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김원기
-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적 변동을 경제학적으로 엄밀하게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새로운 경제협력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대러시아 경제제재..
정민현 외 작성일 2025.03.05 조회수 1,136
-
대러 경제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 2022년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전쟁 이후에도 서방의 대러 경제제재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함. - 전쟁의 본질이 전쟁 당사자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 이해관계의 충돌만으로 설명되기 어려운 다층적..
정민현 외 작성일 2024.08.01 조회수 5,354
-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전 세계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감소하는 추세가 발견되면서 소득불평등 심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원인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연구됨. - 최근 로봇ㆍAI의 도입으로 인해 노동시장이 변화하면서 소득불평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본..
백예인 외 작성일 2023.05.04 조회수 3,395
-
신보호무역주의정책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 최근의�� 보호무역주의는 포퓰리즘의 성격이 강하고, 정책적 수단으로 WTO 체제 출범 이후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관세조치를 포함하고 있어 금융위기 이후 경기회복 지연 및 경기침체 상황 장기화 우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중 통상갈등이..
김종덕 외 작성일 2020.05.26 조회수 15,086
-
미국 신정부 통상정책 방향 및 시사점: 미중관계를 중심으로
■ 2016년 11월 8일 열린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제45대 미 합중국 대통령으로 당선-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캠페인 당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라는 슬로건하에 미국은 현재 세계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
윤여준 외 작성일 2018.01.15 조회수 4,764
-
미국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 지속가능성 점검 및 시사점
■ 2007~0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경제는 여타 선진국 대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미국의 2011~14년간의 평균 GDP 성장률은 2.4%(PPP 기준)를 기록하고 있으나 미국을 제외한 G7국가(캐나다,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의 동기..
김원기 외 작성일 2017.01.15 조회수 4,491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