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 인도경제에서 국영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2014년에 집권한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경제개발을 위해 국영기업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
- 국영기업 수는 2010년대에 증가세에 돌입하였으며, 2022년 기준 389개의 중앙정부 소유 국영기업이 있음
- 모디 정부는 국영기업 운영에 있어 수익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을 채택하였고, 다양한 산업의 국영기업이 주요 개발전략에 참여하고 있음.
- △농업 관련 산업, △전기업, △교통 인프라 산업, △에너지·광물 산업, △방위 산업 등 한국-인도 유망 협력 분야에서 인도 국영기업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인도 국영기업은 해외 기업·기관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옴.
- 인도 국영기업은 자본, 기술, 노하우를 확보하고, 해외 기업은 현지 진출에 필요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산업협력을 진행 중임.
- 국제기구 및 선진국 개발기관은 인도에서 개발사업을 발굴·추진하는 데 있어 관련 경험이 풍부한 인도 국영기업과 협력하고 있음. 

▶ 인도 국영기업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5M 정책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Monitoring: 국내외 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도 국영기업 분석을 담당하는 모니터링 팀을 신설해 국영기업의 △중장기 전략, △정부 정책 참여, △진행 사업 동향, △국내외 협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한국기업에 제공할 수 있음.
- Meeting: 한국과 인도 국영기업 간의 협력이 미미한 상황에서 관계 구축을 위한 첫 단계로 ‘한-인도 국영기업 협의회’를 신설하고, 참여기관들은 양국의 개발 과제 및 산업별 최신 이슈를 논의하여 한국기업의 인도 진출 시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음.
- Marketing: 주요한 바이어, 발주처, 수주처인 인도 국영기업과의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국영기업의 거래처, 구매 의향, 입찰 규제 등의 정보를 한국기업에 제공하고, 국영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수출상담회, 상품 전시회 등 마케팅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 Matching: 인도와 한국의 대내외 전략을 연계한 협력 방안을 발굴하는 조직을 설립하여 산업 협력 및 개발 협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인도 국영기업을 활용해 중단기적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할 수 있는 협력 사업을 도출할 수 있음.
- Metamorphosis: 한국은 후발주자로 인도 진출에 있어 대대적인 전략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므로, 한국기업은 ‘현지 생산’, 한국정부는 ‘개발도구 다각화’에 집중하기 위해 인도 국영기업과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