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146/287

  • WTO 규범협상의 현황과 향후 과제
    WTO 규범협상의 현황과 향후 과제

    본 연구는 DDA 규범협상과 관련하여 첫째, 반덤핑규범 협상에서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활용해 온 Friends Group과의 공조체제를 일관되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우리나라가 수세에 몰려 있는 수산보조금 협상에서는 비슷한 처지에 있는 다른 ..

    박노형 외 발간일 2010.08.13

    무역정책, 반덤핑제도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무역 및 산업 구제조치의 현황 및 WTO 규범협상
    1. 주요국의 무역구제조치 동향
    가. 반덤핑조사 및 조치 동향
    나. 보조금조사 및 상계관세조치 동향
    2. 주요국의 최근 산업구제조치 동향
    가. 최근 위기극복을 위한 국가재정 투입의 급증 추세와 주요 특징
    나. 최근 주요 산업에 대한 산업구제조치 사례
    다. 한국경제에 대한 파급효과
    3. WTO 규범협상의 의의


    제3장 반덤핑협정 관련 WTO DDA 규범협상의 현황 및 평가
    1. 반덤핑협정 관련 DDA 협상 경과
    가. 도하각료선언 반덤핑 관련 위임사항(Doha Mandate)
    나. 규범협상그룹의 논의 동향
    2. 반덤핑협정 관련 DDA 협상의 주요 쟁점 및 주요국 입장
    가. 제로잉
    나. 제소 적격
    다. 미소마진으로 인한 조사 종결
    라. 일몰재심
    마. 최소부과원칙
    사. 반덤핑조사 절차
    아. 우회덤핑 방지
    3. 반덤핑협정 2007년/2008년 개정초안 분석
    가. 2008년 초안에서 철회된 쟁점
    나. 2008년 초안에서 수정된 쟁점
    다. 기타 - 2008년 초안에 포함되지 않은 쟁점


    제4장 보조금협정 관련 WTO DDA 규범협상의 현황 및 평가
    1. 보조금협정 관련 DDA 협상 경과
    2. 보조금협정 관련 DDA 협상의 주요 쟁점 및 주요국 입장
    가. 일반보조금
    나. 수산보조금
    3. 보조금협정 2007년/2008년 개정초안 분석
    가. 일반보조금 분야
    나. 수산보조금 분야


    제5장 WTO DDA 규범협상의 종합 평가와 한국의 협상전략
    1. DDA 협상의 종합적 평가
    2. DDA 규범협상의 주요 이슈별 한국의 협상전략
    가. 반덤핑협정 관련 주요 이슈별 한국의 입장
    나. 일반보조금/수산보조금 관련 한국의 입장


    제6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주요 결론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본 연구는 DDA 규범협상과 관련하여 첫째, 반덤핑규범 협상에서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활용해 온 Friends Group과의 공조체제를 일관되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우리나라가 수세에 몰려 있는 수산보조금 협상에서는 비슷한 처지에 있는 다른 개도국들과 보다 강한 공조체제를 구축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는 두 가지의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무역원활화를 위한 한중일 3국의 관세행정 협력방안: AEO 제도의 상호인정 추진방안을..
    무역원활화를 위한 한중일 3국의 관세행정 협력방안: AEO 제도의 상호인정 추진방안을..

    9.11 테러 이후 국제적으로 수출입공급망에 전체에 대한 안전확보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반면 각국은 적법한 교역화물에 대해서는 원활화를 도모해야하는 과제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무역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AEO로서, 수출입공급..

    정형곤 외 발간일 2010.08.13

    무역정책,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AEO 제도의 출범 배경 및 추진경과
    나. 한ㆍ중ㆍ일 3국 간 AEO 상호인정협정 체결의 필요성
    2. 연구의 차별성 및 방법론


    제2장 국제무역에서의 AEO 제도 도입 현황 및 상호인정 추진 현황
    1. 국제무역에서의 AEO 제도 도입 현황
    가. WCO의 SAFE Framework
    나. 미국의 C-TPAT 프로그램
    다. EU의 AEO 제도
    2. AEO 상호인정의 필요성 및 체결 현황


