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김민수

  • 전략지역 심층연구 논문집 2: 러시아

    이 논문집은 신흥경제국에 대한 국내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수행한 2013년 [전략지역 심층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논문집에는 러시아 지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인식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

    주장환 외 발간일 2013.12.30

    경제관계,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머리말

    1. 러‧중 정치 엘리트 전환에 관한 비교 연구
    ∙주장환_한신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2. 푸틴 3기 내각‧대통령행정실 인적 구성의 특징과 함의
    ∙장세호_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HK사업단 HK교수
    3. 포스트소비에트 남코카서스 3국의 비공식 인적 네트워크: ‘블라트’와 조지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승수_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4. 러시아 가스관 건설의 복합게임: 러시아와 남북한을 비롯한 이해관계 국가들의 융합적 협력 가능성의 모색
    ∙정기웅_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책임연구원
    5. 흑해경제권의 부상과 한국의 진출전략
    ∙윤성학_고려대학교 러시아CIS연구소 국제협력팀장
    6. 러시아 극동지역 소수민족의 전통 정신문화 연구: 니브흐, 나나이, 우데게족을 중심으로
    ∙김민수_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HK사업단 HK교수
    7. 러시아 제품 디자인의 문화기호학적 고찰
    ∙조준래_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KIEP 전략지역심층연구 발간자료 목록(2011~13년)
    닫기
    국문요약

    이 논문집은 신흥경제국에 대한 국내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수행한 2013년 [전략지역 심층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논문집에는 러시아 지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인식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7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닫기
  • 중국의 대북미 외교안보정책과 통상전략

    본 연구는 중국의 대북미 통상전략을 외교안보정책 및 경제통상정책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우선 외교안보적인 측면에서 보면, 냉전체제의 붕괴 이후 상호의존과 지역화가 심화되고 경제발전 중심의 국가정책이 중시됨으로써 경제통상 ..

    주재우 외 발간일 2007.12.30

    경제관계,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중국의 대북미 외교안보정책 및 전략
    1. 서론
    2. 중국의 대미 외교안보정책
    가. 부시 정부 이후 미·중 관계
    나. 미·중 관계의 갈등 영역 및 요인
    다. 중국의 기대 해법: 대화채널 증축
    3. 중국과 캐나다 관계: 최근 10년을 중심으로
    가. 중국·캐나다 관계의 현황과 발전 추이
    나. 중국·캐나다 관계의 협력 분야 및 이슈
    4. 중·미 통상마찰의 정치경제학
    5. 평가 및 전망

    제2장. 중국의 대북미 통상마찰 및 전략
    1. 서론
    2. 중국의 대북미 무역현황과 통상마찰
    가. 중국경제의 부상과 중국·북미 간의 무역현황
    나. 중국에 대한 미국의 통상압력과 위엔화 환율문제
    3. 통상압력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대응
    가. 위엔화 환율문제에 대한 중국정부의 입장
    나. 대외불균형 완화를 위한 중국의 대응과 확대되는 통상마찰
    4. 통상마찰 완화를 위한 대화와 타협 그리고 중국의 전략
    가. 미·중 간의 제17차 JCCT 및 제2차 SED의 합의내용과 성과
    나. 중국경제의 위상 변화와 능동적인 통상전략
    5. 향후 전망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본 연구는 중국의 대북미 통상전략을 외교안보정책 및 경제통상정책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우선 외교안보적인 측면에서 보면, 냉전체제의 붕괴 이후 상호의존과 지역화가 심화되고 경제발전 중심의 국가정책이 중시됨으로써 경제통상 이익이 국가 외교정책의 최우선의 목표가 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통상 외교의 배후에는 결국 정치적 배경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정치적 배경이 경제통상정책의 결정자로 활약하는 한 경제의 정치화(politicization of economy)가 조장되기 때문에 정치적 요인을 배제하고 국가의 경제통상정책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모든 통상정책에 정치적 동기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유리한 협상지위를 선점하거나 보다 유리하게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치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중국의 대북미 통상관계나 정책 역시 양국간의 전략관계를 논하지 않고 순수하게 통상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생략)
    닫기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