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156/287

  • The Next APEC Membership from Latin America: A Contextual Approach
    The Next APEC Membership from Latin America: A Contextual Approach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들에게 있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역동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동아시아 경제는 아직도 개척이 덜 된 시장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의 부상으로 대표되는 아태지역의 수요증가는 중남미국가들에게 원자재, 중간재, 서비..

    김원호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 Issue of the Admission of New Members

    III. The Asia-Pacific, Latin America, and APEC

    IV. Colombia and the Asia-Pacific Region

    V. Differentiation of Economic Spectrum in South America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들에게 있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역동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동아시아 경제는 아직도 개척이 덜 된 시장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의 부상으로 대표되는 아태지역의 수요증가는 중남미국가들에게 원자재, 중간재, 서비스 부문등 전례없는 생산과 수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중남미 국가들은 전통적인 유럽 및 미국시장 편중으로부터 벗어나 아태지역으로의 무역구조 다변화를 지향하고 있다. 현재 APEC에는 멕시코, 칠레, 페루 등 3개국 만이 가입되어 있다. 2010년으로 모라토리움이 연장된 신규가입 건과 관련, 중남미 국가중 콜롬비아는 그간 실무그룹 참여 등 적극적인 추가가입 노력을 펴왔으며 알바로 우리베 대통령은 2008년 APEC 회의에 유일한 비회원국 정상으로 초청받아 이 기회를 활용해 캐나다와 FTA, 중국과는 BIT에 서명하였다. 콜롬비아의 아태지역과의 무역투자 규모는 최근 비약적으로 늘고는 있으나 아직 미미한 편이다. 그러나 중남미 지역의 일부 주도국들이 글로벌화에 역행하는 경제정책 노선을 택하는 기류 속에서도 우리베 정부는 지역통합과 개방경제라는 APEC의 두 대의명분에 합치되는 노력을 펴왔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국내적 개혁을 이끌 수 있도록 모멘텀을 제공하기 위한 방편으로도 콜롬비아의 APEC 가입을 받아들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콜롬비아 뿐만 아니라 중남미지역의 다른 나라들에게도 정치적 및 경제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 the APEC: Another Common Denominator 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 the APEC: Another Common Denominator or..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APEC에서 협상의제가 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만약 CSR이 협상의제가 된다면, 이는 모든 APEC 회원국에게 기업활동을 규제하는 또 다른 공동의 규제를 부과하게 될 것이다. 만약 협상의제가 되지 않..

    최병일 발간일 2008.12.30

    경제협력, 기업경영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Current Literature on CSR

    III. Current State of Play of CSR in the APEC

    IV. International Framework on CSR
    A. The ILO Tripartite Declaration of Principles Concerning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Social Policy
    B. The OECD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C. The UN Global Compact
    D. ILO Core Labor Standards
    E. ISO 26000

    V. A Way Forward to CSR at the APEC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APEC에서 협상의제가 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만약 CSR이 협상의제가 된다면, 이는 모든 APEC 회원국에게 기업활동을 규제하는 또 다른 공동의 규제를 부과하게 될 것이다. 만약 협상의제가 되지 않는다면, 회원국은 그러한 부담에서 자유로워질 것이다. 본 논문은 CSR이 APEC에서 의제가 되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다른 포럼들 및 APEC과의 관계에 따라 발전된 몇몇 국제적 CSR 규범들에 대해 논의한다. APEC 회원국들이 가진 위장된 협상의제에 대한 민감성, 그리고 대부분 국제적 CSR 규범들이 자발적인 성격을 갖추고 있음을 고려할 때, APEC에서 CSR을 거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원적 접근법을 택하는 것이다. 첫째, APEC은 자발성에 바탕을 두고 APEC CSR 규범을 발전시킨다는 중기적 목표를 세워야 할 것이다. 둘째, APEC은 CSR의 모범적 시행과 보급, 고취, 공적 약속 및 네트워킹이 무엇인지 정의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CSR 역량 증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Free Trade Agreements in the APEC Region: An Evolutionary Path to Bogor Goals
    Free Trade Agreements in the APEC Region: An Evolutionary Path to Bogor Goals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오랫동안 다자주의 체제의 신봉자로서 GATT/WTO 체제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해 왔으나, 1990년대 말부터는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정책을 병행하여 추구하는 새로운 대외경제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APEC 회원..