    제3장 한ㆍ중ㆍ일 3국의 AEO 제도 현황 및 상호비교
    1. 한국
    가. AEO 제도 도입 경과 및 운영 현황
    나. AEO 제도의 주요 내용
    다. 상호인정 추진 현황
    2. 중국
    가. AEO 제도 도입경과 및 운영 현황
    나. 주요 내용
    3. 일본
    가. 도입배경 및 운영 현황
    나. AEO 제도의 특성 및 체계
    다. 상호인정 추진 현황
    4. 소결


    제4장 한ㆍ중ㆍ일 3국 간 AEO 상호인정 추진방향 및 한국의 과제
    1. 한ㆍ중ㆍ일 3국 간 AEO 상호인정 관련 핵심 이슈
    가. AEO 상호인정협정 대상으로서의 우선순위
    나. AEO 제도의 차이점과 조정 가능성
    다. 양자 혹은 3자 간 협정의 적합성
    2. 한ㆍ중ㆍ일 MRA 추진방향
    가. 1단계
    나. 2단계
    다. 3~4단계
    3. 한국의 전략적 과제
    가. 전략적 우선순위 결정 및 추진로드맵 수립
    나. 상호인정을 위한 지원시스템 개선
    다. 국가 정보화 경쟁력의 전략적 활용
    라. 역내(APEC) 상호인정협정의 선도를 위한 노력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9.11 테러 이후 국제적으로 수출입공급망에 전체에 대한 안전확보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반면 각국은 적법한 교역화물에 대해서는 원활화를 도모해야하는 과제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무역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AEO로서, 수출입공급망의 안전확보 차원에서 일정수준의 안전수준을 충족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무역원활화의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는 한편 그렇지 못한 업체에 대해 집중관리함으로써 세관당국이 효과적으로 국경안전보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민ㆍ관협력 프로그램이다. 최근에는 각국에서 개별적으로 도입한 AEO 프로그램의 상호인정을 추진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는데, 수출입 중 상대국 세관에서 화물의 안전조치를 이유로 수출입 요건을 강화하고 검사율을 높이는 등 AEO 제도가 새로운 통관장벽으로 작용하면서 많은 국가들이 주요 무역대상국과 서둘러 상호인정협정에 착수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현재 미국, 캐나다 등과의 상호인정협정은 마무리 단계에 있으나, 교역대상국으로서의 중요도를 고려할 때 중국, 일본과의 상호인정협정 추진이 시급히 필요하다. 특히 중국의 경우 국내기업의 현지법인의 수입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상호인정이 한국기업에 미치는 통관상의 혜택이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3국 AEO제도의 특성과 상호인정협정 추진현황을 비교검토하여 3국간 AEO 상호인정협정 추진을 위한 전략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이에 한중일 3국의 제도적 특성을 비교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한 특성이 나타났다. 첫째, 한중일 AEO 공히 보안중심의 프로그램보다는 관세심사 및 보안부문을 포괄하는 프로그램으로 분류되고 있어 일본-미국의 경우처럼 불완전한 상호인정 협정이 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둘째, AEO 대상범위는 가장 늦게 도입된 한국이 가장 포괄적으로 규정하였으며, 중국이 가장 좁은 범위를 포괄하고 있다. 셋째, 평가요건은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으나 WCO Safe Framework를 기반으로 유사한 평가요건을 포함하고 있다. 넷째, AEO 인증에 따른 특혜는 통관절차의 간소화 및 관련비용의 절감이라는 기본방향은 동일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공인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되는 특혜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다는 점에서 중국, 일본과의 상호인정 체결로 인한 국내기업의 혜택이 보다 클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한국의 경우 AEO 도입시기가 늦어 공인기업의 수도 가장 적으나 기업차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바 그 격차는 빠르게 해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AEO 공인 절차는 한중일 3국 모두 미국 CBP에서 제안하는 4단계 프로세스를 따르고 있다. 일곱째, 한중일 3국의 AEO 상호인정정책 또한 공히 미국, EU 등 거대 경제권과의 협정을 우선 추진하는 등 유사한 행태를 보이고 있는 바, 다음 단계의  핵심 논의대상은 한중일 3국간 상호인정협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마다 AEO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호인정은 각각의 차이를 어떻게 조정ㆍ합의해 나가는지가 중요하다. 특히 한중일 3국의 경우와 같은 다자간 상호인정의 경우 조정 및 합의과정에서 보다 다양한 이견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3국간 상시협력시스템 구축을 통해 이러한 요인들을 단계적으로 해소해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미국 관세환경보호국(CBP)가 제안하고 있는 4단계 절차를 기준으로 단계별 추진방향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단계는 프로그램의 상호비교가 이루어지는 단계로, 중국, 일본간 정기적 교류가 가능한 공동연구협의체의 구성 및 이를 통한 상호방문의 정례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2단계는 양국의 시범 합동방문실사가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동 단계의 소요시간을 가장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협동연구협의체 하에서의 관세청 담당자의 파견 및 상호방문을 통해 합동실사 이전에 충분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실사 시에는 주요문제점의 보완여부 등을 중심으로 체크하는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3~4단계는 상호인정서 서명 및 정보교환 등 추가적인 사항에 대한 논의를 통해 상호인정 운영절차를 개발하는 단계로서, 효과적인 조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 또한 공동연구 및 협의체를 통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게는 단순히 한중일 3국의 여부를 떠나 상호인정 자체의 정책적 중요성 또한 큰 반면, 도입시기는 상대적으로 늦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과제를 중심으로 보다 체계적인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 첫째, 상호인정협정 체결을 위한 전략적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 추진로드맵을 수립하여야 한다. 둘째, 상호인정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AEO 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관련예산의 안정적인 확보, 중소기업 등 인증기업 확대를 위한 지원제도의 수립ㆍ보완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우리의 정보화 경쟁력을 활용한 지식이전사업 등의 활성화를 바탕으로 다수의 국가들과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우리의 통관정보화 및 AEO제도가 폭넓게 활용되는 등 지역 표준화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APEC차원에서 AEO 상호인정이 주요한 의제로 제기되고 있는 바 지속적인 제도개선 및 동시다발적 상호인정 추진을 통해 역내 AEO 활성화 및 상호인정을 주도할 필요가 있다.


