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강성진

  • 녹색경제와 지속가능발전: 논의 동향과 ODA 정책 시사점

    인류는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 방식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화석연료 소비가 급증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였으며, 대기 중에 누적된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를 야기하였다. 또한 화석연료의 고갈로 자..

    정지원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개발,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지속가능발전과 녹색경제ㆍ녹색성장 
    1. 개념  
       가. 지속가능발전 
       나. 녹색경제 
       다. 녹색성장 
    2. 지속가능발전, 녹색경제 및 녹색성장 
       가. Rio+20의 녹색경제 
       나. 세계은행의 포용적 녹색성장 
       다. OECD의 녹색성장 정책 
       라. 지속가능발전과 녹색경제 및 녹색성장 


    제3장 녹색경제ㆍ녹색성장과 국제협력의 역할 
    1. 녹색경제ㆍ녹색성장에 대한 개발도상국의 입장 
    2. 국제협력의 필요성 
    3. 녹색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가. 녹색성장 정책 이행을 위한 역량 및 기술개발 지원 
       나. 녹색성장의 ODA 통합 
       다. 정책 일관성


    제4장 국제사회의 개발도상국 녹색성장 지원 현황 
    1. 녹색 ODA와 녹색성장 ODA 
       가. 정의 
       나. CRS 목적코드를 활용한 분류  
       다. 녹색 ODA 추이 
       라. 녹색성장 ODA 추이 
    2. DAC의 환경 ODA와 녹색성장 ODA 비교 및 시사점 


    제5장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인류는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 방식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화석연료 소비가 급증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였으며, 대기 중에 누적된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를 야기하였다. 또한 화석연료의 고갈로 자원의 희소성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 세계 모든 국가의 적절한 대응노력이 요구되는 바, 최근 Rio+20에서 지속가능발전 목표가 재확인되고, 친환경 경제성장 개념인 녹색경제가 지속가능발전의 주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08년 미래의 새로운 경제발전 전략으로서 녹색성장정책을 제시하고 이와 같은 국제적 움직임에 동참해왔다. 녹색성장정책은 경제·사회 발전전략으로서 신재생에너지 및 녹색 기술을 활용하여 친환경적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이를 통해 삶의 질을 증진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적극 지원하여 세계적인 녹색성장 모범국가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녹색성장정책의 선도국가로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성장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ODA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인류의 최종 지향점인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정책의 관계를 검토한다. 또한 유사개념인 녹색경제와 녹색성장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추구하는 녹색성장의 가치를 반영한 이른바 ‘녹색성장 ODA’ 개념을 제시하고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이 발표하는 환경 ODA와 비교한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후변화 대응 및 녹색성장 지원을 위한 ODA 정책방향으로서 본 연구는 첫째, 녹색성장 ODA의 선도국이 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 수립 둘째, 인류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 차원에서 녹색성장 ODA 추진 셋째, 개발도상국과 우리나라 녹색성장정책 추진 경험의 공유 넷째, 녹색성장 ODA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한 컨트롤 타워 설립, 다섯째, 녹색성장 ODA 추진을 위한 인력양성, 마지막으로 경제성장과 환경적 건전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성장 ODA 추진을 제시하였다.

    닫기
  • 직접투자의 탈산업화에 대한 영향분석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와 다국적기업(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의 활동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직접투자의 GDP에 대한 비중은 여전히 낮은 편이나 1997년을 전후로 하여 외..

    이홍식 외 발간일 2006.12.29

    외국인직접투자,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서 언

    국문요약

    1장 서론

    제2장 탈산업화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제점
    1. 외국문헌
    2. 국내문헌
    3. 기존 문헌의 문제점

    제3장 OECD 국가들의 탈산업화 추이와 한국의 특이성
    1. 한국, 미국 및 일본의 탈산업화 추이
    2. 한국, 미국 및 일본의 산업별 고용 및 부가가치 비중 추이
    3. 경제발전단계와 탈산업화
    4. 한국 탈산업화의 특이점

    제4장 OECD 국가의 탈산업화 원인에 대한 실증분석
    1. 탈산업화의 원인
    2. 추정모형 및 자료
    3. 실증분석 결과
    제5장 한국의 직접투자와 탈산업화
    1. 세계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 동향
    2. 한국의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 동향
    3. 외국인 및 해외 직접투자의 전후방연관효과
    4. 산업연관표 분석모형
    가. 생산유발효과 분석
    나. 취업유발효과 분석
    5. 자료 및 분석결과
    6. 외환위기 전후의 고용 유발 및 손실 효과 비교
    7. 산업연관분석의 한계점

    제6장 한국의 탈산업화와 정책적 시사점
    1. 탈산업화에 대한 평가 126
    2. 해외직접투자의 탈산업화에 대한 영향 평가
    3. 탈산업화 속도 조절을 위한 산업구조조정
    4. 서비스산업의 비중 증대와 성장잠재력
    5.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정책
    6. 외국인직접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
    가.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정책
    나. 고용유발계수의 크기와 노동생산성: 개방의 반경쟁효과
    다. 제조업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서비스업분야 육성
    라. 외국인투자 유치 규제 완화와 전망 산업
    마. 개발도상국형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정책의 탈피

