유화를 APEC 회원국들의 포용적 성장과 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태이다. 무역과 ..

    최병일 발간일 2016.11.30

    APEC,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Why ‘Inclusive Integration’?

    1. What is ‘Inclusive Integration’?
    2. Trade Liberalization and Inequality
    3. Cost of Less-Inclusive Integration


    Ⅲ. FTAAP: Current State of Play and Missing Link

    1. Pathway to the FTAAP
    2. Assessment of Scenarios
    3. Missing Link in the Current Scenarios


    Ⅳ. Strategy for Realizing Inclusive Integration with the FTAAP

    1. Negotiations Front
    2. Domestic Policy Front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아태자유무역지대(FTAAP: Free Trade Area of the Asia-Pacific)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청사진이 제시되고 있지만, 무역과 투자 자유화를 APEC 회원국들의 포용적 성장과 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태이다. 무역과 투자에 대한 APEC 회원국들의 태도는 보다 더 개방적으로 변화했지만 국내적인 왜곡은 여전해서, 포용적인 성장으로 연계되는 데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특히 경제적 약자들은 외생적 충격에 취약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왜곡 상태에 신속하고 진지하게 대처하지 않는다면, FTAAP를 추진할 수 있는 정치적 추동력은 갈수록 약화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FTAAP 논의가 포용적인 경제성장과 연계되기 위한 협상과 국내개혁 두 가지 측면에서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 협상의제를 만들기 위해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대타협이 필요하다. 선진국은 지금까지 정치적 반발을 이유로 개방의 예외 지대로 남겨두었던 분야 - 개도국의 수출가능 분야 - 를 개방하고, 개도국은 21세기 디지털 경제관련 무역쟁점 협상에 동의하며, 선진국과 개도국은 비관세 조치와 투자분야 협상에 동의할 필요가 있다. 대타협의 가능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각국은 국내적으로 인력개발과 숙련도 향상에 투자하고 무역조정지원제도를 현실적으로 손질해야 한다. 개방약속은 회원국의 역량에 맞게 2단계로 나누어 적용한다. 둘째, 지금까지 포용적 성장에 장애물이었던 심각한 주요 왜곡 - 신규진입자가 아닌 기존 시장참여자를 편드는 정책, 경직적인 노동시장, 일부 소수만 접근가능한 자본시장, 턱없이 취약한 사회안전망 - 을 신속하게 시정해야 한다.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