    박성훈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Analysis of FTA Initiatives of APEC Member Economies 1. General Tendency towards Regionalism in the Region 2. FTA Activities with Other APEC Member Economies 3. FTA Activities with non-APEC Countries III. Increasing FTA Activities of APEC Member Economies and Bogor Goals 1. Potential of Increasing FTAs to be Stumbling Block to the Bogor Goals 2. Potential of Increasing FTA Activities to be Building Block to the Bogor Goals IV. APEC's Response to Increasing FTA Activities of Member Economies: An Evaluation 1. Rethinking the Instruments to Achieve the Bogor Goals 2. Approaches Addressing the Problem of Increasing FTA Activities 3. Evaluation of APEC Activities and Prospects V. Roadmap towards Achieving the Bogor Goals through intra-APEC FTAs 1. A Possible Roadmap of APEC towards the Bogor Goals 2. Challenges for Each Step of the Roadmap VI. Conclusion
    국문요약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오랫동안 다자주의 체제의 신봉자로서 GATT/WTO 체제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해 왔으나, 1990년대 말부터는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정책을 병행하여 추구하는 새로운 대외경제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APEC 회원국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역주의 전략을 주도면밀히 분석한 후 APEC 차원에서 보고르목표에 더 가까이 접근하기 위해 이러한 지역주의화 경향을 여하히 활용할 수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생략)
  • 금융개방의 경제적 효과와 과제
    금융개방의 경제적 효과와 과제

    본 연구에서는 금융개방 확대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금융개방이 투자에 미친 영향, 국내은행에 대한 외국계 소유지분의 증가에 따른 은행성과의 변화, 외국인 주식소유지분 변화에 따른 국내 기업의 성과 변화, 금융개..

    윤덕룡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방, 금융자유화
    원문보기
    목차
    서 언

    국문요약

    01 서 론

    02 한국의 자본자유화 및 금융시장 개방
    1. 금융개방의 의미
    2. 한국의 외환제도 변천
    가. 1960년대 이전
    나. 1960년대
    다. 1970년대
    라. 1980년대
    마. 1990년대
    3. 한국의 외환자유화
    가. 외환위기 이전
    나. 외환위기 이후
    다.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적극적 외환자유화
    4. 금융시장의 개방
    가. 금융시장의 대외 개방 현황
    나. 은행부문의 개방
    다. 증권부문의 개방
    라. 보험부문의 개방
    마. 투자신탁업 부문의 개방
    5. 요약 및 정책시사점

    03 금융개방과 투자
    1. 기존연구
    2. 실증분석: 한국의 사례
    가. 실증분석 모형
    나. 실증분석 결과
    3. 요약 및 정책시사점

    04 금융개방과 은행산업의 성과
    1. 문제의 제기
    2. 외국인의 국내은행 소유지분확대 현황
    3. 기존연구
    4. 성과지표 비교분석
    5. 실증분석 모형 및 결과
    가. 실증분석 모형
    나. 실증분석 결과
    다. 외국인 경영권이 국내 은행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
    6. 요약 및 정책시사점

    05 금융개방과 기업경영성과
    1. 외국인 주식투자의 경제적 효과 논쟁
    2. 기업경영성과와 외국인투자지분 추이
    가. 기업의 자본구조와 경영성과
    나. 외국인투자지분과 배당성향 추이
    3. 실증분석 모형
    가. 외국인투자와 기업의 재무구조
    나. 외국인투자와 기업의 투자 및 배당성향
    4. 실증분석 결과
    가. 자료 및 변수추이
    나. 부채비율 및 금융기관차입비율 분석
    다. 투자 및 배당성향 분석
    라. 추가적 분석
    5. 요약 및 정책시사점

    06 금융개방과 금융위기
    1. 분석 과제
    2. 금융위기의 이론 모형과 사례
    가. 모형
    나. 금융위기 사례
    3. 자본거래와 외환위기
    가. 자본자유화와 자본유출입
    나. 자본자유화와 외환위기
    4. 정책시사점
    가. 금융위기와 국내 정책 대응 방안
    나. 금융위기와 국제적 공조