    제7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와 다국적기업(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의 활동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직접투자의 GDP에 대한 비중은 여전히 낮은 편이나 1997년을 전후로 하여 외국인 및 해외직접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및 해외직접투자가 산업구조와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많은 국내외 연구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생략)
    닫기
  • Location Choice of Multinational Companies in China: Korean and Japanese Compani..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기업의 기업별 자료를 이용하여 대중국 직접투자에 대한 입지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각 성(省)별 자료를 패널자료와 중국에 직접투자를 실행한 한국기업과 일본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이홍식 외 발간일 2004.12.30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General Characteristics of FDI in China

    III. Empirical model specification

    IV.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V. Estimation results

    VI. Conclusion

    References
    닫기
    국문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기업의 기업별 자료를 이용하여 대중국 직접투자에 대한 입지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각 성(省)별 자료를 패널자료와 중국에 직접투자를 실행한 한국기업과 일본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까지의 양국의 투자패턴과 입지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생략)
    닫기
  •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에 관한 OECD의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

    범세계적으로 기업-대-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99년 5월 현재 인터넷 이용자수가 400만 명, 쇼핑몰이 500여 개에 이르며, 98년도의 기업-대-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약 500억 이상이 되는 것으로..

    강성진 발간일 1999.07.15

    전자무역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에 관한 OECD 논의의 개요
    1. 통신정책위원회에서의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문제 논의
    2. 국제회의에서의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문제 논의
    3.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의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문제 논의

    Ⅲ.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선언」의 구성 및 정책 방향
    1. 의의와 구성
    2. 문제 인식
    3. 정책 방향

    Ⅳ.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가이드라인(안)」의 주요 내용
    1. 전문
    2. 가이드라인

    Ⅴ.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Ministerial Declaration on Consumer Protectionin the Context of
    Electronic Commerce
    2. Draft Recommendation of the Council ConcerningGuidelines for Consumer
    Protection
    in the Contextof Electronic Commerce
    닫기
    국문요약
    범세계적으로 기업-대-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99년 5월 현재 인터넷 이용자수가 400만 명, 쇼핑몰이 500여 개에 이르며, 98년도의 기업-대-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약 500억 이상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확산에 따라 소비자들은 국경이 없는 범세계적인 네트워크에서 다양하고 값싼 제품과 서비스를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는 동시에 사기·기만 거래, 프라이버시의 침해, 소비자 불만처리의 곤란 등과 같은 새로운 소비자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소비자보호의 문제는 프라이버시, 인증, 과세, 보안 등과 더불어 전자상거래에 관한 국제적 논의를 이끌어가고 있는 OECD의 주요 의제가 되고 있다. 1997년의 핀란드 투르크 회의, 1998년의 캐나다 오타와 각료회의, 또 정보·컴퓨터·통신정책위원회(ICCP)와 소비자정책위원회(CCP)에서는 그 동안 전자상거래 활성화의 장애 요인을 제거하고, 전자상거래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참여를 제고하는 방안을 검토해 오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 결과 소비자정책위원회는 1998에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선언」을 제정하여, 시장지향의 자율규제 장려, 관련 법령의 정비, 기술의 개발, 소비자 교육 및 국제 협력 등 전자상거래 관련 소비자정책의 기본 방향을 회원국들에게 제시한 바 있다. 또 1999년 말까지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가이드라인」을 제정할 계획으로 있다. 1999년 5월말 현재 제4차 초안의 제4차 수정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이 가이드라인(안)은 공정한 영업활동, 온라인 광고와 마케팅, 계약 정보, 확인 절차, 소비자 불만처리와 분쟁해결 등에 관한 일반 원칙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 전자상거래에 있어 재판관할과 준거법 문제에 관한 회원국간의 입장 차이가 커서 가이드라인이 예정대로 제정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EU와 소비자단체들은 브뤼셀협약 및 로마협약과 같은 재판관할과 준거법에 관한 기존 법체계를 온라인 거래에도 적용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미국과 사업자 단체들은 다른 국제기구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가이드라인에서 이를 규정하는 것은 시기 상조라고 주장한다.

    이 보고서는 전자상거래에 있어 소비자보호에 관한 OECD의 논의 내용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자상거래 관련 소비자 정책의 추진에 있어 민간주도와 자율규제를 정책의 기본 방향으로 추진하되, 자율 규제가 효과적으로 이행되도록 정부는 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터넷 상의 사기·기만 거래에 대해서는 정부의 법적 규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인터넷 사기감시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자상거래의 특성을 감안하여 기존의 소비자보호 관련 법령을 정비하거나 새롭게 제정된 법령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방문판매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고, 전자거래기본법의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하며, 전자상거래 사업자의 공정한 영업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표시·광고 지침의 제·개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잇다. 넷째, 온라인을 통해 소비자와 사업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이를 위해 전자상거래 소비자지원센터를 설립·운영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각국의 분쟁조정기관간의 상호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또 재판관할 및 준거법 문제, 무역 관련 이슈 등에 관한 국제규범의 제정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인터넷 청소의 날 등과 같은 국제 전자상거래 사기 감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법률집행기관간의 정보의 교환과 공동협력을 통해 국제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닫기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