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정재완

  • 미얀마 쿠데타 발발 1년: 정치·경제 동향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 2021년 2월 1일 쿠데타 이후 군부는 빠르게 정권을 장악해 과도정부를 수립(8월)한 가운데, 민주진영에서는 국민통합정부(NUG)를 수립해 시민불복종운동(CDM)과 무장투쟁을 병행함에 따라 미얀마에서는 이중 정부에 의한 교착상태가 지속되고 있..

    정재완 작성일 2022.02.23 조회수 14,074

    다운로드

  • 미국의 경제제재(sanctions program) 완화 사례 분석

    ▶ 미국의 대북제재는 법률, 대통령 행정명령,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등에 근거하여 중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미국은 북한을 특정한 대북제재강화법(2016년 2월)과 북한, 러시아, 이란에 대한 제재를 하나로 통합한 ‘제재를통한미국의적대..

    김종혁 외 작성일 2018.10.24 조회수 6,161

    다운로드

  • 미얀마 수찌 정부의 경제개혁 2년 평가와 전망

    ▶ 수찌 정부는 그동안 부분적으로 투자환경 개선과 금융․자본시장 개혁을 추진해온 가운데 2018년 들어 ‘지속가능개발계획(MSDP)’과 ‘11대 개혁의제’를 발표함. 이는 미얀마 정부의 본격적인 경제 개혁․개방 추진을 시사하고 있어 미얀마의 경..

    정재완 외 작성일 2018.07.26 조회수 4,300

    다운로드

  • 베트남의 수출 고도화 배경과 전망

    ▶ ASEAN 후발가입국인 베트남이 2000년대 들어 빠른 경제성장과 더불어 폭발적인 수출증가세를 기록, 2017년 ASEAN의 4대 신흥수출대국으로 성장함. - 자국 수출만을 고려하면 베트남은 싱가포르를 제치고 3대 수출대국으로 자리매김한바, 본..

    정재완 외 작성일 2018.06.22 조회수 4,637

    다운로드

  • AEC 출범에 따른 아세안 자동차시장의 최근 변화와 전망

    ▶ 아세안 자동차시장은 아세안상품무역협정(ATIGA)에 의해 역내 수입관세가 철폐되기 시작하면서 생산, 판매, 수출입 등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으며, 이로 인해 베트남을 마지막으로 수입관세가 완전 철폐되는 2018년 이후가 주목받고 있음.  ..

    정재완 외 작성일 2017.10.24 조회수 3,179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