     


     

  • Financing fo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for Northeast Asia
    Financing fo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for Northeast Asia

    중국, 일본, 한국을 포함하고 러시아 및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동북아시아 지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지역 중 하나이다. 반면, 냉전 종식 후 남겨진 민족주의 대립으로 인해 지역안보상황은 아직까지 불..

    Lee-Jay Cho 외 발간일 2010.06.10

    경제통합, 금융통합
    원문보기
    목차

    List of Figures


    List of Tables


    Contributors


    Preface


    Introduction and Overview


    Part I: Financing fo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for Northeast Asia 
    1. Currency and Financial Coordination in Northeast Asia (Eiji Ogawa)
    2. Will Northeast Asia’s Functional Economic Integration Lead to Formal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Chang Jae Lee) 
    3. Will China’s Rise and Functional Economic Integration Lead to Formal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Chung Lee) 
    4. New Regionalism Across the Korea-Japan Strait: Cross-Border Region Between Busan and Fukuoka (Jung-Duk Lim) 
    5. Global Financial Crisis and Policy Responses in Korea (Joon Kyung Kim) 
    6. Macroeconomic Challenges and Russian Energy Policy in North-East Asia Cooperation (Pavel Minakir) 
    7. China’s Thoughts on the Reform of the Global Financial System and Asia Financial Cooperation (Tong Jiadong) 
    8. Financing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Case History, Market Realities, and the Future of Financing Development (John Tichotsky) 


    Part II: Mechanisms and Architecture to Actualize a Proposed Multilateral Financial Institution 
    9. Steps Towards a Northeast Asia Bank for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iroshi Watanabe) 
    10. China’s Efforts on Establishing the Northeast Asia Bank for Cooperation and Development (Wang Shuzu) 
    11. Northeast Asian Development Finance Cooperation: The New Bank and the Support Network (Chiba Yasuhiro & Yamamoto Takashi)
    12. Proposal for the Roadmap of the Northeast Asia Bank for Cooperation and Development (Zhang Xiaoyan) 
    13. Economic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and the Function of the Northeast Asia Bank of Cooperation and Development (Ma Junlu) 
    14. The Comparison of Large-scale Cross-border Financing and Project Management (Ma Junlu) 
    15. Analyzing a Strategy for Development Finance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Yamamoto Takashi) 


    Part III: History, Roadmap and Strategy for Establishing a Northeast Asia Bank for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6.  The Northeast Asian Bank for Cooperation and Development: From Rhetoric to Reality (Stanley Katz) 


    Summary and Conclusions: Financing fo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for Northeast Asia 2009 


