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 10년의 평가와 무역·투자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경제관계, 무역구조

저자 강유덕, 임유진 발간번호 16-04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6.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21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유럽경제의 침체와 환율효과 등으로 한국의 대EU 수출은 한·EU FTA의 체결에도 불구하고 2011년 이후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무역수지는 2012년을 기점으로 적자로 전환되었다. EU는 2015년 기준 세계 GDP의 24%와 5억의 인구를 갖춘 거대시장이며, 한국의 총수출 중 9.1%를 차지하는 중요한 수출시장이다. 따라서 대EU 무역, 특히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유럽에 대한 직접 수출 외에도 이미 갖춰진 대중동부유럽의 투자·무역 네트워크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활성화 또는 재편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슬로바키아, 체코, 폴란드, 헝가리를 중심으로 중동부유럽의 체제 전환과 EU 가입 이후 중동부유럽의 경제 상황 변화 및 지난 10년간 한국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 현황을 살펴보고 투자와 수출 간의 관계를 산업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의 대중동부유럽 투자·무역 패턴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중·일 3국이 중동부유럽에 대해 펼쳐온 투자전략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투자·무역 네트워크 전략 마련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다음과 같다. EU 가입 이후 중동부유럽 4개국(이하 V4 국가)은 EU의 평균성장률보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대규모의 외자유치를 통해 제조업 및 수출 중심 경제로의 변화를 달성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 대중동부유럽 투자는 EU 확대 시점인 2004년을 전후하여 급증하였으며, 한국기업들은 자동차, 전자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현지생산시설을 갖춰나갔다.
  중동부유럽에 대한 투자 증가와 더불어 수출도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산업별 투자와 수출의 상관성 분석 결과 한국기업의 투자 후 1~2년의 기간이 경과한 후 해당 산업군(운송장비, 기계 및 장비류, 전자제품 등)에 속하는 중간재 수출이 급증하였다. 이는 투자가 수출을 유발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며, 본국과 해외 간의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이 이루어진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공급사슬의 연계는 무역수지에 반영되어 대중동부유럽 무역은 흑자구조가 고착화되었다.
  또한 한·중·일 3국의 투자·무역 패턴을 비교분석한 결과, 투자시기, 투자분야, 투자포지션 등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일본과 한국의 경우 주로 현지 생산시설의 신설과 같은 그린필드 형태의 제조업 투자가 주를 이뤘으나, 일본과 달리 한국의 투자는 상기의 일부 산업군에 집중되었다. 또한 일본의 경우 1990년 중반부터 대중동부유럽 투자 진출이 시작되었으나, 2000년대 후반 점차 감소하면서 2010년을 기점으로 해외생산시설의 이전 현상이 발견되었다. 한국의 경우 중동부유럽의 EU 가입 시기인 2004년에 대중동부유럽 투자가 집중되었으며, 2010년 이후에도 꾸준히 생산시설을 확충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중국은 한국과 일본의 대중동부유럽 투자와는 상이한 형태의 투자 패턴으로, 인수합병 위주의 브라운필드 투자가 주를 이루며, 제조업 외에도 서비스 분야에 대한 투자도 눈에 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지 진출 한국기업은 현 시점에서 대중동부유럽의 투자 및 생산시설 운영에 대한 중장기 전략을 새롭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전까지 한국기업의 대중동부유럽 투자는 EU 시장에 대한 높은 접근성과 낮은 노동임금으로 이점을 얻었으나, 중동부유럽의 상황변화로 대중동부유럽 투자 유인 요인들이 사라질 것이기에 한국기업의 중장기 전략 수립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다. 중동부유럽 4개국의 인건비가 상승할 경우 이는 현지진출 외국기업에 점차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EU 역내의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다른 신흥지역으로 생산시설 이전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대중동부유럽 투자는 수출 증가 외에 현지진출 한국기업의 경쟁력 개선으로 인한 수익률 증가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중동부유럽 진출 10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현지진출 한국기업들은 한국에서 중간재를 조달하던 방식에서 환위험 및 운송비용 절감을 위해 현지조달선을 크게 늘리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현지투자 증가가 더 이상 한국산 중간재 수출 증가로 이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현지진출 한국기업의 가치사슬 확대를 제시할 수 있다. 신흥국 시장에 진출한 일본의 대형 1차 부품업체들은 현지진출 이후 기존 일본계 완성차업체의 현지화 사업을 지원하는 한편, 신규고객을 확보하여 성장과 수익률 개선을 동시에 도모하고 있다. 이처럼 현지진출 한국기업 또한 기존 본청업체 지원을 위한 해외 생산·판매 거점 구축에서 자체 경쟁력 확대를 위한 R&D 및 판매 다변화를 통해 현지 공급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지업체와의 가격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는 단순 부품에서 벗어나 핵심 고부가가치 소재 및 부품을 개발하여 중?고위 기술 수준의 정밀한 부품을 생산하여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질 경우, 투자의 성과는 상품수지뿐만 아니라 서비스수지 및 소득수지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EU FTA 추진에 따른 통상환경의 변화가 수직적 분업차원에서의 공급사슬에 줄 수 있는 영향에 대해 현지진출 기업은 산업별 특색에 맞게 대응해야할 필요가 있다. EU는 역외국과의 적극적인 FTA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바, EU의 FTA 체결국 증가는 중동부유럽에 진출한 한국기업 입장에서 EU의 시장 진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생산거점의 증가를 의미한다. 