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국의 녹색금융 발전전략과 주요내용 금융정책, 자본시장

저자 문지영, 이효진 발간번호 22-0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2.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13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녹색산업 발전에 녹색금융의 활용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적극적으로 녹색금융 시장 형성을 추진하는 국가다. 중국은 2016년 「녹색금융 시스템 구축에 관한 지도의견」이라는 녹색금융 시장 구축 관련 강령성 문건을 발표하고, 녹색금융을 환경개선과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경제활동의 자원 고효율 사용을 위한 환경보호, 신재생에너지, 그린(Green) 인프라 건설 등의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금융서비스로 간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전략적 정책 도구인 녹색금융을 정책 수립, 시장 형성, 국내 녹색산업 발전 지원, 대외협력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향후 한국과의 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중국 녹색금융 발전 현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중요 구성 분야인 녹색대출과 녹색채권 시장에서의 정책 수립 및 시장 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중국의 녹색대출 시장은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2021년 기준 15조 9,000억 위안을 초과하였다. 중국의 녹색대출은 국유은행과 주식제 상업은행 등 중대형 은행을 중심으로 녹색산업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녹색채권은 중국의 지방정부나 기업이 발행하는 유가 증권으로, 발행 주체 유형에 따라 금융채, 채무융자상품(중기어음 및 상업어음), 회사채, 기업채로 구분되며, 관련 규정 유형, 관리 감독 기관, 정보공개 여부, 평가 필요 여부 등이 다르게 적용된다. 2021년 중국의 녹색채권 시장규모는 1조 56억 위안을 기록하였으며, CBI (Climate Bond Initiative)는 중국 녹색채권 시장을 ‘미국 다음으로 큰 시장’이라고 평가하였다. 녹색채권 발행 현황을 살펴보면, 국유기업 주도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정부가 국유기업에서 발행하는 기업채 형식의 녹색채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느슨한 규제를 적용하는 이중화 관리 구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장에서는 녹색금융을 활용한 중국의 녹색산업 발전전략, 해외투자 유치, 그리고 대외협력 채널 확대전략을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은 녹색산업 발전전략 중 청정에너지 개발 및 확대, 친환경 자동차, 녹색건축을 우선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들 산업에 대하여 중국은 △신용평가 기준 마련 및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금융지원 확대 △지방정부 녹색금융을 활용한 녹색건축 발전 △신재생에너지 차량 보급을 위한 녹색대출 시행 등의 방침을 통하여 녹색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둘째, 중국은 해외투자 유치를 위하여 「외상투자 장려 산업 목록」에 신재생에너지, 수소 발전, 녹색교통,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환경보호, 자원 순환사용 등의 녹색산업을 포함하고, 지방정부는 외자투자 유치를 위한 행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외상투자 장려 산업에 수소에너지 발전과 CCUS 등 신흥 녹색산업을 대거 포함하였는데, 이는 외자 유치를 통하여 녹색산업 발전에 대한 기술적 병목을 해결하고 산업발전을 촉진하려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중국은 자국이 주도하고 있는 국가간 협력 플랫폼에서 녹색금융에 대한 국제적 논의를 활성화하여, 녹색금융 룰메이커(Rule-maker)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2016년부터 지속적으로 다양한 다자간 협력체제를 주도적으로 조직하고 있으며 EU, 영국, 프랑스, 독일 등과 양자간 협력체제를 통한 녹색금융 활용 채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의 분석을 통해 녹색금융 분야에서 한·중 간의 다양한 협력 기회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며 △한·중 녹색산업 투자 협력 확대 △녹색금융의 국제 협력기구 적극 참여 △한·중 녹색금융 제도 협력 강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과 중국은 비슷한 제조업 기반의 산업발전 구조와 녹색산업 발전전략을 갖고 있으므로 향후 녹색산업 발전 분야에 대한 협력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 중국이 적극적으로 외자 유치를 장려하고 있는 풍력, 태양광, 수소에너지, 친환경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중국시장 진출을 도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관련 산업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중국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둘째, 한국은 녹색금융 분야의 국제 협력기구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은 녹색금융 분야에서 다양한 다자협력 체제를 활용하여 중국의 입지를 다지고 있지만, 한국은 아직 일부에만 가입을 진행한 상황이다. 한국도 글로벌 녹색금융 리더십 프로젝트(GFLP), 지속가능 금융에 관한 국제 플랫폼(IPSF)과 같은 플랫폼에 가입하여 국제사회의 녹색금융 기준 수립의 주도권을 쟁취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은 중국과의 녹색금융 제도 협력을 통해 국제 녹색금융 제도 수립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 2021년 중국은 EU와 함께 ‘공동 분류 목록’이라는 녹색채권 발행 분류체계를 발표하였다. 이는 국제사회의 녹색 분류체계를 선도하고 있는 EU와의 협력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며, 중국이 녹색금융 국제 기준의 룰메이커로 자리매김하려는 의도를 확인시켜 주었다고 판단된다.  한국도 2020년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인 ‘K-Taxonomy’를 발표했다는 점에서, 중국과의 녹색금융 제도 협력을 레버리지 삼아 한국 녹색금융의 제도적 고도화를 도모하고 유럽 등의 선진국과 국제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한 한·중 녹색금융 협력을 추진하기 위하여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에서 이를 조율할 수 있는 협의체를 설립하고, 정기적인 논의를 통하여 보완·개선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탄소중립과 녹색산업의 발전이 지속가능한 경제구조를 이루기 위해 한국과 중국 모두에서 중요시되는 만큼, 녹색금융 분야에서 한·중 협력이 양국간 협력 관계를 위한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ina is a leading nation in the area of green finance, deeply recognizing that carbon neutrality should be accompanied with green finance to boost development of the green industry and actively working to develop green financial markets. In 2016, China published th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the Green Financial System,” which provides cor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the domestic green financial market. These guidelines define the concept of green finance in China, namely as providing financial service to support projects such a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nd gree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efficient use of resources in economic activities. Viewing green finance as an important strategic policy tool for China to achieve its carbon neutrality goal, this research explores China‘s green finance strategy in terms of policy establishment and market formation, the tools for supporting domestic green industry development, and global cooperation, while also aiming to provide suggestions for Korea-China cooperation in the green finance field.