    07 금융개방과 금융규제·감독
    1. 문제의 제기
    2. 금융규제·감독체제의 개선
    가. 필요성
    나. 정책과제
    3. 건전성 규제의 유효성 확립
    가. 필요성
    나. 정책과제
    4. 적절한 파생금융상품규제
    가. 필요성
    나. 정책과제
    5. 자본통제
    가. 의의
    나. 외국의 경험
    다. 한국의 경험과 정책방향
    6. 요약 및 정책시사점

    08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본 연구에서는 금융개방 확대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금융개방이 투자에 미친 영향, 국내은행에 대한 외국계 소유지분의 증가에 따른 은행성과의 변화, 외국인 주식소유지분 변화에 따른 국내 기업의 성과 변화, 금융개방과 외환위기간의 관계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금융개방 확대에 따른 금융규제·감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심도 깊게 논의하였으며, 향후 금융개방 정책의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였다.
  • Destined to Fail? The History of the Yen Bloc Before the Second World War
    Destined to Fail? The History of the Yen Bloc Before the Second World War

    엔(yen) 블록의 형성은 동아시아 경제 및 금융 통합을 주도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동아시아의 경제 분열을 야기하였다. 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은 일본보다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더 나아가, 일본에서 지리적으로 더 멀리 위치한 아시아 국가..

    문우식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금융통합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 Formation of Yen Bloc
    1. First Step
    2. Manchuria and China
    3. Currency War between China and Japan

    III. Yen Bloc under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1. Establishment of the Great East Asia Financial Sphere
    2. Features of Great East Asia Financial Sphere

    IV. Consequences of the Yen Bloc: Increasing Divergence
    1. Inflation Gap
    2. Growth Gap

    V.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엔(yen) 블록의 형성은 동아시아 경제 및 금융 통합을 주도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동아시아의 경제 분열을 야기하였다. 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은 일본보다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더 나아가, 일본에서 지리적으로 더 멀리 위치한 아시아 국가들일수록 각국의 중앙은행은 화폐를 더 발행해야 했고,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또한 일본과 타 아시아 국가들의 소득 격차는 날로 커져만 갔다. 이는 일본 엔(yen)을 중심으로 한 지역화(regionalization)가 실패를 피할 수 없었음을 의미하며, 공영 지역(Co-prosperity Area)은 지역 우세(regional dominance)의 전략으로만 그쳤을 뿐, 지역 협력으로서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엔 블록의 실패는 아직까지도 동아시아 국가들에 악영향을 미칠 만큼 그 타격이 매우 컸으며, 일본에 대한 불신을 불러왔고 현재 동아시아의 화폐 및 금융 협력 움직임을 방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험을 토대로 선도국가들은 지역 화폐 시스템의 유지를 위하여 지역 단결에 대한 더 책임 있는 행동을 보여야 한다.
  • Financial Integration and Exchange Rate Coordination in East Asia
    Financial Integration and Exchange Rate Coordination in East Asia

    본 연구는 한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의 단일 외환시장 개입(unilateral exchange market intervention)의 비용을 살펴보고 동아시아의 화폐 및 환율 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한국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동아시아 각 국가들은 환율..

    이영섭 외 발간일 2008.12.30

    금융정책, 금융통합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Increasing Financial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III. Intervention Cost: the case of Korea
    1. Increasing Interest Arbitrage
    2. Intervention and Sterilization Cost

    IV. Proposal for Monetary Cooperation in East Asia

    V. Conclusion

    References

    Annex
    국문요약
    본 연구는 한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의 단일 외환시장 개입(unilateral exchange market intervention)의 비용을 살펴보고 동아시아의 화폐 및 환율 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한국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동아시아 각 국가들은 환율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조절하고자 하여도 외환시장 개입은 큰 손해를 불러와 기대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이와 같은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내 환율 안정을 위해 모든 아시아 국가들이 동시에 환율을 미국 달러와 맞추어 변동시키는 단체적 대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단체적 대응의 전제조건은 아직까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경제 및 금융 정책의 조화와 경제 수렴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더욱 더 활발한 정책 대화들을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
  • 20세기 유럽경제사
    20세기 유럽경제사

    이 책은 미국 UCLA 사학과 경제사 담당 교수인 이반 버렌드(Ivan T. Berend)의 An Economic History of Twentieth-century Europe: Economic Regimes from Laissez-faire to Globalization(2006,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을 완역한 것..

