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미 간 경상수지 불균형과 위안화 환율의 관계 경제관계, 무역구조

저자 신꽃비, 나수엽, 박민숙 발간번호 18-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8.08.20

원문보기(다운로드:4,78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00년대 들어 중국의 부상과 함께 미국과 중국의 무역불균형이 빠르게 확대되었다. 양국의 무역불균형이 지속되는 원인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은 지속적으로 환율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을 압박해왔다. 중국은 시장 여건을 반영할 수 있도록 환율제도를 개선해왔으며 위안화 환율이 충분히 절상되었다고 주장하면서 환율 문제를 둘러싼 공방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ㆍ미 경상수지 불균형의 현황과 그에 따른 통상분쟁 전개 상황을 살펴보고 경상수지 불균형과 실질환율 및 환율제도의 상관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중ㆍ미 간 경상수지 불균형의 현황을 교역구조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국의 대미 흑자는 상위 10대 수출품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일부 품목에 흑자가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ㆍ미 간 교역을 가공단계별로 살펴보면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1차산품과 반제품을 주로 수입하고 자본재와 소비재를 수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대부분 최종재에서 발생하였으며, 특히 2016년을 기준으로 자본재 교역에서의 흑자가 소비재 교역에서의 흑자를 앞지르기 시작하였다. 중ㆍ미 간 교역을 기술수준별로 살펴보면 저위기술의 비중이 감소하고 고위기술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다. 한편 중ㆍ미 간 서비스 교역에서는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20년이 가깝게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흑자 규모가 급등했다. 중국의 대미 서비스 적자는 여행업종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기타 서비스업에서 흑자를 보이고 있다. 최근 미국은 상품무역불균형 외 지식재산권 관련 논의로 중국을 압박하고 있어 추후에도 관련 논의가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 중국은 서비스 분야의 대외개방을 통해 상품무역에서의 무역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금융업의 개방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3장에서는 위안화 환율을 둘러싼 논쟁과 트럼프 행정부 이후 중ㆍ미 간 통상분쟁의 쟁점 및 전개 과정을 주요 이슈별로 검토하였다. 미국은 위안화의 저평가로 인한 불공정 경쟁이 대중 무역적자를 초래하였다는 인식하에 환율조작국 지정을 검토하며 위안화 절상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다. 위안화 저평가여부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방법론과 분석기간에 따라 일관된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미 재무부는 중국을 지속적으로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하면서 대중 무역적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안화 절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는 환율 관련 압박 외에도 강도 높은 대중 통상제재 조치를 취하고 있다. 반덤핑 및 상계관세 부과, 201조, 232조, 301조와 같이 통상법에 근거한 대중 통상제재의 빈도와 수위는 더욱 강화되는 양상이다. 2017년 트럼프 행정부 1년간 미국의 대중 반덤핑·상계 관세 조사 개시 건수가 전년대비 59% 증가하였으며, 미 상무부는 26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산 알루미늄 합금 판재에 대해 직권으로 반덤핑ㆍ상계 관세 조사를 자체 발동하였다. 또한 그동안 활용도가 낮았던 통상법 201조, 232조, 301조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하거나 WTO에 제소하는 방식의 강경한 대중 통상제재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제재 조치에 대해 중국은 정부 성명을 통해 강도 높은 비난과 반발 의사를 표출하였으며, 미국과 동일한 방식으로 맞대응하였다.
  4장에서는 중ㆍ미 간 경상수지와 환율 간의 관계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중ㆍ미 간 경상수지에 영향을 주는 장ㆍ단기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실증적으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장기적으로 중국의 대미 경상수지는 실질환율뿐만 아니라 양국의 실질 GDP 성장률의 차이, 재정수지의 차이, 중국의 순 해외자산, 무역개방도, 중국의 금융 심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제성장과 금융의 발전은 소비를 증가시켜 중국의 대미 경상수지 흑자를 조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양국간의 무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의 대미 경상수지 흑자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시장개방 확대를 통해 경상수지 불균형을 조정하고자 하는 주장은 실증적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무역개방도의 변화만이 경상수지에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인위적으로 양국간의 무역량을 줄이는 조치는 즉각적으로 중국의 대미 경상수지 흑자의 축소를 야기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중국이 소비ㆍ내수주도 경제성장전략으로 전환함에 따라 GDP에서 대미 무역의 비중이 줄어들면 경상수지 불균형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실질환율의 영향을 보면 실질환율의 변화가 단기적인 경상수지 조정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양국의 경상수지 불균형의 조정은 주로 지속성의 감소, 즉 평균으로의 조정속도가 빨라진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의 환율제도 개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경상수지 조정 속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에 의하면 위안화 환율은 장기적으로 미중 무역불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중국이 환율제도 개혁을 통해 무역불균형의 조정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과 아시아 신흥국들의 글로벌 가치사슬을 고려한다면 위안화 환율 조정만으로 미중 무역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을지는 불명확하다. 미국의 재정적자 축소 및 민간저축의 증대, 중국의 금융시장 발전과 같은 구조적인 변화가 수반될 때 양국의 경상수지 불균형을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트럼프 행정부가 환율조작국을 지정한 사례가 없으나, 중국정부의 위안화 환율 개입 및 저평가에 대한 미국의 불신이 여전하므로 환율조작을 둘러싼 양국간 분쟁의 소지가 여전하다. 미국의 대중 환율조작국 지정 및 위안화 절상 압력은 원화강세 압력으로 작용하며, 한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 압박 역시 고조될 우려가 있다. 한편 한국 대중 수출의 중간재 의존도를 감안했을 때 중ㆍ미 간 통상마찰의 심화는 중국의 대미 수출 위축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한국의 대중 중간재 수출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또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될 경우 지속적인 한국의 대중 무역흑자로 인해 한ㆍ중 간에도 보조금 문제를 비롯하여 통상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China current account imbalances and the development of trade disputes. This paper also empirically analyzes the short and long-term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account imbalances and real exchange rat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account persistence and exchange rate regime.
  In Chapter two, we study the current account imbalance between China and the U.S. in terms of trade structure. We find that China’s trade surplus with the U.S. is concentrated in a few specific items, including cell phones, automatic data processing machine and monitors and projectors. Looking at the processing stage of the trade between China and the US, China’s trade surplus with the U.S. has mostly come from the final goods. In particular, the surplus in capital goods trade has begun to surpass the surplus in consumer goods trade, in 2016. We also find that the surplus in high-technology manufacture exceeds that in low-technology manufacture. Meanwhile, China has run a deficit in the service trade with the U.S. and the deficit has surg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Chapter three, we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pute over the yuan exchange rate and the trade disputes after the Trump administration. Analyzing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n the misalignment of RMB exchange rate, we find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a consisten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and analysis period. However, the U.S. Treasury Department maintains its position that the RBM should be appreciated to resolve the trade imbalance. After the launch of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is taking hard-line trade sanctions in addition to exchange rate pressures. In 2017, the Trump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anti-dumping and countervailing duty investigations for import goods from China by 59% year-on-year, and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for the first time in 26 years, exercised anti-dumping and countervailing duties investigation on Chinese aluminum alloy sheets. In addition, it is considering imposing tariffs based on Articles 201, 232 and 301. In response to these U.S. sanctions, China expressed its strong condemnation through government statements and countered in the same way as the United States.
  In Chapter four,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account balance and the exchange rate in two ways. First, we analyzed whether the RBM exchange rates i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current account balance between China and the U.S.. In the long term, China’s US current account is affected not only by the real exchange rate but also by the difference in the real GDP growth rate, the difference in the financial account balance of two countries, the financial deeping of China. In the short term, only changes in trade opennes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urrent account. The change of the real exchange rate does not seem to lead to the short-term adjustment of the current account. Second,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istence of the current account and the Chinese exchange rate regime. The results implies that current account imbal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adjusted faster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China’s exchange rate system reforms contributed to current account adjustment.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that the RMB exchange rate only affects trade balance between China and U.S. in the long term, and China seems to contribute to the adjustment of trade imbalance through the exchange rate system reform. However, considering the global value chain of China and emerging Asian economies, it is unclear whether the RMB exchange rate adjustment alone will resolve the trade imbalance. Instead, structural rebalancing such as the U.S. fiscal deficit reduction, the increase of private savings, and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market in China can fundamentally solve current account imbalance. Although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not yet designated as a currency manipulator, the U.S. government still suspects the foreign exchange market intervention and the undervaluation of the RMB. It is possible that the pressure of the U.S. on RMB appreciation would direct at KRW exchange rate.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dependence of intermediate goods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deepening trade disputes between China and the U.S. may cause China to shrink its exports to the U.S., resulting in a slowdown in Korea’s intermediate exports to China. In addition, with the spread of protectionism, there will be a possibility of trade disputes including the subsidy problem between Korea and China due to Korea’s continuous surplus with Chin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과 구성


