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기초자료
최지원
-
중국 동북지역의 14·5 규획기간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 랴오닝(辽宁),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龙江)으로 구성된 동북지역은 14·5 규획기간 혁신 및 산업 업그레이드, 대외협력을 통한 핵심기술력 강화,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중시함.- 과학기술 기반의 혁신주도 발전과 함께 지역별 우위산업 업그레이드..
최지원 작성일 2021.04.28 조회수 5,781
중국 -
중국 주요 지역의 핵심 정책과제 및 전망
▶ 코로나19 사태가 비교적 조기에 안정된 중국은 3월 말 이후 내수확대 및 고용안정으로 정책 중심을 변경하였으며, 각 지역에서도 경제안정을 위해 준비해온 정책사업 등을 중심으로 경기회복을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은 코로나..
정지현 외 작성일 2020.06.11 조회수 19,908
-
중국의 주요 지역별 2018년 경제정책 방향 및 시사점 - 2018 지방양회 분석을 중심으로
▶ 2018년 1월 안후이를 필두로 중국 각지에서 지방양회를 개최, 지방정부 행정수장에 대한 인선과 함께 2017년 경제운용 성과에 대한 평가 및 2018년도 주요 정책과제를 확정 - 각 지방정부는 안정적인 성장과 질적 성장을 정책기조로 채택한..
이상훈 외 작성일 2018.04.13 조회수 6,074
-
중국 고령친화산업의 특징 및 시사점: 상하이, 산둥을 중심으로
▶ 중국은 빠른 고령화의 영향으로 고령친화산업 관련 시장 수요가 늘고 있으나 해당 산업의 발전 초기단계이며, 정부정책은 공공복지 성격이 강한 양로서비스 분야 육성에 집중되어 있음. -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15년 10.5%로, 2025년 1..
박진희 외 작성일 2017.11.22 조회수 5,198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