    이반 버렌드 지음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발전
    원문보기
    목차
    01 유럽의 자유방임주의 체제가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 미친 영향
    1. 영국의 부흥과 자유방임주의 체제
    2. 제1차 세계대전
    3. 세계 속 유럽의 위상
    4. 유럽 내 격차 확대
    5. 스칸디나비아제국의 따라잡기 시작
    6. 뒤처진 남유럽과 동유럽의 주변부 국가들
    7. 세계화된 자유방임주의의 도전

    02 자유방임주의의 후퇴와 규제시장제도의 등장
    1. 전환점 - 1914~18년의 전시경제,전후혼란, 자유방임주의의 고민
    2. '정상' 복귀 시도의 실패
    3. 자유방임주의의 소멸과 대공황기의 극단적인 국가 규제
    4. 규제시장 이론
    5. 전시경제, 1939~45년
    6. 규제시장경제의 충격 - 유럽의 경제적 성과
    7. 유럽의 역할 약화

    03 권위주의 파시스트 정권의 통제경제정책
    1. 통제경제정책의 원인과 성격
    2. 국가의 기능과 정책과제
    3. 자급자족, 계획, 대중영합적인 복지제도
    4. 지시된 지역경제통합
    5. 경제적 성과

    04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체제
    1. 마르크스의 이론적 유산, 레닌과 볼셰비키의 계획
    2. 강요된 공업화와 중앙집권적 계획 - '일국사회주의'
    3. 고립된 소비에트 체제에서 소비에트 블록으로
    4.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체제의 성격
    5. 산업 보호와 정권 정당화 시도
    6. 계획경제 체제하의 지역통합 시스템
    7.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의 목표와 대차대조표
    8. 급속한 성장과 공업화 - 재생산된 후진성
    9. 실패한 개혁 시도
    10. 위기와 붕괴

    05 제2차 세계대전 후 통합된 서유럽의 혼합경제와 복지국가
    1. 전후 국제 규제
    2. 경제통합과 유럽연합의 등장
    3. 사회적 연대의 출현과 혼합경제
    4. 혼합경제에서의 계획
    5. 복지국가의 등장
    6. 교육혁명
    7. 경제성장과 구조변화

    06 세계화 - 자유방임주의로의 회귀?
    1. 세계화와 그 특징적 양상
    2. 자유방임주의 사상 및 체제의 세계화
    3. 세계화가 유럽에 미친 영향
    4. 혼합경제와 복지국가의 도전
    5. 세계화와 불평등
    6. 환경에 대한 고려와 규제의 증가
    7. 유럽 - 떠오르는 경제적 초강대국
    국문요약
    이 책은 미국 UCLA 사학과 경제사 담당 교수인 이반 버렌드(Ivan T. Berend)의 An Economic History of Twentieth-century Europe: Economic Regimes from Laissez-faire to Globalization(2006,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을 완역한 것이다.『위기의 시대』(Decades of Crisis, 1998)와『탈선한 역사』(History Derailed, 2003)의 저자이기도 한 버렌드는 이 책을 통해 20세기 유럽경제의 연대기적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헝가리 출신 미국 대학 교수이자 유럽경제사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 20여 년간에 걸친 유럽경제사 연구를 총정리한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생략)
  • 우리나라 대외원조 역량의 현황과 과제
    우리나라 대외원조 역량의 현황과 과제

    최근 들어 대외원조정책의 중요성이 정책담당자들은 물론 국민들 사이에서도 널리 인식되고 있다. 대외원조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담당해야 할 책임이면서, 다른 한편으로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한 정책수단이기도 하다. 원조를..

