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목록으로
본 보고서는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대한 기회와 도전 요인을 파악하며 한국기업의 참여 가능성 및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통계분석, 전문가 면담, 국제회의 참석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과거 전후 재건 사업의 사례연구 및 최근 국제사회의 논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국제사회와 우리나라는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지만, 전황이 여전히 불확실하고 재원조달 방안이나 투자 수익성에 대한 구체적 정보가 부재하여 정부와 기업이 섣불리 참여하기 어렵다. 그러나 전쟁 종식 후 우크라이나 복구를 위해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것은 확실하므로, 현재 전황과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정부의 국제사회 논의 참여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기업의 투자 방향을 정교하게 고안해야 한다.
본 보고서의 제2~4장에서는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이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루었다.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 장에 주제별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과거의 주요 전후 복구 사례를 분석하여 재건 사업 참여의 대원칙과 주의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제2장). 전후 재건은 단순한 시설 복구를 넘어 경제 및 사회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편 기회로 보아야 한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후 마셜플랜, 한국전쟁 이후의 미국 원조, 1990년대 발칸반도 재건 사례를 통해 확인된다. 마셜플랜은 유럽 경제 회복과 시장경제 체제 확립에 기여하였고, 한국의 경우 미국의 원조로 자유주의 체제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발칸반도는 EU가 주도하여 재건을 진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해결 과제가 남아 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사례에서 얻은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원조는 수원국의 정치ㆍ경제 구조 개선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둘째, 수원국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공여국과 수원국 모두에 이익이 되는 지원이 중요하다. 넷째, 국제협력을 통해 재건 수요에 맞는 재원 확보와 국제 질서 구축이 가능하다. 한국이 우크라이나 재건에 참여할 때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시설 복구뿐만 아니라 제도적 개선과 함께 국제사회의 평화유지 노력에도 동참해야 한다.
둘째,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 재건 논의 현황,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비용 및 추진 방향, 거버넌스 및 핵심 사업의 주요 내용을 고찰하였다(제3장). 2022년 2월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이래로, 서방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대해 활발히 논의하고 있다. 서방의 주요국과 국제기구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단순히 전쟁으로 파괴된 시설을 복구하는 차원을 넘어 사회기반시설을 현대화하고 우크라이나를 EU 경제권으로 편입시키는 방향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2022년 7월에 출범한 우크라이나재건회의(URC)를 주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URC 제1차 회의에서 공개된 우크라이나복구계획은 재건 사업의 목표를 우크라이나의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으로 설정하고 대규모 투자 유치, EU 통합, 디지털 및 친환경 기술 적용 등의 구체적 실천 방안을 담았다. 2023년 12월 말 현재 우크라이나의 피해 복구 및 재건 사업 총액은 2023년 우크라이나 명목 GDP의 약 2.8배인 4,860억 달러로 추산되며, 전쟁으로 인한 기반시설 파괴가 지속되면서 복구 비용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본 보고서에서는 핵심 복구 분야로서 에너지, 교통ㆍ운송, 주택건설, 보건 분야를 선정하여 분야별 주요 프로젝트와 추진 방안을 정리하였다.
셋째, 국제기구와 주요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및 재건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한 뒤, 중장기적 측면에서 재원조달의 지속가능성과 민간 부문의 참여 방안을 고찰하였다(제4장 참고). 우크라이나는 전쟁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재정 불안정성이 심화되면서 IMF, 세계은행, EBRD 등의 국제금융기구(IFIs)와 EU, G7(미국, 일본, 영국 등), 폴란드 등의 주요국 및 인접국이 제공하는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공여자 간의 단기 및 중장기 우크라이나 지원 방향과 메커니즘 조율을 위해 2023년 1월에 다자공여자공조플랫폼(MDCP)이 출범하였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안정적인 회복과 재건을 하는 데 국제사회의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자본 유치가 필수적이라는 국제사회의 공통된 인식 반영된 것이다.