Chapter 2 studies China’s policy establishment and market status in terms of green loan and bond market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China’s green finance market. China’s green loan market is largely operated by state-owned banks and some large commercial banks as major players. These provide loans for domestic green projects to boost China’s green economy development. The support provided by these banks has increased the size of China’s green loan market to over 15.9 trillion RMB, making it the largest market in the world in 2021. China’s green bond market, as well, is one of the largest in the world. Its size recorded 1.56 trillion RMB in 2021, and according to the Climate Bond Initiative it is the second largest green bond market in the world after the United States. In China’s green bond market, local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act as major suppliers of green bonds. According to the issuance type and purpose of use, China’s green bond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finance bonds, intermediate bills, commercial bills, corporate bonds, and enterprise bonds. Also, there are various management guidelines according to the bond type and entity ownership. These guidelines have different requirements about supervisory authority, requirements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necessity for evaluation, and are adopted based on the issuing entity. One of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is study is that China’s green bond market is largely led by state-owned companies. This may because of the government’s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ucture for state-owned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which benefits them more than non-state-owned companies by providing relatively lenient requirements when issuing green bonds. 

Chapter 3 analyzes China's green finance utilization strategies in terms of supporting green industry development, attracting foreign green investment, and expanding foreign cooperation channels. First, China uses green finance to support green development, especially focusing on clean energy development, renewable vehicles, and green architecture. Various supportive measures are provided, including credit evaluation standards to expand green project financing, encouraging green architecture through local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green loans and subsidie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renewable energy vehicles. Second, in order to boost domestic green economy development, China also implements financial policy support measures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in green industries. The main method is to enlist emerging green industries in the “Catalogue of Industries for Encouraging Foreign Investment,” which includes areas such as renewable energy; hydrogen power generation; green transportation; 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CCU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 circulation. These emerging industries are significant for green economy development but still require massive capital support to solve technology bottlenecks. Therefore, the Chinese government has opened its green economy market to foreign investment not only to promote emerging industries but also to find solutions to technical bottlenecks hindering expansion of the market. Third, China intends to solidify its role as a rule-maker by vitalizing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green finance on multilateral cooperation platforms. Since 2016, China has continued to expand green finance cooperation on both multilateral and bilateral cooperation platforms with the EU, UK, France, and Germany, among others. These actions convey an image to the global community that China is one of the leading nations in the global discussion on green finance. Also,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China to expand its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green finance global standards. 

