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기초자료
성별 격차 해소를 위한 STEM 교육과 ODA 정책 시사점
▶ 디지털 전환 시대에 개인의 역량 강화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STEM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개발도상국 여성에 대한 STEM 교육의 지원 필요성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짐.
- STEM 교육 및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는 엄존하며,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이와 같은 문제가 심각하나 우리나라의 지원 전략은 미흡한 상황임.
- 국제사회는 개도국 여성의 STEM 교육 접근성을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고 ODA의 필요성을 강조함.
▶ 본 연구는 개도국의 STEM 교육 성별 격차 해소에 관한 동향을 분석하고, 주요 공여국의 여성 STEM ODA 지원 사례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유관 분야 ODA 추진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수학·과학 성적 상위권과 고등교육 STEM 전공자의 비율은 여전히 남학생이 많고, 노동시장에서도 STEM 산업 종사자의 비율, 임금, 정규직 고용률 측면에서 성별 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남.
- 이를 해소하기 위해 미국과 일본은 각각 국가전략과 ODA 전략을 통해 개도국 여성의 STEM 교육·취업 기회 확대와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여러 분야별 전략에 여성 STEM 교육·취업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젠더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며 실제 사업 시행에 전략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음.
▶ 우리나라는 보다 성평등한 STEM 교육 ODA를 추진하기 위해 사업 발굴·기획 단계에 성 주류화를 강화하고 개도국 현장 기반의 사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
- STEM 교육 ODA 전반에 젠더 요소를 고려한 사업을 확대하고 성별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는 성별 고정관념 타파에 대한 사업 활동이 포함되어야 함.
- 사업의 효과성과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타 공여국, 국제기구, 민간 부문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는 것을 제안함.
- STEM 교육과 노동시장에 관한 개도국 데이터가 부족한 점은 현지 이해관계자의 참여로 보완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개도국의 성별 분리 데이터 수집 및 보고 체계를 강화하여 효과적인 사업 수행을 도모할 수 있음.
-
기초자료 24-06 성별 격차 해소를 위한 STEM 교육과 ODA 정책 시사점.pdf (893.08KB / 다운로드 7,023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