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세계경제 포커스
김진오
-
중국 우회수출을 겨냥한 멕시코의 최근 조치와 함의
▶ 불법 이민과 펜타닐 유입 문제 이외에 멕시코를 통한 중국의 대(對)미국 우회수출 역시 미국의 주요 우려 사항인바, 트럼프 정부에서 향후 멕시코에 대한 통상 조치를 통해 압박할 개연성이 있음. ▶ 중국 우회수출을 겨냥해 멕시코가 시행한..
홍성우 외 작성일 2025.02.11 조회수 2,708
-
멕시코 대선의 주요 이슈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6월 2일 치러질 멕시코 대통령 선거에 여당 연합의 셰인바움 후보, 야당 연합의 갈베스 후보, MC당의 알바레스 후보 등 총 3명의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현재 셰인바움 후보의 지지율이 앞서고 있음. - 지지율 1, 2위를 달리고 있는 셰인바움 후..
홍성우 외 작성일 2024.05.29 조회수 4,593
-
멕시코의 에너지정책 논쟁 및 시사점
▶ 멕시코의 오브라도르(이하 AMLO) 대통령은 2018년 12월 취임 이후 에너지산업에 있어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며, 국영석유회사 Pemex와 연방전력공사 CFE(Comisión Federal de Electricidad)의 역할 및 재무구조 강화를 기반으로 석유 및 전력 산업..
김진오 외 작성일 2020.10.29 조회수 10,752
-
아르헨티나 외채 재협상 논의 동향과 전망
▶ 아르헨티나의 알베르토 페르난데스(Alberto Angel Fernandez, 2019. 12. 10~현재) 정부는 장기간 지속되어온 경제위기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더욱 악화되고, 외채위기 발생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인식하여 선제적으로 연방정부 채무의 구..
김진오 작성일 2020.05.22 조회수 8,920
-
아르헨티나 정권교체의 의미와 시사점
▶ 아르헨티나는 2019년 10월 27일 치러진 대선에서 알베르토 페르난데스(Alberto Fernández)가 48.1%의 득표율로 당선되면서 4년 만에 좌파에 의한 정권교체가 이루어짐. - 마크리 대통령(Mauricio Macri, 2015~19년)의 경제정책 실패와 심각..
김진오 외 작성일 2019.10.31 조회수 5,002
-
아르헨티나 금융시장 불안정의 배경과 전망
▶ 아르헨티나 대선(2019년 10월 27일)을 앞두고 8월 11일 치러진 예비선거에서 중도좌파 후보가 압승을 거두자 주요 금융지표가 폭락하며 금융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함. - 8월 12일에 전일대비 주가지수(MERVAL)는 4만 4,355에서 2만 7,530으로..
김진오 외 작성일 2019.08.27 조회수 5,092
-
브라질 신정부의 연금제도 개혁 추진 동향과 전망
▶ 2019년 1월 1일 출범한 브라질의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 정부는 친시장 중심의 다양한 정책을 시행중인데, 재정건전화를 위한 최우선 경제정책 과제로 연금제도 개혁을 추진함. - 브라질 사회의 고령화와 방만한 연금제도 운영..
김진오 외 작성일 2019.04.19 조회수 4,242
-
브라질 보우소나루 정부의 정책 방향 전망과 시사점
▶ 2018년 10월 28일 실시된 브라질 대선 결선 투표 결과 사회자유당(PSL)의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 후보 당선으로 2003년 이후 15년 만에 좌파에서 우파로 정권이 교체됨.- 만연한 부정부패, 경제성장 둔화, 치안 악화 등 노동자당(PT..
김효은 외 작성일 2018.11.09 조회수 8,3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