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기초자료
김승현
-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다각화 정책과 한국의 기회
▶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구조 다각화를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경제협력 수요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 사우디 비전 2030의 목표 시점으로 내세운 2030년이 다가올 뿐 아니라 최근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재정 수입 확대로 ..
유광호 외 작성일 2023.10.27 조회수 8,643
-
일본은행의 금융완화정책 10년의 평가와 향후 전망
▶ [주요 정책] 일본은행은 2013년 3월 장기간 이어져 온 디플레이션 탈출 및 일본경제 회복을 목표로 내세우고 양적·질적 금융완화정책에 돌입하였으며, 이후 대내외 경제상황에 따라 국채와 위험자산 매입 확대 및 금리조절 등 다양한 정책 수단..
김승현 외 작성일 2023.08.10 조회수 8,460
일본 -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전망
▶ [일본의 수출규제] 일본 경제산업성은 한국에 대해 반도체·디스플레이 관련 3개 소재에 대한 수출규제 강화조치(이하, 리스트 규제)를 단행함과 동시에, 전략물자 수출관리제도 운용상 한국을 ‘화이트국가’에서 배제하는 절차(이하, Catch-al..
김규판 외 작성일 2019.08.01 조회수 15,331
-
일본의 노동시간 단축 추진 현황 및 시사점
▶ 일본정부는 그동안 노동시장의 미해결 과제로 남아 있던 비정규직 처우 개선(동일노동・동일임금), 임금인상 및 생산성 향상, 장시간 노동의 시정 등 아홉 가지 항목을 중점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일하는 방식의 개혁’을 추진 중임.▶ 이 중에서..
김승현 외 작성일 2018.05.25 조회수 5,165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