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김소은
-
아세안의 대외협력 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고도화에 대한 함의
▶ 아세안과 대화상대국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CSP)’ 수립이 확산되는 가운데, 아세안은 ‘아세안+1 메커니즘’ 강화를 통해 대화상대국 간 협력 경쟁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됨. - 한국도 2024년 10월 제27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계기에..
최인아 외 작성일 2025.02.25 조회수 491
-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 인도경제에서 국영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2014년에 집권한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경제개발을 위해 국영기업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 - 국영기업 수는 2010년대에 증가세에 돌입하였으며, 2022년 기준 389개의 중앙정부 소유 국..
김경훈 외 작성일 2025.02.19 조회수 530
-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 인도 경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은 서비스업이며, 다양한 서비스 산업이 태동 중임.- 인도 경제에서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은 지속될 것이며, 인도 내 다양한 서비스 산업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
한형민 외 작성일 2024.06.10 조회수 2,008
-
인도 신ㆍ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 인도 신ㆍ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기여결정(NDC) 해외감축분 필요, 인도의 신ㆍ재생에너지 관련 수출기지의 이점, 신ㆍ재생에너지 연관 시장 수요 등을 고려할 때 한-인도 신ㆍ재생에너지 협력의 필요성은 높음.- 인도..
한형민 외 작성일 2023.04.27 조회수 2,824
인도남아시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