    Appendix: Agendas

    국문요약
    중국, 일본, 한국을 포함하고 러시아 및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동북아시아 지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지역 중 하나이다. 반면, 냉전 종식 후 남겨진 민족주의 대립으로 인해 지역안보상황은 아직까지 불안한 상황이다. 동북아시아 지역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의 경제력을 활용하여 공동 번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북한, 몽골, 극동 러시아 및 중국 북동지역의 풍부한 천연자원을 지역발전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프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며, 에너지 및 환경 분야 역시 막대한 재원조달이 필요한 개발 분야이다. 이러한 개발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핵심 수단은 역내 개발 금융 메커니즘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동북아시아 개발을 위한 지역개발금융기관 설립에 관한 논의 현황, 관련 세미나 및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 제3회 KIEP 대학원생 세계지역연구 우수논문공모전 수상논문집
    제3회 KIEP 대학원생 세계지역연구 우수논문공모전 수상논문집

    세계지역연구를 선도하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세계지역 특히 신흥개도국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고, 지역연구 인력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제3회 대학원생 세계지역연구 우수논문 공모전」을 개최하였습니다. 많은 우수한 인재들이 이번 논문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0.05.12

    경제협력, 정치경제
    원문보기
    목차
    [ 대상 ]
    아프리카의 정보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對아프리카 개발원조와 경제협력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 고찰

    [ 최우수상 ]
    - 원조 규모가 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인도네시아 쓰나미 이후 세계 각 국의
    원조 및 무역을 중심으로

    - 한국의 아프리카 풍력시장 진출 방안: 패키지 딜 전략을 중심으로

    [ 우수상 ]
    - 필리핀의 해외 인력 수출, 그 경제적 의미와 정책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소프트 잠재 강국으로서의 인도의 소프트 산업 현황 및 대응방안

    - 미국의 대쿠바 정책 변화에 따른 쿠바 관광산업 진출방안

    [ 장려상 ]
    - 국제금융자산 투자의 패턴과 위험분산(Risk-sharing): 동아시아와 유럽 국가들의 금융자산 보유를 통해 본
    위험분산

    - 중국의 대(對)동남아시아 ODA의 양면성

    - 향후 한국 ODA 정책방향: 아시아지역 환경 분야 ODA를 중심으로
    국문요약
    세계지역연구를 선도하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세계지역 특히 신흥개도국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고, 지역연구 인력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제3회 대학원생 세계지역연구 우수논문 공모전」을 개최하였습니다. 많은 우수한 인재들이 이번 논문공모전에 관심을 보여준 결과, 두 차례의 엄정한 심사과정을 거쳐 9편의 논문을 당선작으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본 논문집은 이번 논문공모전의 수상작을 정리한 것입니다.
















































  • 한·터키 FTA와 경제협력 증진방안
    한·터키 FTA와 경제협력 증진방안

    한·터키 FTA는 양국간 교역·투자를 확대하는 중대한 계기가 됨은 물론 대터키 투자 확대에 의한 현지기업의 수출여력 제고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양국간 무역불균형을 완화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터키 FTA를 관세철폐 관점에서만 고려한..

    정철 외 발간일 2010.04.26

    경제협력,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터키의 정치․경제 현황 
    1. 정치 개황 
    가. 국내 정치 
    나. 대외관계 
    2. 터키 경제의 잠재력 
    가. 지정학적 중요성 
    나. 시장잠재력 
    다. EU 시장 진출 교두보 
    3. 경제 현황 
    가. 최근 경제 현황 
    나. 터키의 관세구조 
    다. 주요 통상장벽 
    라. 터키 경제의 성장요인과 위험요소 
    마. 향후 전망 


    제3장 한․터키 FTA의 경제적 효과 
    1. 양국간 경제관계 
    가. 양국간 교역 현황 
    나. 양국간 투자 현황 
    2. 연산가능일반균형(CGE) 분석 
    가. 모형 설정 
    나. 거시경제효과 
    다. 산업별 효과 
    3. 산업별 경쟁력 분석 
    가. 현시비교우위(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나. 시장별 비교우위(MCA: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다. 무역특화지수(TSI: Trade Specialization Index) 
    라. 무역특화지수의 동태 변화 분석 


