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미국의 대중 금융제재 영향과 시사점 경제안보, 금융자유화

저자 연원호, 김효상, 문지영, 나수엽, 김영선 발간번호 22-2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2.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11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일반적으로 경제제재는 외교정책과 국가안보를 목적으로 표적 대상의 경제적 행위에 강압적인 제한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역시 수출입 제한, 해외원조 및 투자 거부, 외국인 자산 동결, 자국민의 제재 대상자(개인 및 기업)와 관련된 경제적 거래 금지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경제제재를 활용해왔다. 이 가운데 금융제재는 제재 대상 국가ㆍ기업ㆍ개인에 대한 자금 흐름, 기타 형태의 자산 가치에 제한적 조치를 부과하는 것으로, 자산을 동결하거나 금융거래를 금지 또는 제한할 뿐만 아니라 수출입 거래 결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광범위한 파급력을 갖는다. 

경제제재를 지정학적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오늘날 미국의 제재가 갖는 영향과 효과는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 이외의 다른 국가들도 관세, 수출입 통제 및 기타 비관세 장벽을 부과할 수는 있지만, 미국과 같이 국제 금융 인프라에 대한 접근을 일방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 이는 세계 기축 통화로서 달러가 확고한 지위를 갖고 있어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달러 거래를 제한하는 미국의 2차 제재(secondary sanction)는 수출통제와 같은 다른 경제제재를 보완하고 미국이 제재를 통해 전 세계에 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미ㆍ중 전략 경쟁이 첨예화됨에 따라 미국은 금융제재의 범위뿐만 아니라 내용도 확대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첨단기술 패권 경쟁에서 미국은 이러한 금융 분야의 영향력을 사용하여 첨단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투입 요소를 확보하려는 중국의 시도를 방해할 수 있다. 미국기업이 중국에 부품을 수출하는 것을 막는 것 이외에도, 미국은 미국 달러를 사용하는 해외첨단기술 기업의 공급망을 따라 중국과의 거래에 개입할 수 있다. 

