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변화와 시사점 경쟁정책, 해외직접투자

저자 문지영, 강문수, 박민숙, 김영선, 정민지 발간번호 23-3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3.12.30

원문보기(다운로드:46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보고서에서는 대외 경제협력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정책과 방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중국 해외직접투자 전략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별 해외직접투자 데이터 분석을 통해 후진타오 정부 2기에서 시진핑 정부 2기로 넘어가는 기간에 나타난 중국의 지역별 전략과 경제협력 관계가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의 특징에 근거하여 한국에 대한 리스크 및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개혁개방 정책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제도의 간소화와 함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규제 완화를 추진해 왔다. 후진타오 정부 2기에는 해외직접투자 제도와 관련하여 민영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소유제 기업의 해외진출을 장려하였고, 제도의 간소화도 대폭 이루어졌다. 엄격하였던 심사제에서 승인제로 변경되었고, 중앙정부로 집중되었던 정부 권한이 지방정부로 분산화되기 시작하면서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규제 완화가 이루어졌다.

시진핑 정부 1기(2013~17년)로 넘어오면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다양한 산업에서 규모와 투자 범위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지속적인 규제 완화 효과와 더불어 중국의 새로운 대외전략인 ‘일대일로(一带一路)’ 이니셔티브가 추진되면서 해외직접투자의 폭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시진핑 정부 2기가 시작된 2018년 이후 미중갈등을 계기로 서방 국가들의 대중국 견제가 시작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중국의 전략적 경제발전 전략이 시행되면서, 해외직접투자도 국가발전 전략을 지원할 수 있는 수단으로 해석되기 시작하였다. 공급망 안정화, 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신흥시장 진출, 일대일로 전략 고도화 등에 중점을 둔 해외직접투자 전략이 추진되었다. 또한 선진국의 규제 대상인 기술 분야의 M&A는 대폭 축소된 반면 시장진출과 자원확보에 용이한 대개도국 그린필드 투자는 점차 확대되었다.

후진타오 정부 2기부터 시진핑 정부 2기로 오면서 살펴본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해외직접투자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기간 동안 중국은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행정적 규제는 지속적으로 완화하는 한편 투자 분야에 대한 관리 수준은 점차 높였다. 그 결과 시진핑 정부 1기까지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규모 면에서 빠르게 성장하였고, 시진핑 정부 1기와 2기에는 중국의 국가 경제 발전전략이 점차 구체화되면서 산업과 투자 유형에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를 국가 발전의 수단으로 하고자 하는 의도가 점차 투영되었다.

3~5장에서는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을 주요 지역으로 구분하여 후진타오 정부 2기에서 시진핑 정부 2기까지의 해외직접투자를 시기별, 주체별, 유형별, 분야별로 분석하였다. 우선 3장에서는 중국의 대미국ㆍ대EU 투자 전략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대미국 및 대EU 해외직접투자는 세 가지 주요 특징을 보인다. 첫째, 선진국 중심의 규제가 중국기업의 해외진출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17년 이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첨단기술 분야 투자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M&A 투자가 감소했다. 이러한 규제는 EU 지역에서도 나타나 중국의 대EU 투자가 축소했다. 둘째, 국유기업 중심이었던 투자는 민영기업으로 전환되고, 브라운필드에서 그린필드로의 투자로 변화하고 있다. 후진타오 정부 2기부터 시진핑 시기로 넘어오면서 투자 주체의 변화가 나타났고, 점차 민영기업 중심의 해외투자가 중가했다. 이전의 투자 방식은 브라운필드 방식의 M&A 중심이었으나, 시진핑 정부 2기에는 M&A 투자 환경의 변화로 인해 그린필드 투자로 전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시기별 중국의 해외투자 동기와 주요 투자 분야가 변화했다. 후진타오 정부 2기의 대미국ㆍ대EU 투자는 에너지에 중점을 두었고, 시진핑 정부 1기에는 부동산 및 금융과 함께 교통ㆍ운수 및 기술에 투자가 집중됐으며, 시진핑 정부 2기에는 교통ㆍ운수 분야에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정부의 정책 변화에 기인한 투자 동기 변화로 해석된다.