    박복영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발,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원조효과성에 관한 기존논의
    가. 국제사회의 논의동향
    나. 이론적 논의
    3. 연구의 의의와 주요 내용

    제2장 원조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1. 원조역량과 원조효과
    2. 원조역량의 주요 내용
    가. 원조 이념과 목적의 일관성과 현대성
    나. 원조공여체제의 확립과 효율성
    다. 원조의 예측가능성
    라. 개발사업의 발굴-선정 역량
    마. 사전 타당성조사 역량
    바. 개발사업의 집행점검과 감독
    사. 사후 평가
    아. 조직과 인력 역량
    자. 원조 인프라 환경
    3. 원조역량의 구성요소
    가. 구성요소의 체계화
    나. 기존자료 검토
    4. 원조역량의 분석틀: 구성요소와 평가항목

    제3장 우리나라 유상원조 실행역량
    1. 정책역량
    가. 법제도 환경
    나. 정책결정
    다. 재원배분
    라. 원조재원
    마. 국제관계
    2. 실행역량
    가. 단계별 역량
    나. 상시 역량

    제4장 우리나라 무상원조 실행역량
    1. 전략수립역량
    가. 수원국 선정
    나. 원조분야의 선정
    다. 국별중장기원조전략 및 협력
    2. 프로젝트 수행 역량
    가. 프로젝트 발굴 및 사전평가
    나. 프로젝트 수행 및 관리
    3. 사후평가
    가. 평가체계성
    나. 평가의 다양성
    다. 사후관리
    4. 조직역량
    가. 조직효율성
    나. 조직유연성
    다. 내부조정능력
    5. 인적역량
    가. 적정인력규모
    나. 전문성
    다. 인력개발
    6. 네트워크 역량
    가. 국내네트워크
    나. 국제네트워크
    다. 외부전문가 활용
    제5장 우리나라의 원조인프라 역량
    1. 국민의 이해와 지지
    가. 국민적 지지의 의의
    나. 우리나라 현황
    다. 평가
    2. 컨설턴트 역량
    가. 컨설턴트의 역할
    나. 우리나라 컨설턴트 현황
    다. 평가

    제6장 주요 선진국의 원조역량 사례연구
    1. 캐나다의 원조역량
    가. 정부의 원조정책역량
    나. 실행기관의 원조실행역량
    다. 원조인프라 역량
    라. 시사점
    2. 독일의 원조기관간 협력
    가. 독일원조 개관
    나. 원조담당기관
    다. 원조효율성 제고를 위한 협력‧조정
    라. 시사점
    3. 일본의 컨설턴트 역량
    가. 일본의 개발 컨설턴트의 성장
    나. 일본 개발컨설턴트 현황
    다. 개발 컨설턴트의 다변화 노력

    제7장 평가 및 과제

    참고문헌
    국문요약
    최근 들어 대외원조정책의 중요성이 정책담당자들은 물론 국민들 사이에서도 널리 인식되고 있다. 대외원조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담당해야 할 책임이면서, 다른 한편으로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한 정책수단이기도 하다. 원조를 제공한다는 것은 단순히 저개발국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저개발국의 문제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지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또 그것을 효율적으로 집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각 원조 주체들이 이런 역량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그것을 토대로 개선해야 할 과제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는 우리의 원조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중국 소비시장의 특징과 진출전략
    중국 소비시장의 특징과 진출전략

    중국 소비시장은 가장 잠재력 있는 미래 시장으로 평가된다. 본 보고서는 먼저 중국 소비시장의 잠재력을 살펴보고 중국의 소비시장의 발전을 제약하고 있는 여러 요인들도 검토하였다. 또한 소비의 주체, 경로, 지역 면에서 중국 소비시장이 가진 ..