2장에서는 미국의 전반적인 대중국 금융제재 운용에 관한 법적 근거와 체제, 집행 절차 및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미국의 대중국 금융제재 현황과 전망에 대해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금융제재는 법적 근거를 토대로 의회, 대통령, 주요 행정부처 간 유기적인 역할과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미국은 국제규범 위반에 대한 금융거래 제재를 오랜 기간 활용해 왔으나, 최근 중국의 기술적 부상과 국가안보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특정 중국기업에 대한 지분투자 등 자금 흐름을 차단하는 금융제재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3장에서는 중국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에 있어 금융은 경제성장을 지원하는 중요한 산업이자 여전히 발전이 진행되고 있는 성장기 산업 중 하나다. 또한 중국기업들은 미국의 선진 금융 시스템을 활용하여 비즈니스에 필요한 자금을 융자하고 해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이 대중국 제재 수단 중 하나로 활용하면서, 중국은 금융 산업의 대외적인 충격에 대한 대응과 대비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3장에서는 최근 미국의 대중국 금융제재에 대한 중국의 대응 전략을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누어 분석했다. 중국의 단기적 대응으로는 미국 금융제재에 대한 중국의 입장 표명과 외국의 제재에 대한 대응 법규 도입 및 적용을 분석하고, 중기적 대응으로는 기업의 해외상장 규범화 및 자금조달 경로 다원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위안화 국제결제 시스템 개발과 자본시장 역량 확대 분야에서 미국 금융제재에 대한 중국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미ㆍ중 간 금융제재의 영향으로 실질적으로 금융의 탈세계화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여기서 ‘실질적’이라고 함은 내국인의 해외투자와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기적으로 대외자산과 부채 간 균형을 유지하는 경제에서 국내에 유입된 해외 자본이 외국에 진출했던 국내 자본으로 대체되었을 때, 즉 한 국가가 개방적 경제에서 폐쇄적 경제로 점진적으로 이행될 때의 경제적 영향을 고민해 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무역개방도의 감소는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반면, 금융개방도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세계 경제가 분절화되어 중국에 투자되는 자본이 특정 국가에 한정되면서 금융집중도가 높아진다면, 이는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ㆍ중 간 현재 상호 연계된 자산 비중을 살펴봄으로써, 양국간 갈등이 첨예화되어 상호 금융시장이 분절될 경우의 단기적인 비용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미ㆍ중 간 금융제재 정책 도입으로 제도적(de jure)인 측면에서 금융의 세계화가 약화된다고 하더라도, 실질적(de facto)인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또는 미ㆍ중 양국간의 대외투자가 감소할 것이라고 확언하기는 어렵다. 다만 미ㆍ중 간 금융 부문에서의 경쟁이 극단으로 치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여 미국과 EU 등 서방국가는 러시아중앙은행 외환보유고 동결, 주요 금융기관과 기업에 대한 SWIFT 배제 등의 조처를 하였다. 중국의 대만 침공과 같은 극단적인 조건하에서는 미국이 중국에 상기와 같은 강력한 금융제재 조치를 이행하고, 중국 또한 단기적인 엄청난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달러 결제 시스템 의존도를 극단적으로 낮추면서 위안화 국제결제 시스템만 고집하는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달러 패권을 유지하기 원하는 미국으로서는 중국이 위안화 국제화를 가속화하는 것은 바라는 바가 아니며,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역시 독자적인 노력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닌 국제사회의 컨세서스를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ㆍ중 간 금융 분야의 대립 또는 경쟁이 극단적인 양상으로 진행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미국은 특정 첨단 또는 전략물자와 관련한 금융거래만 강도 높게 통제하는 시나리오를 택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대해 정부는 우리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기업은 자체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강화를 통해 제재 노출을 피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Economic sanctions are typically imposed as coercive measures to restrict a target’s economic activities, with the aim of achieving foreign policy and national security objectives. The United States has employed many methods of economic sanctions, such as imposing import and export limitations, withholding foreign aid and investment, seizing foreign assets, and forbidding its nationals from doing economic transactions with sanctioned individuals and companies. Financial sanctions encompass a range of measures that particularly limit the movement of funds and other forms of asset value to countries, companies, and individuals subject to sanctions. These measures have a wide-reaching impact as they can freeze assets, prohibi t or restrict financial transactions, and even disrupt the settlement of import and export activities. 

The utilization of economic sanctions as a geopolitical instrument has a lengthy historical background, but, the current impact and efficacy of U.S. sanctions are unparalleled. Although countries other than the United States have the authority to enforce tariffs, import and export controls, and other non-tariff barriers, they lack the ability to independently limit access to the global financial system, unlike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e secondary sanctions imposed by the United States, which limit dollar transactions, enables the United States to exert its influence on a worldwide scale through work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economic restrictions, such as export controls.

Amidst the escalating strategic rivalr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United States is broadening both the extent and substance of its financial sanctions. In the ongoing competition for technological supremac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United States can leverage its influence in the financial sector to impede China’s access to the necessary resources for the advancement of its own high-tech sectors. Furthermore, the United States has the ability to intervene in transactions occurring within the supply chain of high-tech enterprises that utilize U.S. currency, in addition to imposing restrictions on domestic U.S. companies selling components to China. 

Chapter 2 explores the legal foundation, governance, and enforcement procedures of U.S. financial sanctions imposed on China. It also provides an account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possibilities of U.S. financial sanctions against China. It concludes that U.S. financial sanctions are based on a legal foundation and are implemented through a coordinated process among Congress, the President, and key executive branch agencies. While the United States has a long history of using financial transaction sanctions to addres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norms, it has recently adopted financial sanctions to block the flow of funds, including equity investments in certain Chinese companies, in response to China’s technological rise and national security threats.