4장에서는 후진타오 정부 2기 이후 중국의 아세안과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외투자 전략과 현황, 주요 분야별 특징을 조사하였다. 중국의 대아시아 해외직접투자는 중국정부와 대상 국가 간의 긴밀한 협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경제협력 수준, 미중 전략 경쟁, ‘일대일로’ 전략, 자원 확보, 시장 개척, 녹색 및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새로운 협력 수요 등이 중첩돼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각 시기마다 중점 투자 대상 지역과 국가, 투자 목적과 방향이 변화하였다. 특히 시진핑 시기 이후 중국의 대아시아 투자는 ‘일대일로’와 해외직접투자의 연계가 강조되었다. 시진핑 정부는 ‘일대일로’ 전략을 기반으로 중국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장려하며, 아세안 및 중동지역과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연계를 강조하였다. 중국정부는 개도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를 ‘일대일로’ 전략의 대외 홍보와 기업의 해외진출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세안과 중동의 중요성은 정치적ㆍ외교적 측면뿐만 아니라 경제안보, 국익 추구, 신성장 산업 육성 등과 연관되므로 중국기업의 해외투자 동향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5장에서는 중국의 대아프리카ㆍ대중남미 해외직접투자를 살펴보았다. 이 지역에서는 에너지와 금속ㆍ광물 분야에 중점적인 투자가 이뤄졌는데, 이는 중국 정부의 주된 목적이었던 원자재 확보와 관련이 있으며, 후진타오 시기부터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시진핑 시기에 일대일로 전략이 발표되면서 중국은 에너지와 금속ㆍ광물 분야뿐만 아니라 교통ㆍ물류와 농업 분야로도 투자를 확대했다. 중국은 중국-아프리카 포럼, 중국-CELAC 포럼 등을 활용하여 각 지역과의 협의를 통한 경제협력을 강화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를 활발히 진행했다. 아프리카와 중남미는 자체 인프라 개선과 경제성장을 위해 외국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이는 중국의 투자 증가로 이어졌다. 다만 중국의 대아프리카 및 대중남미 투자는 2013년 일대일로 전략 발표 전후로 그 양상이 달라졌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일대일로 전략 발표를 계기로 중국은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개발도상국과의 적극적인 협력에 나섰으며 아프리카와 중남미 국가도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의 투자가 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의 분석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지원을 위한 정부협력 채널 강화, △ 그린ㆍ디지털 등 신흥시장에 대한 해외직접투자 모멘텀 창출, △ 한ㆍ중 제3국 협력의 전략적 확대에 대해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첫째, 중국은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국내적으로 기업 해외진출을 장려하는 정책을 통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고, 대외적으로는 다양한 정부협의 채널을 활용하여 기업의 해외진출을 용이하게 하는 경제협력 환경 조성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정부협의를 통해 양자 간 정부소통 채널과 함께 일대일로, BRICS 등 다자 협력체를 활용하여 지역적 협력을 구축하는 방식을 포함하며, 중국은 이러한 정부협의를 통한 해외직접투자 지원 전략을 자국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기 시작한 시진핑 정부 2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활용해 왔다. 이는 최근의 경제안보 개념과 공급망 블록화 등 국제사회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한국도 중동 지역에서 ‘원팀 코리아’ 전략을 통해 이러한 협의 방식을 활용하여 해외직접투자를 추진한 경험이 있다. 최근 개도국 대상의 자원 및 신흥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가 점차 중요해진다는 점과 각국에서 자국의 산업과 자원에 대한 안보가 강화되고 한국기업의 해외진출에 대한 제도적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정부와 기업의 협력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이 전략적으로 협력해야 하는 지역과의 양자 및 다자 정상ㆍ고위급 회의를 통한 정부 간 협의를 진행하고, 그와 동시에 비즈니스 포럼을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진핑 정부 시기로 들어서면서 중국은 해외직접투자와 국가발전 전략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과 디지털 경제 성장에 따라 전통적인 산업 외에 그린ㆍ디지털 분야에 대해 집중적으로 투자 전략을 실행하고 있으며, 최근의 일대일로 국제협력 고위급 포럼에서도 이러한 분야의 투자 협력을 강조했다. 주의할 점은 중국이 선택한 새로운 해외직접투자 모멘텀은 한국에 중요한 전략 산업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신흥산업의 시장 확보는 국가의 해외 생산 역량과도 관련이 깊다. 특히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과 같은 개도국의 신흥산업에서 한국기업의 경쟁력과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국내적으로 대기업의 사업 다변화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정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중소기업의 성장을 해외진출과 연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글로벌 신흥산업의 성장과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한ㆍ중 제3국 협력을 전략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많은 부분에서 중첩된다. 중국은 광물, 에너지, 선진기술을 전략적 자원으로 규정하며 그린ㆍ디지털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소재ㆍ장비ㆍ부품을 비롯한 중간재 분야에서는 한국과의 경쟁구도가 이미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제약을 받을 수 있지만,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기회로 삼아야 한다. 한국은 이미 중국과 에너지, 유틸리티, 인프라 분야에서 제3국 공동투자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바, 이를 기반으로 양국의 전략적 산업을 포함한 새로운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report analyzes the changes in China’s outbound direct investment (ODI) policies and approaches in response to the evolving external economic cooperation environment in China. By examining the shifts in China’s ODI strategies, the report also explores the impact of regional strategies and economic cooperation relationships during the transition from Hu Jintao’s second term to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using regional ODI data. Final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ODI, the report presents the risks and suggested responses for South Korea.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changes in China’s ODI strategy. China’s ODI is closely related to it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Since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China has pursued the simplification of regulations and the easing of restrictions on ODI. During the second term of the Hu Jintao administration, the ODI system encouraged overseas expansion, including by private enterprises, and witnessed significant regulatory simplification. The approval process shifted from a stringent examination system to an approval system, and there was a decentralization of government authorit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s, which contributed to the easing of FDI regulations.