전쟁이 격화 상태와 소강 상태를 반복하며 결국 장기화됨에 따라 우크라이나 재건에 필요한 재원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국제사회는 ‘더 나은 재건’이라는 원칙을 토대로 우크라이나의 EU 가입을 고려하여 국가 전반의 시스템 개혁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재건에 필요한 재원은 막대한 규모가 될 것이고, 재원 투입 범위도 중장기적으로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국제사회는 실행 가능한 합법적 범위 내에서 동결된 러시아 자산을 재건 자금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며, 현재 G7 차원에서 러시아 동결자산의 연간 이자수익 활용 방안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또한 민간자금의 원활한 조달을 위해 민관협력(PPP) 강화, 정치적ㆍ상업적 위험에 따른 손실 보상 및 맞춤형 정책 지원 등 실질적 위험 관리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5장에서는 한국기업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현황과 향후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우크라이나 정부와 맺은 EDCF 기본약정과 6대 선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국기업이 참여하는 데 필요한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대표단에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부처뿐만 아니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같은 공기업, 한화솔루션, 현대로템과 같은 민간기업이 고루 참여하여 재건 사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이들의 원활한 재건 사업 참여를 위해 본 보고서는 여섯 가지 지원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는 재건 참여 전략 수립 및 관련 부처 총괄을 위한 국무총리 산하 범부처 지원 기구 구축, 둘째는 사업 전 주기 통합 민관협력(PPP) 프로젝트 개발 지원, 셋째는 에너지, 교통, 주택, 인프라, 산업, 복합 분야의 6대 중점 분야 투자정보 제공, 넷째는 보험 상품 개발, 주요 공여국 기업 컨소시엄 참여, MDCP 활용 등을 통한 투자 위험 완화, 다섯째는 폴란드를 거점으로 삼은 재건 사업 동반 진출, 여섯째는 KSP 사업을 비롯한 우크라이나와의 양자 협력 강화 및 다자간 협력 공동 참여이다.
전쟁은 언젠가는 끝나게 마련이고, 전쟁이 어떤 형태로 끝나든 전후 복구에는 막대한 자원이 투입될 것이 분명하다. 지금 방향을 바로잡고 준비해야 역사적 규모의 전후 재건에 우리나라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전후 재건 과정에 참여한 기업들은 부수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
본 보고서의 제2~4장에서는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이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루었다.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 장에 주제별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과거의 주요 전후 복구 사례를 분석하여 재건 사업 참여의 대원칙과 주의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제2장). 전후 재건은 단순한 시설 복구를 넘어 경제 및 사회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편 기회로 보아야 한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후 마셜플랜, 한국전쟁 이후의 미국 원조, 1990년대 발칸반도 재건 사례를 통해 확인된다. 마셜플랜은 유럽 경제 회복과 시장경제 체제 확립에 기여하였고, 한국의 경우 미국의 원조로 자유주의 체제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발칸반도는 EU가 주도하여 재건을 진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해결 과제가 남아 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사례에서 얻은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원조는 수원국의 정치ㆍ경제 구조 개선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둘째, 수원국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공여국과 수원국 모두에 이익이 되는 지원이 중요하다. 넷째, 국제협력을 통해 재건 수요에 맞는 재원 확보와 국제 질서 구축이 가능하다. 한국이 우크라이나 재건에 참여할 때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시설 복구뿐만 아니라 제도적 개선과 함께 국제사회의 평화유지 노력에도 동참해야 한다.
둘째,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 재건 논의 현황,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비용 및 추진 방향, 거버넌스 및 핵심 사업의 주요 내용을 고찰하였다(제3장). 2022년 2월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이래로, 서방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대해 활발히 논의하고 있다. 서방의 주요국과 국제기구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단순히 전쟁으로 파괴된 시설을 복구하는 차원을 넘어 사회기반시설을 현대화하고 우크라이나를 EU 경제권으로 편입시키는 방향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2022년 7월에 출범한 우크라이나재건회의(URC)를 주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URC 제1차 회의에서 공개된 우크라이나복구계획은 재건 사업의 목표를 우크라이나의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으로 설정하고 대규모 투자 유치, EU 통합, 디지털 및 친환경 기술 적용 등의 구체적 실천 방안을 담았다. 2023년 12월 말 현재 우크라이나의 피해 복구 및 재건 사업 총액은 2023년 우크라이나 명목 GDP의 약 2.8배인 4,860억 달러로 추산되며, 전쟁으로 인한 기반시설 파괴가 지속되면서 복구 비용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본 보고서에서는 핵심 복구 분야로서 에너지, 교통ㆍ운송, 주택건설, 보건 분야를 선정하여 분야별 주요 프로젝트와 추진 방안을 정리하였다.