    지만수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기존연구 검토
    3. 연구의 범위: 내수시장과 소비시장

    제2장 중국 소비시장의 현황과 잠재력
    1. 소비시장의 형성과정: 소비자 혁명
    2. 소비시장의 확대
    3. 소비의 구성
    4. 소비시장의 성숙
    5. 소비시장의 분화
    6. 소비시장의 잠재력

    제3장 중국 소비시장 성장의 제약요인과 소비확대정책
    1. 소비성향의 하락과 그 거시적 귀결
    가. 소비성향의 하락
    나. 소비의 경제성장 기여
    2. 소비확대의 제도적 제약요인
    가. 단위(單位) 체제의 해체
    나. 사회보장제도 개혁
    다. 교육의 시장화
    라. 주택분배의 시장화
    3. 적극적인 소비확대정책의 성과와 과제
    가. 소비확대정책의 내용
    나. 성과와 과제

    제4장 소비시장의 특징
    1. 소비의 주체
    가. 중산층의 규모
    나. 미래의 중산층
    다. 중산층의 소비 행태와 특징
    2. 소비의 경로
    가. 중국의 유통업 발전 현황
    나. 중국의 주요 소매 유통경로
    다. 외국 소매기업 진출 현황
    라. 인터넷 쇼핑
    3. 소비의 지역
    가. 주요 소비도시의 선정과 중국 내 비중
    나. 주요 도시별 소비 특징
    다. 소비 핵심 지역의 거점형 성장

    제5장 주요시장: 특징과 진출 사례
    1. 승용차 시장
    가. 성장의 배경
    나. 승용차 소비시장의 특징
    다. 전망
    2. 가전 시장
    가. 컬러 TV
    나. 세탁기
    다. 냉장고
    라. 에어컨
    마. 소형가전
    3. IT 제품 시장
    가. 휴대폰
    나. PC
    다. 기타 IT 제품
    4. 교육시장
    가. 교육시장 개황
    나. 교육시장의 특징
    다. 교육시장 개방 및 외국기업 진출 현황
    5. 의료시장
    가. 의약품 시장
    나. 의료 서비스(병원)
    다. 전망

    제6장 한국의 진출 현황과 경쟁력 : 수입시장을 중심으로
    1. 중국의 소비재 수입시장
    2. 주요국의 대중 소비재 수출
    3. 한국 : 중간재 중심의 수출 구조
    4. 대중 소비재 수출의 특징 : 특화 vs. 다양화
    가. 소비재 수출 품목의 변화
    나. 특화 vs. 다양화 : 수출비율 분석

    제7장 중국 소비시장 진출전략
    1. 요약
    2. 중국 소비시장 진출의 한계
    3. 중국 소비시장 진출 전략
    가. 투자-시장 연계전략
    나. 중산층의 소비특징 : 서비스 소비
    다. 선택과 집중의 원칙 : 거점별 확대
    라. 내수시장 진출의 실제적 어려움 : 대금회수와 유통
    마. 좋은 제품이 아니라 새로운 컨셉이 중요
    4. 정책적 시사점
    가.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나. 유통-수출 연계 지원
    다. 서비스 시장 진출 지원
    국문요약
    중국 소비시장은 가장 잠재력 있는 미래 시장으로 평가된다. 본 보고서는 먼저 중국 소비시장의 잠재력을 살펴보고 중국의 소비시장의 발전을 제약하고 있는 여러 요인들도 검토하였다. 또한 소비의 주체, 경로, 지역 면에서 중국 소비시장이 가진 특징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자동차, 가전, IT, 교육, 의료 등 주요 상품 및 서비스 시장의 현황도 분석하였다. 중국 소비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는 투자를 통한 현지 경쟁력 확보, 서비스 시장에 대한 공략, 진출지역의 적절한 선택 등이 중요하다. 또한 한중 FTA, 유통-수출의 연계 지원, 서비스 시장 진출 지원 등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
  • APEC 경제협력 주요과제와 우리의 활용방안
    APEC 경제협력 주요과제와 우리의 활용방안

    2008년 11월 페루 리마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의에서 정상들은 역내 지속성장과 공동번영을 위한 아·태경제공동체 창설을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실천적이며 현실적인 정책을 마련하여 APEC이라는 협력의 장을 통하여 이행을 촉진시킬 필요가 ..