Chapter 3 examines China’s response. In China, finance is an important industry that supports economic growth and is still one of the fastest-growing industries in the country. Chinese companies also rely on the U.S.’s advanced financial system to finance their businesses and invest abroad. However, with the U.S. utilizing sanctions as one of its tools, China has been forced to respond and prepare for external shocks to its financial industry. Chapter 3 analyzes China’s response to the recent U.S. financial sanctions, categorized into short-, medium-, and long-term strategies. It analyzes China’s short-term responses to U.S. financial sanctions in terms of its position statements and the adoption and applic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in response to foreign sanctions; its medium-term responses in terms of standardizing overseas listings and diversifying financing sources; and its countermeasures against U.S. financial sanctions in terms of developing the renminbi international payment system and expanding capital market capacity. 

Chapter 4 examines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a protracted period of significant financial de-globalization caused by financial sanc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this context, “substantial” refers to a decline in local investments abroad and foreign investments within the country. We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a country’s gradual shift from an open to a closed economy, where foreign capital inflows are replaced by domestic investments. Our research indicates that a reduction in trade openness has a detrimental effect on economic growth, whereas the influence of financial opennes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evertheless, if there is a rise in fragmentation within the global economy, leading to limitations on capital investment in China to specific nations, namely an increase in financial concentration, it would adversely affect economic growth.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urrent level of financial interconec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order to assess the immediate expenses associated with an escalation of hostilities and the severance of their financial systems.

Even if the introduction of financial sanc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reduces financial globalization in a de jure sense, it is difficult to say with certainty that it will reduce outward investment globally or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a de facto sense. However, it is possible that competition in the financial sector between the U.S. and China could reach new extremes. In response to Russia’s invasion of Ukraine in 2022,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 took measures such as freezing the Russian Central Bank’s foreign exchange reserves and excluding major financial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from SWIFT. Under extreme conditions, such as a Chinese invasion of Taiwan, it is conceivable that the U.S. could impose such measures on China, and that China would be forced to dramatically reduce its reliance on the dollar payment system, even at the cost of significant short-term losses, and stick to the RMB international payment system.

However, it is unlikely that the U.S. would want to see China accelerat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RMB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RMB necessitates consensus among nations, rather than solely China’s endeavors. Consequently, a scenario of intense confrontation or competition in the financial secto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s unlikely to occur. The United States is likely to choose a course of action that involves strengthening regulations on financial transactions involving specific high-tech or strategic goods. In this scenario, our government will need to devise strategies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n our industries, while our companies will need to take measures to avoid being subjected to sanctions by improving their own complianc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내용
 
제2장 미국의 대중 금융제재
1. 미국의 대중 금융제재 정책(구조 및 근거법)
2. 미국의 대중국 금융제재(현황 및 전망)  
3. 종합 평가
제3장 중국의 대응과 금융 분야 역량 분석
1. 미국의 금융제재에 대한 중국의 입장
2. 외국의 제재에 대한 대응 법규 도입 및 적용
3. 기업의 해외상장 규범화  
4. 위안화 국제결제 시스템 개발  
5. 자본시장 역량 확대

제4장 미ㆍ중 간 금융 패권 경쟁의 함의와 영향 분석
1. 선행연구
2. 사례 연구: 2014년 러시아
3. 실증분석
4. 미ㆍ중 간 상호 금융 연계  
5. 소결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1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글로벌 영향력 강화 전략 평가와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단행본 미중갈등과 경제안보: 닉슨-저우언라이 회담록을 통한 교훈 2024-07-30 연구보고서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확대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우리나라 외환부문 선진화 방향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2024-03-27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연구보고서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정책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및 시사점 2023-12-26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안보: 주요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한국의 경제안보전략 2023-09-13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자료 국제분쟁과 경제적 상호의존성: 경제안보에 대한 시사점 2023-04-28 연구보고서 팬데믹과 전쟁 이후 국제경제질서 변화와 대응 2022-12-3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