셋째, 국제기구와 주요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및 재건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한 뒤, 중장기적 측면에서 재원조달의 지속가능성과 민간 부문의 참여 방안을 고찰하였다(제4장 참고). 우크라이나는 전쟁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재정 불안정성이 심화되면서 IMF, 세계은행, EBRD 등의 국제금융기구(IFIs)와 EU, G7(미국, 일본, 영국 등), 폴란드 등의 주요국 및 인접국이 제공하는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공여자 간의 단기 및 중장기 우크라이나 지원 방향과 메커니즘 조율을 위해 2023년 1월에 다자공여자공조플랫폼(MDCP)이 출범하였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안정적인 회복과 재건을 하는 데 국제사회의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자본 유치가 필수적이라는 국제사회의 공통된 인식 반영된 것이다.
전쟁이 격화 상태와 소강 상태를 반복하며 결국 장기화됨에 따라 우크라이나 재건에 필요한 재원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국제사회는 ‘더 나은 재건’이라는 원칙을 토대로 우크라이나의 EU 가입을 고려하여 국가 전반의 시스템 개혁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재건에 필요한 재원은 막대한 규모가 될 것이고, 재원 투입 범위도 중장기적으로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국제사회는 실행 가능한 합법적 범위 내에서 동결된 러시아 자산을 재건 자금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며, 현재 G7 차원에서 러시아 동결자산의 연간 이자수익 활용 방안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또한 민간자금의 원활한 조달을 위해 민관협력(PPP) 강화, 정치적ㆍ상업적 위험에 따른 손실 보상 및 맞춤형 정책 지원 등 실질적 위험 관리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5장에서는 한국기업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현황과 향후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우크라이나 정부와 맺은 EDCF 기본약정과 6대 선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국기업이 참여하는 데 필요한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대표단에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부처뿐만 아니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같은 공기업, 한화솔루션, 현대로템과 같은 민간기업이 고루 참여하여 재건 사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이들의 원활한 재건 사업 참여를 위해 본 보고서는 여섯 가지 지원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는 재건 참여 전략 수립 및 관련 부처 총괄을 위한 국무총리 산하 범부처 지원 기구 구축, 둘째는 사업 전 주기 통합 민관협력(PPP) 프로젝트 개발 지원, 셋째는 에너지, 교통, 주택, 인프라, 산업, 복합 분야의 6대 중점 분야 투자정보 제공, 넷째는 보험 상품 개발, 주요 공여국 기업 컨소시엄 참여, MDCP 활용 등을 통한 투자 위험 완화, 다섯째는 폴란드를 거점으로 삼은 재건 사업 동반 진출, 여섯째는 KSP 사업을 비롯한 우크라이나와의 양자 협력 강화 및 다자간 협력 공동 참여이다.
전쟁은 언젠가는 끝나게 마련이고, 전쟁이 어떤 형태로 끝나든 전후 복구에는 막대한 자원이 투입될 것이 분명하다. 지금 방향을 바로잡고 준비해야 역사적 규모의 전후 재건에 우리나라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전후 재건 과정에 참여한 기업들은 부수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
This report identifie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present in post-war reconstruction programs of Ukraine,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articipation of Korean companies. The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past post-war reconstruction cases and recent international community discussion trends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on the subject, statistical analysis, expert interviews, and attendance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While there is great interest in post-war recovery in Ukraine throughou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Korea, it is difficult for governments and businesses to expand their participation due to the continuing uncertainty surrounding war conditions, and the lack of specific information on funding methods or investment profitability. As large-scale investments will certainly be made for Ukraine’s recovery after the end of the war,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design the government’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community discussions and the direction of corporate investment, considering the current war situation and overall conditions.
Chapters 2–4 of this report conducted research on three major topic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businesses in Ukraine’s post-war reconstruction programs.
In Chapter 2 we conduct an analysis of major past post-war recovery cases to present the main principles and precautions for participating in reconstruction projects. More than simple restoration of destroyed infrastructure, post-war reconstruction should be seen as an opportunity for a comprehensive overhaul of economic and social systems. This was evidently observed in cases such as the Marshall Plan after World War II, U.S. ai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West Balkans in the 1990s. The Marshall Plan contributed to European economic recovery and the establishment of a market economy system, while in Korea’s case, U.S. aid laid the foundation for a liberal system. The Balkans are still undergoing reconstruction with EU-centered support, but challenges remain. Lessons learned from these cases are as follows: First, economic aid is effective when linked to improvements in the recipient country’s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Second, support tailored to the recipient country’s situation is necessary. Third, support that benefits both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is important. Fourth, international cooperation enables the mobilization of funds to meet reconstruction needs and build international order. Korea’s participation in Ukraine’s reconstruction should also consider these points and participate not only in facility restoration but also in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international peacekeeping efforts.
