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지역 주요국의 핀테크 발전과 협력방안: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저자 이충열, 이종하, 이선호, 강성범 발간번호 20-0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0.12.31

원문보기(다운로드:3,06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인터넷의 확산과 모바일기기의 도입,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정보기술의 발전은 금융산업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원거리 비대면 자금이체에서 시작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산관리, 빅데이터를 이용한 신용분석 등이 도입되면서 금융산업은 크게 변화하였고, 급기야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핀테크’라는 용어까지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신남방 주요 5개국의 핀테크 산업 현황을 조사하고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인 핀테크 이론을 설명하고, 한국의 핀테크 산업 현황을 제시하여 이들 국가 분석의 기준으로 삼았다. 이후 이들 5개국 핀테크 산업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산업과 ICT 인프라 현황을 조사하고, 최근 도입된 핀테크 산업의 현황 및 정부 정책, 규제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핀테크의 발전은 한국의 경험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단계는 1980년대부터 시작된 금융기관 내부의 전산화로, 각종 장부와 자료가 전산화되고 지점과 본점이 온라인으로 연결되기 시작한 것이다. 2단계는 금융전산 공동망화 기간으로, 금융기관간 네트워크가 연결된 단계이다. 여러 은행간 자금이체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신용카드와 직불카드, 온라인 송금의 전자지급결제 수단이 도입되었으며, 증권거래소와 증권사 사이의 전산망이 연결되었다. 3단계는 인터넷 기반의 금융서비스가 발달한 시기로, 유선인터넷을 중심으로 인터넷뱅킹과 온라인증권이 확대된 시기이다. 이 시기부터는 금융서비스 사용자들이 대부분의 금융서비스를 금융기관 지점이 아닌 외부에서 수행하게 되었다. 4단계는 모바일 기반의 금융서비스가 발달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이 더욱 높아진 시기로, 모바일 결제와 모바일 증권거래 등이 확대된 시기로 볼 수 있다. 5단계는 2015년부터 최근까지의 시기로, PtoP 대출 등 다양한 핀테크 상품이 도입되고,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개인자산 관리ㆍ투자 결정, 온라인으로 보험 설계와 판매, 계약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도입된 시기이다.
   한국정부는 핀테크를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부문으로 인식하고, 미래 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성장의 한 축으로서 핀테크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핀테크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 핀테크 지원센터를 개장하는 등 실질적인 정책도 수행하고 있다. 한편 핀테크가 확대되면서 개인정보 보호나 시스템 안정성 확보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이 분야에 대한 정부의 규제와 감독은 새로운 국면에 진입하였다. 「전자금융거래법」이 만들어지고, 개인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 등 신남방 주요 5개국의 핀테크 산업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첫째, 소매결제 수단으로 카드나 소프트웨어 중심의 전자결제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다. 둘째,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뱅킹, 모바일뱅킹 서비스 등을 통한 계좌이체서비스가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뱅킹 서비스 중 대출 관련 서비스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인터넷을 활용한 증권거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핀테크 기업은 2000년대 초반부터 등장하였지만, 그 발전 속도가 매우 더디어 2010년대 후반에서야 활성화되었다. 여섯째, 이들 국가의 핀테크 기업들 중 일부는 이미 자국이 아닌 해외투자자로부터 투자자금을 유치하였고, 일곱 번째 베트남은 비록 가장 늦게 핀테크를 도입하였지만 실제로 발전 속도는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남방 국가들의 관련 법과 규정을 정비하거나 이에 대한 연구사업을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핀테크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보호법」과 「소비자보호법」 등 관련된 다양한 법률의 검토도 필요하고 이들 규제의 동조화 작업도 ODA 사업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핀테크 기업의 해외진출을 전담할 수 있는 기관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ICT 기관 해외진출 및 수출을 담당하는 기관들은 핀테크보다는 순수 ICT 기기와 서비스 수출에 보다 집중하고 있고, 금융해외진출 지원 기관은 은행 및 증권 등 금융부문을 더욱더 강조하고 있다. 중소기업 육성 부서는 해외진출로 인한 일자리 유출을 걱정하여 지원에 인색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핀테크 해외진출 지원을 전담할 기관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e spread of the Internet, the introduction of mobile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internet of things have had a great impact on the financial industry. Starting from long-distance non-face-to-face transfer of funds, asset manage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redit analysis using big data, etc., the financial industry has changed substantially for the past few years and finally, fintech, a combined word of finance and technology, become a common terminology.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s fintech as a major secto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currently promoting the fintech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for future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implementing several practical policies such as suggesting fintech promotion activation plans and establishing a new organization called Fintech Center Korea. Meanwhile, as fintech industry expands, several problems such as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curing system stability begin to show up, and the government's regulation and supervision in this area has entered a new phase.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was created, and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began to be more emphasize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cent development of fintech industries in five major countries of Indonesia, Malaysia, Thailand, Vietnam, and India in Southeast Asia and South Asia and to giv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government of Korea to improve the fintech industry of these countries. For this purpose, newly developed fintech products and business models as well as the financial industry and ICT infrastructure of these countries were examined. Government promotion policies and regulatory issued are given as well.