이는 대중동부유럽의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중동부유럽으로 중간재를 조달하던 국내기업의 거래선이 축소되는 결과에 이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기업은 EU 기금으로 운영되는 V4 국가의 기존 다양한 지역에서 수주한 우리기업의 경험을 활용하여, 중동부유럽 현지투자 진출 여건을 분석하고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공프로젝트 수주 기회를 통해 중동부유럽 진출 방식의 다변화를 꾀할 수 있다. 중동부유럽은 EU 내 지역간 격차 해소를 위해 낙후 지역에 지원되는 EU 기금 수혜국으로, EU 기금이 지원되는 2014~20년까지 수송체계 구축, ICT 환경 조성, 전자정부 등 대규모 인프라 확충을 위한 공공 프로젝트를 발주할 예정이다. 그러나 프로젝트 수주에 있어 EU 역외 진출 기업에 대한 보수성을 감안하면 현지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진출전략이 수주 경쟁력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f we are to revitalize exports to the EU,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a more precise analysis on investment and trade between Korea and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Countries (CEEC),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proper strategies. This report suggests that policies ought to enhance the network of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the CEEC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CEEC economy and features of Korean investors in the CEEC.
  First, as the business environment in the CEEC has changed since the enlargement of the EU in 2004, Korean firms in the CEEC must now reestablish the long-term strategies of their investment. Prior to 2004, the Korean firms in the CEEC realized abundant profits due to easy access to the EU market and lower wages. However, transitions in the business landscape are leading to changes in the traditional pull factors of FDI, such as low labor wages. Accordingly, it has become inevitable for firms to establish a new strategy.
  Second, improving competitiveness in the CEEC benefits Korean investors to retain faster return on investment as well as increase exports. Since the EU enlargement, Korean investors tend to provide intermediate goods from local suppliers rather than from within Korea. The aim of these Korean investors is to minimize risks associated with exchange rate fluctuations and reduce freight costs by supplying intermediate goods from local markets. This signifies that investment in the CEEC does not increase exports. To overcome this vicious circle, Korean investors should expand their value chain.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find proper strategies to strengthen Korean firms’ competitiveness and diversify sales networks to realize sustainable growth.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materials and parts will boost competitiveness. Such changes will allow investments to translate not only into improvements in the trade balance but also the balance of services and income.
  Third, Korean firms should be prepared with strategies custom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as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caused by the EU pursuing further FTAs have had a huge impact on the supply chain of vertical international specializ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conditions of investment and establish winning investment strategies in the CEEC. Such strategies are aimed to diversify the portfolio of Korean firms in order to increase competitivenes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목적과 필요성
3. 선행연구 및 연구의 차별성
4. 연구의 구성 및 방법


제2장 EU 가입 이후 중동부유럽 경제의 변화

1. 중동부유럽 경제 현황
2. EU 가입 이후 중동부유럽 경제 변화 및 특징


제3장 한국의 대중동부유럽 무역·투자 관계와 그 특징

1. 한국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
2. 한·EU 무역관계와 대중동부유럽 수출의 특징
3. 한국의 대중동부유럽 투자와 수출
4. 대중동부유럽 투자와 수출 간의 관계
5. 소결 


제4장 한·중·일의 대중동부유럽 투자?무역 패턴 비교

1. 한국, 중국, 일본의 대중동부유럽 투자 비교
2. 한국, 중국, 일본의 대중동부유럽 수출 비교
3. 한국, 중국, 일본의 대중동부유럽 투자?수출 패턴 비교


제5장 결론

1. 연구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04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국경간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미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주요과제와 협력방안 2021-12-30 연구자료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30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 및 한국의 협력방안 2021-06-21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중남미 협력 방안: 의료 및 방역 부문을 중심으로 2021-06-2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