    제4장 양국간 경제협력 증진방안 
    1. 한․터키 경제협력 기본 방향 
    2. 양국간 교역활성화 방안 
    3. 대터키 투자진출 활성화 방안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 록  대터키 투자활성화 방안  
    1. 천연가스 등 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 및 협력 
    2. 교통인프라 개선사업 투자 확대 
    3. 정보통신(ICT) 도입․확산 및 낙후지역 개발사업 참여 확대 
    4. 자동차부품 등 주요 산업의 EU 진출거점으로 활용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한·터키 FTA는 양국간 교역·투자를 확대하는 중대한 계기가 됨은 물론 대터키 투자 확대에 의한 현지기업의 수출여력 제고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양국간 무역불균형을 완화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터키 FTA를 관세철폐 관점에서만 고려한다면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터키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신흥시장으로서의 잠재력 등을 고려하면 실제로 FTA의 경제적 효과는 양국의 투자 증진, 비관세장벽 철폐, 그리고 양국간 경제관계 개선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한·터키 FTA를 추진함에 있어서는 상품관세의 양허만이 아니라 비관세장벽과 서비스, 투자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comprehensive)이며 높은 수준의 FTA를 추구하고 양국간 관계 증진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Intra-industry Trade in an Enlarged Europe: Trend of Intra-industry Trade in the..
    Intra-industry Trade in an Enlarged Europe: Trend of Intra-industry Trade in the..

    EU는 선진국간 경제공동체의 대표적인 예로서, EU의 역내무역구조는 산업내무역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EU의 확대는 1990년대 중반까지는 비교적 소득수준이 유사한 서유럽 국가들을 대상으로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2000년대 들어서..

    Yoo-Duk Kang 발간일 2010.04.20

    경제통합, 무역구조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Enlargement of the EU toward the East


    1. CEECs' Accession to the EU


    2. Changes in Intra-European Trade and Investment in the Context of the Enlargement


     


    III. Intra-industry Trade


    1. Economic Integration and Intra-industry Trade


    2. Measuring Intra-industry Trade


     


    IV. Results: Intra-industry Trade in an Enlarged Europe


    1. Intra-industry Trade at the Static Dimension (GL index)


    2. Intra-industry Trade at Dynamic Dimension (MIIT)


     


    V. Determinants of IIT


    1. Hypothesis of Determinants of IIT


    2. Regression Model


     


    VI.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EU는 선진국간 경제공동체의 대표적인 예로서, EU의 역내무역구조는 산업내무역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EU의 확대는 1990년대 중반까지는 비교적 소득수준이 유사한 서유럽 국가들을 대상으로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2000년대 들어서는 경제적 발전 수준이 상이한 10개 중 • 동유럽국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중 • 동유럽 국가들의 EU 가입은 EU의 역내무역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특히 EU에 비해 낮은 소득수준의 신규가입국들이 대거 역내시장에 편입됨에 따라, 역내/역외무역 비중의 변화뿐만 아니라 산업간/산업내무역으로 구분되는 무역의 성격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EU의 확대에 따른 역내무역구조의 변화를 산업내무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회원국 수의 증가로 인해 서로 상이한 경제수준, 경제구조의 국가 들이 역내시장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EU의 확대에 따라 산업내무역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국가별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1988~2006년의 기간 동안 2,200여 개 하부산업(SITC 5단위)에서 이루어진 산업내무역 수준을 Grubel and Lloyd (GL) 인덱스를 통해 수치화하였으며, 산업내무역 구조의 변화방향을 알 수 있는 Brulhart A 인덱스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대부분의 서유럽국가에서 산업내무역 수준은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중 • 동유럽국가들의 경우 산업내무역 수준이 서유럽국가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나, GL 인덱스를 통해 본 산업내무역 수준은 꾸준히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난다. 중 • 동유럽국가들 간의 산업내무역은 아직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 나며, 따라서 이들 국가의 산업내무역 증가는 역내 선진국과의 교역에서 이루어 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기간 동안 서유럽국가들의 A 인덱스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데 비해, 중 • 동유럽국가들은 낮은 수준의 A 인덱스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서유럽국가들은 산업내무역이 강화되어온 반면, 중 • 동유럽국가들은 주로 산업특화를 통한 변화를 겪어 왔음을 나타낸다. 한편 역내산업내무역 수준의 결정요인을 찾기 위하여 실시한 회귀분석에서 산업 내무역 수준은 무역상대국으로부터 유치한 FDI의 스톡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내무역과 FDI 간에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중 • 동유럽국가들이 보다 많은 역내 FDI를 유치할 경우, 산업내무역의 비중이 높아질 것임을 시사해 준다.  
  •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of DDA Trade Liberalization: Assessment of Alternat..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of DDA Trade Liberalization: Assessment of Alternat..