Chapter 3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community discussions on Ukraine’s reconstruction, the costs and direction of Ukraine’s reconstruction projects, governance, and key contents of core projects. Since the outbreak of the Russia-Ukraine war in February 2022, discussions on Ukraine’s re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active in the West. Major Wester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tend to modernize social infrastructure and integrate Ukraine into the EU economy. This will be enabled through attracting large-scale investments, EU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and net-zero technologies, which are the main topics discussed in a series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Ukraine’s recovery. As of the end of December 2023, the total amount of damages sustained by Ukraine and its needs are estimated at $486 billion, about 2.8 times Ukraine’s nominal GDP in 2023. The reconstruction costs are expected to increase as infrastructure continues to be destructed due to the war. Energy, transportation, housing construction, and health are the key areas that should be most urgently recovered. We summarized major project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each area at the end of this chapter.
In Chapter 4, we examine the magnitude of support toward Ukraine’s reconstruction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jor countries, and discussed how to mobilize public and private funding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risk management. As Ukraine’s fiscal instability deepens due to uncertainties from the prolonged war, it heavily depends on support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IMF, World Bank, EBRD, and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EU, G7, and Poland. To this end, the Multi-agency Donor Coordination Platform (MDCP) was launched in January 2023 to coordinate short- and mid- to long-term Ukraine support directions and mechanisms among various donors. This reflect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ommon understanding that international support alone is clearly limited for Ukraine’s stable recovery and reconstruction, and that attracting private capital is essential.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w discusses ways to utilize frozen Russian sovereign assets as reconstruction funds within legally possible limits, and an agreement has been reached at the G7 level on how to use the annual interest income from frozen Russian assets. In addition, discussions on practical risk management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compensation for losses due to political and commercial risks, and customized policy support are deepening to activate private fund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hapter 5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in Ukraine’s reconstruction projects and future support measures. Korea is paving the way for its companies to participate based on the EDCF basic agreement with the Ukrainian government and six leading projects. The One Team Korea Ukraine Reconstruction Cooperation Delegation includes not only government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but also public enterprises such as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Korea Overseas Infrastructure &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KIND), as well as some private companies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reconstruction projects. To facilitate their smooth participation in reconstruction projects, this report proposes six support measures: first, establishing a pan-ministerial support organization under the Prime Minister for formulating reconstruction participation strategies and overseeing related ministries; second,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projects throughout the project lifecycle; third, providing investment information in six key areas: energy, transportation, housing, infrastructure, industry, and complex fields; fourth, mitigating investment risk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surance products, participation in consortiums with major donor country companies, and utilization of MDCP; fifth, joint entry into reconstruction projects using Poland as a base; and sixth, strengthening bilateral cooperation with Ukraine, including KSP projects, and joint participation in multilateral cooperation.
The war will end someday, and regardless of how it ends, massive resources will certainly be poured into post-war recovery. Korea needs to set the right direction and prepare now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is historic post-war reconstruction. The economic benefits gained by participating companies will be given as a bonus.
Chapters 2–4 of this report conducted research on three major topic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businesses in Ukraine’s post-war reconstruction programs.
In Chapter 2 we conduct an analysis of major past post-war recovery cases to present the main principles and precautions for participating in reconstruction projects. More than simple restoration of destroyed infrastructure, post-war reconstruction should be seen as an opportunity for a comprehensive overhaul of economic and social systems. This was evidently observed in cases such as the Marshall Plan after World War II, U.S. ai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West Balkans in the 1990s. The Marshall Plan contributed to European economic recovery and the establishment of a market economy system, while in Korea’s case, U.S. aid laid the foundation for a liberal system. The Balkans are still undergoing reconstruction with EU-centered support, but challenges remain. Lessons learned from these cases are as follows: First, economic aid is effective when linked to improvements in the recipient country’s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Second, support tailored to the recipient country’s situation is necessary. Third, support that benefits both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is important. Fourth, international cooperation enables the mobilization of funds to meet reconstruction needs and build international order. Korea’s participation in Ukraine’s reconstruction should also consider these points and participate not only in facility restoration but also in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international peacekeeping efforts.