During the first term of Xi Jinping administration(2013-2017), China’s ODI began to experience rapid growth in scale and expansion of investment scope across various industries. The broadening scope of China’s ODI is attributed to the sustained effects of regulatory relax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China’s new economic cooperation strategy, the ‘Belt and Road Initiative(一带一路).’ Since the beginning of the second term of Xi Jinping administration in 2018, amidst escalating tensions with the United States, Western countries have initiated measures to counter China’s influence. In response, China has strategically used economic development initiatives to interpret ODI as a supportive method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Emphasizing goals such as stabilizing supply chains, enhancing global corporate capabilities, entering emerging markets, and advancing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China pursued an ODI strategy. There was a notable decline in M&A activity in the technology sector, which had previously been subject to strict regulations in developed countries. Meanwhile, there was a gradual expansion of greenfield investment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offer favorable conditions for market entry and resource acquisition.

From the second term of Hu Jintao to the second term of Xi Jinping administration, China’s ODI policies significantly influenced China’s actual OID. During this period, China consistently relaxed administrative regulations on ODI, while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level of management over investment areas. As a result, from the first term to the second term of Xi Jinping administration, China’s ODI rapidly expanded in scale. In addition China’s intention to position ODI as a supportinvemethod for national development was gradually manifested, as the country’s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became more defined.

Chapters 3 to 5 of this study analyze China’s ODI strategies in key regions are analyzed. The analysis covers the period from the second term of the Hu Jintao administration to the second term of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based on chronological, enterprise-type, investment-type, and sector.

Chapter 3 analyzes China’s investment strategy and current statu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China’s ODI in the U.S. and the EU has three main characteristics. First, regulations focused on advanced countries have affected China’s overseas expansion. Particularly, the Trump administration’s tightened regulations on China’s investment in advanced technology sectors since 2017 have led to a decline in M&A investment. Similar regulatory trends have been observed in the EU region, resulting in a decline in China’s investment in the EU. Second, there has been a shift from state-owned enterprises to private companies and a transition from brownfield to greenfield investments. The change in investment subjects became evident during the transition from Hu Jintao’s second term to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with a gradual increase in overseas investment by private enterprises. While brownfield M&A investments were prevalent in the earlier period, there was a shift toward greenfield investments due to changes in the M&A investment environment during Xi Jinping administration. Third, the motives and key investment sectors of China’s outboundinvestments have changed over different periods. During Hu Jintao’s second term, investment in the U.S. and the EU focused on the energy sector. In Xi Jinping’s first term, investment focused on real estate, finance, transportation, and technology. In Xi Jinping’s second term, there was a greater emphasis on investment in the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ector. These changes are interpreted as reflecting shifts in China’s investment motives due to policy changes by the Chinese government.

Chapter 4 investigates China’s ODI strategies and current status of China, focusing on the ASEAN and the Middle East regions since the second term of the Hu Jintao administration. China’s ODI in Asia has been characterized by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target countries. Factors such as the level of economic cooperation,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resource acquisition, market expansion, and the demand for new cooperation related to green and digital transformation have influenced China’s strategies. Over different periods,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key investment regions and countries, as well as the objectives and directions of investment. Particular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China’s investments in Asia has emphasized the integration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ODI. The Xi Jinping government actively promotes the overseas expansion of Chinese companies based o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highlighting the coordination of Belt and Road projects with investments in the ASEAN and the Middle East regions. The Chinese government actively uses ODI in developing countries as a means of external promotion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facilitating the overseas expansion of Chinese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monitor China’s overseas investment trends, by recognizing that China is increasing investment cooperation with the ASEAN and the Middle East not only from a political and diplomatic perspective but also for economic security, pursuit of national interests, and the promotion of new growth industries.