    DDA 협상은 최빈개도국에 대한 특별하고 차별적인 대우(S&D)의 부여, 서비스 자유화의 폭과 더불어 삼각쟁점이라고 불리우는 농업보조금, 농업관세율 감축, 부문별 관세 철폐를 포함하는 비농산물 시장접근 분야의 자유화 등과 같은 이슈들을 둘..

    Nakgyoon Choi 발간일 2010.04.20

    다자간협상, 무역장벽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The Methodology


    1. Model Specification and Data


    2. Scenarios



    Ⅲ. Simulation Results


    1. Potential Impacts of the DDA Negotiations by Various Scenarios


    2. Economic Effects of the DDA Negotiations on the G-7 Countries



    IV.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DDA 협상은 최빈개도국에 대한 특별하고 차별적인 대우(S&D)의 부여, 서비스 자유화의 폭과 더불어 삼각쟁점이라고 불리우는 농업보조금, 농업관세율 감축, 부문별 관세 철폐를 포함하는 비농산물 시장접근 분야의 자유화 등과 같은 이슈들을 둘러싼 이해대립 때문에 8년 간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아직 타결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호양보를 통해 DDA 협상을 어떻게 마무리할 수 있으며 미해결 쟁점들을 어떻게 다루어 나갈 것인지를 제시하기 위해 시나리오별 CGE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GDP 효과와 후생효과는 각각 499 ~ 1,862억 달러(세계 GDP의 0.12 ~ 0.45%), 497 ~ 1,57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무역확대 효과는 2,653 ~ 3,82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DDA 협상이 세계경제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존 연구가 제시하는 결과와 일치하는 수치이며, 아울러 향후 WTO 회원국 간에 균형 잡힌 타협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선진국은 농업보조금 등 농업분야에 있어 개도국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반해 개도국은 비농산물 분야에서 부문별 관세철폐협상과 서비스자유화협상에 대한 논의를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서비스협상은 ASEAN, 인도, 중남미 국가 등 개도국에게 큰 GDP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며, 부문별 관세철폐협상도 미국, EU 등과 같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한국, 홍콩,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들에게도 많은 무역확대 이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 EU 신에너지정책의 수립과정과 정책내용의 검토
    EU 신에너지정책의 수립과정과 정책내용의 검토

    EU 집행위원회는 2006년에 EU 에너지 전략이라는 문서를 발표하며 EU의 신에너지정책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였으며 그 후, EU 내 기구들과의 협의를 통해 EU 신에너지정책 방향에 관련된 정책문서, 각종 입법안을 제출하며 EU 신에너지정책을 추진해..

    주진홍 외 발간일 2010.04.15

    산업정책, 에너지산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방법 및 내용 


    제2장 EU의 에너지정책 역사와 정책수립 절차  
    1. EU의 에너지정책 역사 
    2. EU의 에너지정책 수립절차 
    가. EU 주요기구 및 기구별 역할 
    나. EU의 에너지정책 결정과정 


    제3장 EU 신에너지정책의 특징과 수립과정 
    1. EU 신에너지정책의 목표와 특징 
    2. EU 신에너지정책의 수립과정 
    가. EU 신에너지정책의 수립 준비 
    나. EU 신에너지정책의 제안과 추진 
    다. EU 신에너지정책 추가조치 제안과 추진


    제4장 EU 신에너지정책의 구조적 분석 
    1. 개요 
    2. EU 역내 에너지정책 
    가. 20-20-20 구상 
    나. 기존 에너지원의 공급안정성 확보 
    다. 단일시장 구축․기술개발․금융지원 
    3. EU 대외 에너지정책 
    가. 공동의 대외 에너지정책 강화 
    나. EU 에너지시장 규범의 적용지역 확대 
    다. EU 대내외 에너지시장의 연계 강화 