    김상겸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혁,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발간사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3. 연구의 구성

    제2장 APEC과 아ㆍ태 경제통합
    1. APEC의 경제통합 활동 및 현황
    가. 아ㆍ태 경제통합을 위한 APEC의 활동
    나. 역내 무역ㆍ투자 추이
    다. 역내 FTAs/RTAs 현황 및 특성
    라. 소규모 경제통합 논의 현황
    2. FTAAP 논의 현황 및 경제적 효과
    가. FTAAP 논의 배경 및 현황
    나. FTAAP 추진 타당성 및 당위성
    다. FTAAP의 경제효과 분석
    3. 추진 과제 및 활용 전략
    가. FTAAP 추진 방안 및 과제
    나. 우리의 활용 전략

    제3장 개도국 지원을 위한 APEC 기능강화 방안
    1. APEC 경제기술협력과 개도국 지원의 연계 필요성
    2. APEC 경제기술협력의 현황과 문제점
    가. 최근 경제기술협력의 중점 방향
    나. 문제점 및 향후 개선방안
    3. APEC 경제기술협력과 대개도국 원조정책의 연계 방안
    가. APEC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과 역내 협력의 현황
    나. APEC 경제기술협력과 한국의 대외원조정책 연계 방안
    4. APEC과 대(對)북한 지원 연계 방안
    가. 한반도 안정을 위한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과 APEC
    나. 남북한 교류협력의 특징과 APEC의 활용 가능성

    제4장 세계금융불안 해소를 위한 APEC의 역할
    1. 글로벌 금융위기와 APEC 경제
    가. 글로벌 금융위기의 확산
    나. APEC 회원국들의 주요 금융지표 추이
    다. APEC 주요국의 금융위기 대처 방안
    2. APEC 금융협력의 현황과 평가
    가. APEC 금융협력의 출발점
    나. APEC 재무장관회의의 협력과제
    다. APEC 금융협력의 평가
    3. APEC 금융협력의 새로운 방향 모색
    가. 금융협력의 개념과 형태
    나. IMF와 EU의 금융·통화 협력 사례
    다. ASEAN+3 금융협력의 사례
    라. APEC 금융협력에 대한 시사점
    4. APEC 금융협력의 추진전략과 활용 방안
    가. APEC 금융협력의 목표와 실천과제
    나. 한국의 활용 방안

    제5장 에너지 및 기후변화 협력
    1. 에너지 및 기후변화 관련 활동
    가. 에너지 및 기후변화 관련 현황
    나. 에너지 및 기후변화 논의 및 협력 방안
    2. 에너지 및 기후변화 협력 방안
    가. 기후변화 관련 APEC과 한국
    나. 공동협력 방안 검토

    제6장 요약 및 정책 시사점
    1. APEC과 아ㆍ태 경제공동체
    가. 아ㆍ태 경제통합 및 FTAAP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 시사점
    나. 2010년 보고르 목표 점검과 우리의 전략
    2. 대(對)개도국 지원을 위한 APEC 기능강화 방안
    가. 대(對)개도국 지원을 위한 APEC 활용 방안
    나. APEC과 대(對)북한 지원의 연계 방안
    3.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과 APEC 금융협력
    가. APEC 금융협력의 과제
    나. APEC 금융협력에 대한 한국의 입장과 전략
    4. APEC과 에너지 및 기후변화 공동협력
    가. APEC과 한국의 협력 방안
    나. 기후변화 대응 협력 방안

    참고문헌

    부 록 에너지실무그룹(EWG)의 협력 현황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2008년 11월 페루 리마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의에서 정상들은 역내 지속성장과 공동번영을 위한 아·태경제공동체 창설을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실천적이며 현실적인 정책을 마련하여 APEC이라는 협력의 장을 통하여 이행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는 데에 공감하였다. 2007년 현재 우리나라의 APEC 국가와의 무역량이 총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1.8%이며, 총 146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흑자가 APEC 회원국 간의 교역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APEC 경제협력의 구도를 어떻게 마련하고 이행으로 옮기는가에 따라 우리에게 파생되는 경제적 효과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APEC 정상회의 의제 가운데 현재 세계경제에 가장 큰 도전으로 다가온금융협력과기후변화이슈와 함께 APEC 지속사업으로 추진 중인지역경제통합 강화와경제협력 사업 강화등 네 가지 핵심과제를 중점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검토와 분석을 통하여 APEC을 활용한 한국의 신성장동력 확보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