Regarding China’s green finance strategy, our study assesses that Korea could leverage various opportunities to cooperate with China in the field of green finance by: 1) expanding Korea-China investment in the green industry, 2)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reen finance cooperative organizations, and 3) strengthening institution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green finance field. 

First, Korea and China could cooperate in green industry investment. As both countries have a manufacturing-based economic development structure, they share similar needs for green economy transformation, such as developing renewable energy and green vehicles. Korea could consider investing in cooperation with China in these industries, especially for those areas where China encourages foreign investments such as wind power, solar power, hydrogen energy, and renewable cars. By doing so, Korea could retain its share in related Chinese markets, and could also utilize Chinese market as a test bed to commercialize green technologies. 

Second, Korea needs to join multilateral cooperation platform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global discussion on green finance. According to China’s strategy to utilize international cooperation platforms, we analyze that China is participating in these platforms not only to lead the global discussion on green finance and strengthen its global leadership, but also to secure its position as a rule-maker in this field. However, while Korea has joined some of these platforms, the current level of participation is insufficient to assume a leading position on global green finance discussion. Therefore, Korea would benefit from joining multilateral platforms such as the Global Green Finance Leadership Program (GFLP) and International Platforms on Sustainable Finance (IPSF) in order to expand its global leadership and assume a leading position in the establishment of green finance standard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rd,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cooperate with other countries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green financial system, regarding which China could be the starting point. In 2021, China announced the Common Ground Taxonomy (CGT) with the EU, a joint classification system for green bond issuance which draws on the EU Taxonomy. This was a significant development because it signifies cooperation with a nation leading development of the green taxonom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EU, thus confirming China as a rule maker of green finance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is regard, Korea must make efforts to promote institutional advancements in the green finance market. Korea’s announcing its green classification system, the “K-Taxonomy,” in 2020, could be an opportunity to pursue institutional cooperation with China on the Green Bond Taxonomy with China, and further on with the EU. 

Finally, in order to realize the aforementioned green financ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body that can coordinate this during the renegotiation process of the Korea-China FTA. The cooperative body could enable Korea to hold regular discussions on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 plans for green finance cooperation with China. 
As carbon neutrality and the development of green industries are significant missions for both Korea and China in this era of great green transition, we hope this study can add further momentum to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Korea-China in the field of green financ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주요 내용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중국 녹색금융 발전정책과 시장 현황
1. 녹색금융 발전정책
2. 녹색대출
3. 녹색채권

제3장 중국의 녹색금융 활용전략
1. 녹색산업 지원전략
2. 해외투자 유치
3. 대외협력 채널 확대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98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환율과 기초여건 간 괴리에 대한 연구: 시장심리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기후금융의 현황과 발전방향: 녹색채권을 중심으로 2022-06-30 Working paper COVID-19 and the Health of Banking Sector in Japan and South Korea: A Comparative Study 2022-07-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부동산 보유세 논의 방향과 거시경제적 영향 분석 2021-12-30 ODA 정책연구 글로벌 ESG 동향 및 국가의 전략적 역할 2021-12-30 연구보고서 신용공급 변동이 경제성장 및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 2020-12-30 연구보고서 국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동 결정요인 분석: 금리와 환율을 중심으로 2020-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경상수지의 구조적 변화와 정책방향 2020-12-30 연구보고서 중국 산업, 얼마나 强한가?: 중국 산업경쟁력의 미시적 토대 분석 2020-02-28 Working paper Global Financial Imbalance: Firm-level Evidence from Korea 2020-05-15 연구보고서 개방경제에서 인구구조 변화가 경상수지 및 대외자산 축적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중소기업의 국제화 정책방향 연구 2019-12-30 연구보고서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확대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2019-12-30 APEC Study Series Asia-Pacific Stock Market Connectedness: A Network Approach 2019-10-31 APEC Study Series Asia-Pacific Stock Market Connectedness: A Network Approach 2019-10-31 연구자료 외화예금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2019-08-26 Working paper The Effect of Export Insurance and Guarantees on Export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for Korea 2019-08-20 연구보고서 개방경제에서의 금융혁신 파급효과와 블록체인기술 발전의 시사점 2018-12-31 연구자료 중국 모바일 결제 플랫폼의 발전과 시사점: 알리바바 사례를 중심으로 2018-12-28 연구보고서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자본유출입 안정화방안 2018-12-2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