   It shows several important observations as follows. First, several electronic payment services applying plastic cards or online software have been used as retail payment means for these years. Second, account transfer services through online banking and mobile banking services using the Internet have been provided in most countries. Third, some of the loan-related services in online banking are provided, and securities transactions using the Internet are found to be actively conducted in all countries. Fifth, while fintech companies emerged from the early 2000s, their development speed had been very slow for years and they became active in the late 2010s. Sixth, fintech companies in these countries actively are using financial resource from not only their own countries but also foreign investors to secure investment. Seventh, while Vietnam was the latest to introduce fintech services among these five countries, its development speed was very fast.
   Meanwhile, applying our own definition of fintech indexes to these countries, it is shown that as of 2019, Malaysia and Thailand ranked the top among the five countries with almost similar scores. Vietnam, Indonesia, and India followed in that order. Looking at the changes in each country's index in 2010, 2015 and 2019, Malaysia, Thailand, and Vietn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during this period, while India and Indonesia did not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Korean fintech companies closely work with local partners if they want to enter the markets of these countries. This is because fintech services are closely related to local finance and payment customs, so it is not easy for Korean companies to penetrate the local market independent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se countries do not have sufficient ICT infrastructure nationwide and they did not have capable human resource. It is advisable that they should take care of differences in market structure, payment infrastructure, customs and government regulations, etc. of each country to select the country and the product to launch there.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may implement various supporting policies for Korean fintech companies. For example, programs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n fintech companies and local companies can be carried out. Active programs to enhance the cooperation among financial regulatory agencies are also recommended. More specificall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on-site support through roadshows, inter-agency workshops, and invitational training of local regulatory agency employees. Also, the government's ODA project for these countries can also be promoted considering that all of these five countries are low-income countries trying to improve financial inclusion.
   Meanwhile, it is very important to reorganize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n Fintech of the New Southern countries or to conduct research projects on them. For example, it may be necessary to review various related laws such as the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Consumer Protection Act」 necessary for providing fintech services, and the coordination of these regulations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ODA project.
   Finally,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in charge of these policy action should be established. Currently, their assignments were segmented into several institutions on ICT promoting institutions, export promoting ones, SME developing ones as well as financial service supervising and as a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coordinat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핀테크의 이론적 분석
1. 핀테크의 정의
2. 핀테크의 발전 과정 및 단계
3. 핀테크 산업의 경제적 성격 46

제3장 한국의 핀테크
1. 한국의 핀테크 현황
2. 한국의 핀테크 산업 및 시장
3. 한국의 핀테크 관련 정부 정책 및 규제
4. 한국 핀테크 산업의 평가

제4장 신남방 국가의 핀테크
1. 인도네시아
2. 말레이시아
3. 태국
4. 베트남
5. 인도

제5장 신남방 국가의 핀테크 특징 및 비교 분석
1. 핀테크 산업
2. 핀테크 지수
3. 핀테크 관련 활성화 정책과 규제

제6장 신남방 주요국과의 협력방안
1. 핀테크 기업 진출의 성공 요건
2. 활성화 정책 및 전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59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