Chapter 5 examines China’s ODI in Africa and Central and Latin America. In these regions, China has focused its investments primarily on the energy and metals & mineral sectors, a trend that can be linked to the Chinese government’s main goal of securing raw materials. The most significant investments have taken place since the Hu Jintao administration. However, during the Xi Jinping era,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China has expanded its investments not only in energy and metals & mineral sectors but also in transportation, logistics and agriculture. China has actively engaged in economic cooperation and diversified investment in various sectors through forums such as the China-Africa Forum and the China-CELAC Forum, enhancing economic collaboration through consultations with each region. China’s ODI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frica and Latin America, in part because these countries have actively sought foreign investment for their own infrastructure improvement and economic growth, which was in line with the objectives of Chinese investment. However, a change in the pattern of China’s ODI can be observed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2013. Following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China actively cooperated with developing countries to develop supply chains and increased investment in Africa and Latin America.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ree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strengthening government cooperation channels for ODI △creating momentum for ODI in emerging markets such as green and digital sectors △strategically expanding policy initiatives for Korea-China cooperation in third countries.

First, China adopts a strategy to promote ODI by providing incentives through policies encouraging companies to expand abroad domestically. Externally, it adopts a strategy to facilitate companies’ overseas expansion by utilizing various channels of intergovernmental agreements and foster an environment of economic cooperation. This includes using government agreements to build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bilateral government communication channels,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bodies such as BRICS and BRI. China has consistently applied this strategy of promoting ODI through government agreements until the second term of Xi Jinping administration. This is seen as an effective strategy to address new concepts of economic security and uncertainti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supply chain blockage. South Korea has also adopted a similar approach in the Middle East through its “One Team Korea” strategy, which coordinates ODI through government-to-government agreements. Given the growing importance of ODI in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in resources and emerging industries sectors, and heightened national security concerns, there is a need for joint responses from government and business. Therefore, it is crucial for South Korea to actively consider engaging in government-to- government discussions through bilateral and multilateral summits with strategically important regions. At the same time, the use of business forums should also be thoroughly explored.

Second, during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China has begun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ODI and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particular, given the increasing importanceof climate change mitigationand digital economic growth for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 is a concentrated effort on ODI strategies in emerging areas such as green and digital sectors. This focus was also underscored during the high-level forums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in October 2023 as well. It is noteworthy that the strategic industries selectedby China for new ODI momentum are also critical for South Korea. As emerging industries gain prominence, securing markets becomes closely linked to a nation’s overseas production capabilities. Especially in regions such as Latin America, Africa, and the Middle East, where developing countries are focusing on resources and emerging industries, various forms of support are crucial for South Korean companies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secure comparative advantages.

Third, there is a strategic need to expand South Korea-China cooperation in third countries. South Korea’s ODIand China’s ODI overlap significantly. China strategically defines minerals, energy, and advanced technology as key resources and invests heavily in green and digital sectors. Competitive dynamic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re already emerging, especially in intermediate goods production. While this may be a constraint on South Korean companies’ ODI, it should be strategically leveraged as a new opportunity. South Korea has a history of joint investment with China in third countries, particularly in energy, utilities, and infrastructure. Building on this foundation,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strategic cooperation in new areas, including strategic industries for both countr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선행연구
3. 연구 범위 및 구성

제2장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정책 및 추이 변화
1. 후진타오 정부 2기까지의 해외직접투자 정책
2. 시진핑 정부 1기의 해외직접투자 정책
3. 시진핑 정부 2기의 해외직접투자 정책
4.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추이 변화
5. 소결

제4장 중국의 대아시아 해외직접투자
1. 개요
2. 주요 지역별 투자 현황 및 특징
3. 분야별 투자 특징
4. 소결

제5장 중국의 대아프리카ㆍ대중남미 해외직접투자
1. 개요
2. 지역별 현황 및 특징
3. 분야별 투자 특징
4. 소결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평가
2.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56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글로벌 디지털플랫폼의 데이터 집중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 분석 2023-12-30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기업결합과 혁신: 미국 디지털플랫폼과 경쟁정책을 중심으로 2023-12-29 Working paper Individualism and Political Stability 2023-12-29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단행본 메르켈 정권 16년: 주요 국제 이슈와 정책 평가 2022-09-08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분석 및 정책시사점 2021-12-27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방안 2021-06-21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GCC의 식량안보 정책과 시사점 2020-12-30 연구보고서 산업간 융·복합 시대 미국과 EU의 경쟁정책 분석 2020-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디지털 기술 발전과 고용관계:한중 기업사례를 중심으로 2019-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How Does Protectionist Trade Policy Interact with FDI? 2019-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베트남 농업분야 중장기 협력전략 수립 연구 2019-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경제, 제도, 비즈니스 환경을 중심으로 2019-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