제2장 중ㆍ미 간 경상수지 현황
1. 개관
2. 상품교역 현황
    가. 중ㆍ미 간 상품 교역
    나. 중ㆍ미 간 교역구조 분석
3. 서비스 교역 현황
    가. 중ㆍ미 간 서비스 교역
    나. 중ㆍ미 간 서비스 수지
4. 소결


제3장 중ㆍ미 간 주요 통상분쟁 현안 및 전망
1. 통상분쟁의 배경
    가.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 확대
    나.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통상정책 및 규제조치 강화
2. 위안화 환율을 둘러싼 논쟁
    가. 중국의 환율제도 변화
    나. 위안화 환율 저평가 논의
    다. 환율조작국 지정 문제
3. 미국의 대중 불공정 무역행위 제재조치
    가. 반덤핑 및 상계관세조치
    나. 201조
    다. 232조
    라. 301조
    마. 미국의 불공정 무역제재에 대한 중국의 반응 및 대응조치
4. 평가 및 향후 전망
    가. 평가
    나. 향후 전망


제4장 중ㆍ미 경상수지와 환율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1. 중국의 대미 경상수지 결정요인 분석
    가. 분석모형 설정
    나. 실증분석 결과
2. 경상수지의 지속성과 환율의 관계
    가. 중국의 대미 경상수지 흑자 지속성(persistence) 추정
    나.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 지속성과 환율제도의 관계
3. 소결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가. 전망 및 협력방향
    나. 중ㆍ미 통상분쟁 심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02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국경간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미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주요과제와 협력방안 2021-12-30 연구자료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30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