    제5장 요약 및 평가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EU 집행위원회는 2006년에 EU 에너지 전략이라는 문서를 발표하며 EU의 신에너지정책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였으며 그 후, EU 내 기구들과의 협의를 통해 EU 신에너지정책 방향에 관련된 정책문서, 각종 입법안을 제출하며 EU 신에너지정책을 추진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EU의 신에너지정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EU의 정책결정방식과 에너지부문 자체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EU 신에너지정책의 수립과정을 자세히 논의하고 EU 신에너지정책의 내용을 정책 분야별로 구조화시킴으로써 EU 신에너지정책의 목표와 특징, 분야별 정책내용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EU 신에너지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를 EU 에너지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세계 시장의 조성이라고 평가하였다.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년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년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개원 2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때에 제7대 원장으로서 20년사를 발간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고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동안 본원의 발전을 위해 아낌없는 성원과 격려를 보내주신 각계각층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0.01.15

    기업경영
    원문보기
    목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년사를 발간하며(채 욱 원장) CI 로고, 엠블럼 [축하와 격려] 한국 속에서 세계경제성장 이끄는 국제경제정책의 산실(産室) 되길(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한 발 앞선 사고와 시각으로 국가․세계경제 이슈 해결에 기여하길(김종훈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본부장) 세계적인 국제경제연구기관으로 착실하게 정착하길(김세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사진으로 보는 KIEP 20년 [회고와 기대] 세계가 주목하는 국제경제연구기관으로 거듭나길(김적교 초대 원장) 선진한국 창조하는 선도적 리더십 발휘하길(유장희 제2대 원장) 새롭고 큰 역할로 세계적 싱크탱크로 도약하길(양수길 제3대 원장) 영향력 발휘하는 세계적 명품연구소로 우뚝 서길(이경태 제4대, 제6대 원장) 한국경제 글로벌화 선도하는 세계적 지식향도(知識嚮導)로 발전하길(안충영 제5대 원장) 제1부 개관 Ⅰ. KIEP 설립 배경과 주요 기능(김박수 전 부원장) Ⅱ. KIEP 20년사의 시대구분(이창재 전 부원장) 제2부 대외경제정책 변화와 KIEP의 기여 Ⅰ. 우루과이라운드와 북방정책 (1990~1993) 우루과이라운드 협상대응과 세계화의 진전(박태호․한홍렬) 북방정책의 전개와 북방연구의 발전(김시중) Ⅱ. 세계화, APEC, OECD (1994~1997) 세계화의 도전과 대응(김관호) APEC에의 능동적 참여(유재원) OECD 가입과 한국경제의 선진화(송유철) 세계화와 해외지역연구 지평의 확장(조현준) Ⅲ. 경제위기, DDA, 북한 및 지역연구의 활성화 (1998~2002) 외환위기의 극복(왕윤종) DDA 출범과 대응(강문성) 북한 개발연구의 새로운 접근(장형수) 세계지역연구의 활성화(이종화) Ⅳ. FTA, 신흥시장, 동북아 (2003~2007) FTA 정책 연구(정인교) 한․미 FTA 협상(이홍식) 신흥시장과의 통상협력 강화(김원호) 동북아 경제중심과 동북아시대 구상 추진(정형곤) Ⅴ. 개발협력․원조, 환경․자원 (2008~현재) 국제개발협력과 원조정책의 체계화(권 율) 글로벌 환경이슈와 국제협력 확대(정성춘) 해외자원 개발의 지역별 진출전략 수립(박영호) 제3부 KIEP의 현재와 미래 Ⅰ. 비전과 경영목표 Ⅱ. 주요 연구영역과 활동분야 Ⅲ. 연구 지원활동 부 록 1. CI 로고의 변천 2. 전(前) 임직원 명단 역대 원장 / 역대 부원장 / 전(前) 직원 3. 현(現) 임직원 명단 원장 / 부원장 / 직원 4. 조직 변천 5. 발간자료 목록(1990~2009) 6. 포상 수상자 명단 7. 대외경제전문가 「풀」 운영실적 8. 국제세미나 개최실적 9. 연도별 주요 일지 10. 방문학자(Visiting Fellows) 명단 11. 동호회 활동
    국문요약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개원 2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때에 제7대 원장으로서 20년사를 발간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고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동안 본원의 발전을 위해 아낌없는 성원과 격려를 보내주신 각계각층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특히, 급변하는 세계경제환경 속에서 한국경제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새로운 도전으로 나아가는 길을 뒷받침하기 위해 쉬지 않고 함께 달려와 주신 모든 전․현 임직원의 노력에 무한한 찬사와 박수를 보내드리고 싶습니다. 저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세계경제환경의 주요 이슈를 연구․분석함으로써 국가의 대외경제정책 수립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0년 1월 설립되어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설립취지에 따라 본원은 그동안 무역․투자, 국제금융, 국제개발협력, 세계경제 및 주요국의 경제동향과 정책 등 우리나라의 대외경제정책과 관련한 문제에 대한 연구 및 정책수단의 개발, 그리고 국내외 학계․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등을 통해 다각적인 연구활동을 펼쳐 왔습니다. 설립 초기에는 신(新)국제경제질서의 두 축이었던 우루과이라운드에 대한 연구와 북방정책 연구를 주도하였으며, APEC, OECD, ASEM 등 국제협력과 관련된 정책을 연구함으로써 세계화 속 한국경제의 선진화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1990년대 말 외환위기 당시에는 수출촉진, 외국인투자 유치 등 위기극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전략을 개발하였으며, 한국경제의 대외신인도 제고에도 크게 기여했습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본격화된 범세계적 FTA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대책을 제시하고 관련 협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등 정부정책을 적극 지원해왔습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자원협력과 국제개발원조, 환경이슈, 남북관계 개선을 비롯한 동아시아 경제협력 등을 주요과제로 선정하여 급변하는 세계경제환경 속에서 우리 경제가 주도할 수 있는 글로벌 차원의 정책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제 본원이 우리나라 대외경제정책의 큰 틀을 그리는 명실상부한 중심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20년에 걸쳐 성장해 온 본원의 역사를 돌이켜보는 것은 세계경제환경의 변화 가운데 한국경제가 겪어온 도전과 성장의 자취를 더듬어보는 데도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마무리가 아닌 새로운 시작에 불과합니다. 본원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세계경제구조의 재편과정에서 한국경제가 명실상부한 선진경제로 도약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세계적 수준의 싱크탱크로 거듭나도록 각고의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이를 위해 우수한 연구인력의 확보 및 효율적 관리, 연구지원체계 강화, 독창적 연구방법론 개발, 연구네트워크 확대, 연구성과의 효과적 활용 등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더 많은 노력과 열정으로 보다 새롭고 창의력 있는 KIEP를 만들어가기 위해 정진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본원의 발전을 위해 각별한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시고 지도해 주신 각계각층의 모든 분께 훌륭한 성과로 보답하겠습니다.
  • 카자흐스탄 정치 엘리트와 권력구조 연구
    카자흐스탄 정치 엘리트와 권력구조 연구