Chapter 3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community discussions on Ukraine’s reconstruction, the costs and direction of Ukraine’s reconstruction projects, governance, and key contents of core projects. Since the outbreak of the Russia-Ukraine war in February 2022, discussions on Ukraine’s re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active in the West. Major Wester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tend to modernize social infrastructure and integrate Ukraine into the EU economy. This will be enabled through attracting large-scale investments, EU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and net-zero technologies, which are the main topics discussed in a series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Ukraine’s recovery. As of the end of December 2023, the total amount of damages sustained by Ukraine and its needs are estimated at $486 billion, about 2.8 times Ukraine’s nominal GDP in 2023. The reconstruction costs are expected to increase as infrastructure continues to be destructed due to the war. Energy, transportation, housing construction, and health are the key areas that should be most urgently recovered. We summarized major project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each area at the end of this chapter.
In Chapter 4, we examine the magnitude of support toward Ukraine’s reconstruction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jor countries, and discussed how to mobilize public and private funding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risk management. As Ukraine’s fiscal instability deepens due to uncertainties from the prolonged war, it heavily depends on support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IMF, World Bank, EBRD, and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EU, G7, and Poland. To this end, the Multi-agency Donor Coordination Platform (MDCP) was launched in January 2023 to coordinate short- and mid- to long-term Ukraine support directions and mechanisms among various donors. This reflect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ommon understanding that international support alone is clearly limited for Ukraine’s stable recovery and reconstruction, and that attracting private capital is essential.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w discusses ways to utilize frozen Russian sovereign assets as reconstruction funds within legally possible limits, and an agreement has been reached at the G7 level on how to use the annual interest income from frozen Russian assets. In addition, discussions on practical risk management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compensation for losses due to political and commercial risks, and customized policy support are deepening to activate private fund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hapter 5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in Ukraine’s reconstruction projects and future support measures. Korea is paving the way for its companies to participate based on the EDCF basic agreement with the Ukrainian government and six leading projects. The One Team Korea Ukraine Reconstruction Cooperation Delegation includes not only government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but also public enterprises such as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Korea Overseas Infrastructure &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KIND), as well as some private companies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reconstruction projects. To facilitate their smooth participation in reconstruction projects, this report proposes six support measures: first, establishing a pan-ministerial support organization under the Prime Minister for formulating reconstruction participation strategies and overseeing related ministries; second,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projects throughout the project lifecycle; third, providing investment information in six key areas: energy, transportation, housing, infrastructure, industry, and complex fields; fourth, mitigating investment risk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surance products, participation in consortiums with major donor country companies, and utilization of MDCP; fifth, joint entry into reconstruction projects using Poland as a base; and sixth, strengthening bilateral cooperation with Ukraine, including KSP projects, and joint participation in multilateral cooperation.
The war will end someday, and regardless of how it ends, massive resources will certainly be poured into post-war recovery. Korea needs to set the right direction and prepare now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is historic post-war reconstruction. The economic benefits gained by participating companies will be given as a bonu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의 구성
제2장 과거 전후 재건 사업 사례연구
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건 사업
2. 한국전쟁 이후 재건 사업
3. 발칸반도 분쟁 이후 재건 사업
4. 소결: 전후 재건의 역사적 사례가 주는 교훈
제3장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 재건 논의 동향
1.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 재건 논의 개황
2.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개요
3. 핵심 분야별 주요 사업의 내용 및 특징
제4장 국제기구 및 주요국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지원 방안
1. 국제기구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추진 현황
2. 주요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현황
3. 재원조달 및 민간 부문 참여 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연구 내용 요약
2. 한국기업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지원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의 구성
제2장 과거 전후 재건 사업 사례연구
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건 사업
2. 한국전쟁 이후 재건 사업
3. 발칸반도 분쟁 이후 재건 사업
4. 소결: 전후 재건의 역사적 사례가 주는 교훈
제3장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 재건 논의 동향
1.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 재건 논의 개황
2.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개요
3. 핵심 분야별 주요 사업의 내용 및 특징
제4장 국제기구 및 주요국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지원 방안
1. 국제기구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추진 현황
2. 주요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현황
3. 재원조달 및 민간 부문 참여 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연구 내용 요약
2. 한국기업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지원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65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Assessing Vietnam’s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 Comprehensive Review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보조금 정책 개혁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벨라루스 디지털 경제 발전과 한·벨라루스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2021-12-24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 IT 산업 발전과 한-러 협력: 러시아의 경제 구조 전환을 중심으로
2020-12-30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Policy Analysis
The Income-led Growth in Korea: Statu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Countries
2020-10-08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연구보고서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 협력의 비전: 분야별 협력과제와 실현방안
2020-11-30
전략지역심층연구
체제전환국의 민간기업 및 기업가 육성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연구: 러시아,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2020-08-31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