    한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호혜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로에 대한 충분한 정보 공유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대국가의 엘리트, 의사결정과정, 정치체제의 특성 등 내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상호 수평적..

    이재영 발간일 2009.12.30

    경제협력, 정치경제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한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호혜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로에 대한 충분한 정보 공유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대국가의 엘리트, 의사결정과정, 정치체제의 특성 등 내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상호 수평적,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오해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중앙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경제규모가 가장 크고, 에너지자원이 풍부하며 한국의 중점협력대상국 가운데 하나인 카자흐스탄의 내부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자흐스탄을 움직이는 핵심 엘리트는 누구인지, 정책결정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권위주의적 장기집권체제의 발전과 동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한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호혜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로에 대한 충분한 정보 공유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대국가의 엘리트, 의사결정과정, 정치체제의 특성 등 내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상호 수평적,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오해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중앙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경제규모가 가장 크고, 에너지자원이 풍부하며 한국의 중점협력대상국 가운데 하나인 카자흐스탄의 내부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자흐스탄을 움직이는 핵심 엘리트는 누구인지, 정책결정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권위주의적 장기집권체제의 발전과 동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한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호혜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로에 대한 충분한 정보 공유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대국가의 엘리트, 의사결정과정, 정치체제의 특성 등 내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상호 수평적,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오해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중앙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경제규모가 가장 크고, 에너지자원이 풍부하며 한국의 중점협력대상국 가운데 하나인 카자흐스탄의 내부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자흐스탄을 움직이는 핵심 엘리트는 누구인지, 정책결정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권위주의적 장기집권체제의 발전과 동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한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호혜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로에 대한 충분한 정보 공유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대국가의 엘리트, 의사결정과정, 정치체제의 특성 등 내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상호 수평적,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오해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중앙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경제규모가 가장 크고, 에너지자원이 풍부하며 한국의 중점협력대상국 가운데 하나인 카자흐스탄의 내부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자흐스탄을 움직이는 핵심 엘리트는 누구인지, 정책결정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권위주의적 장기집권체제의 발전과 동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