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목록으로
본 보고서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의 경제적 영향을 알아본다. 이를 위해 수출통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반도체 산업 공급망을 분석하며 중국의 상대적 경쟁력을 파악한 뒤, 수출통제가 반도체 제조장비 및 첨단 컴퓨팅 반도체(AI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2장은 오바마에서 트럼프, 바이든 행정부에 이르기까지 점차 그 강도와 범위가 커지고 있는 반도체 수출통제 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러 행정부를 거치면서 반도체 수출통제가 기존 제재를 보완하기 위해 더욱 빈번하게 등장함을 확인했다. 오바마 정부에서 시도했던 수출통제의 경우 미국기업이 중국기업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수출통제를 우회할 수 있었다면, 트럼프와 바이든 정부에서는 이러한 우회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제재를 보완했다. 화웨이나 SMIC 같은 일부 기업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제재는 바이든 정부에서 중국 전역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출통제로 그 범위가 대폭 확대되었다. 또한, 제2장에서는 광범위한 수출통제에 대한 다양한 기업, 협회, 단체의 우려를 확인하고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국가들이 어떤 대응을 하는지도 확인한다.
제3장은 장비ㆍ소재ㆍ파운드리ㆍ메모리 반도체ㆍ반도체 설계에 걸친 반도체 산업 공급망에 대해 살펴보면서 분야별 주요 기업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의 기술 수준에 대해 분석한다. 반도체 제조장비, 메모리 반도체, 반도체 설계 측면에서 수출통제로 인해 개별 기업이 받을 수 있는 영향을 각종 공시 및 기업 발표 자료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하에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거의 모든 분야에서 빠르게 기술을 향상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제4장에서는 수출통제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반도체 제조시설과 AI 반도체(첨단 컴퓨팅 반도체) 영역에 수출통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 결과 반도체 제조시설에 대한 대중국 수출통제는 미국의 반도체 제조장비의 대중국 수출을 일부 차단하게 된다는 점에서 중국의 미국산 반도체 제조장비 수입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미국산 반도체 제조장비의 보완재 성격을 갖는 우리나라의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 역시 감소하였다. 이와 더불어 AI 반도체 수출통제가 고사양 디램 수요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다. 본 보고서는 AI 반도체 수출통제와 관련해 단기적으로는 수요 감소폭이 작을 수 있지만 향후 수출통제의 전개와 AI 반도체 시장 성장에 따라 장기적으로 잠재적인 영향이 클 수 있음을 지적한다.
제5장에서는 반도체 수출통제가 이종집적기술ㆍ차세대 전력반도체 등에 대한 분야로 확대될 가능성과 외국산 반도체 제조장비에까지 통제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전망한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는 반도체 제조장비에 대한 경쟁력 확보와 위험 노출 감소를 위해 대체 생산시설 확보와 팹리스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제2장은 오바마에서 트럼프, 바이든 행정부에 이르기까지 점차 그 강도와 범위가 커지고 있는 반도체 수출통제 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러 행정부를 거치면서 반도체 수출통제가 기존 제재를 보완하기 위해 더욱 빈번하게 등장함을 확인했다. 오바마 정부에서 시도했던 수출통제의 경우 미국기업이 중국기업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수출통제를 우회할 수 있었다면, 트럼프와 바이든 정부에서는 이러한 우회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제재를 보완했다. 화웨이나 SMIC 같은 일부 기업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제재는 바이든 정부에서 중국 전역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출통제로 그 범위가 대폭 확대되었다. 또한, 제2장에서는 광범위한 수출통제에 대한 다양한 기업, 협회, 단체의 우려를 확인하고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국가들이 어떤 대응을 하는지도 확인한다.
제3장은 장비ㆍ소재ㆍ파운드리ㆍ메모리 반도체ㆍ반도체 설계에 걸친 반도체 산업 공급망에 대해 살펴보면서 분야별 주요 기업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의 기술 수준에 대해 분석한다. 반도체 제조장비, 메모리 반도체, 반도체 설계 측면에서 수출통제로 인해 개별 기업이 받을 수 있는 영향을 각종 공시 및 기업 발표 자료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하에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거의 모든 분야에서 빠르게 기술을 향상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제4장에서는 수출통제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반도체 제조시설과 AI 반도체(첨단 컴퓨팅 반도체) 영역에 수출통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 결과 반도체 제조시설에 대한 대중국 수출통제는 미국의 반도체 제조장비의 대중국 수출을 일부 차단하게 된다는 점에서 중국의 미국산 반도체 제조장비 수입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미국산 반도체 제조장비의 보완재 성격을 갖는 우리나라의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 역시 감소하였다. 이와 더불어 AI 반도체 수출통제가 고사양 디램 수요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다. 본 보고서는 AI 반도체 수출통제와 관련해 단기적으로는 수요 감소폭이 작을 수 있지만 향후 수출통제의 전개와 AI 반도체 시장 성장에 따라 장기적으로 잠재적인 영향이 클 수 있음을 지적한다.
제5장에서는 반도체 수출통제가 이종집적기술ㆍ차세대 전력반도체 등에 대한 분야로 확대될 가능성과 외국산 반도체 제조장비에까지 통제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전망한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는 반도체 제조장비에 대한 경쟁력 확보와 위험 노출 감소를 위해 대체 생산시설 확보와 팹리스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report examines the status of U.S.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and estimates their impact. We focus on two major areas of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implemented by the Biden Administration: restrictions on certa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AI chips.
In Chapter 2 reviews the history of U.S.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which progressively became stronger and broader in scope during the Obama, Trump, and Biden administrations. In doing so, we confirmed that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have become more frequent and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anctions. Regarding export controls attempted by the Obama administration, American companies were able to circumvent them by assisting Chinese companies. The Trump and Biden administrations have closed such loopholes by expanding existing sanctions. The scope of the Trump administration’s sanctions against some companies, such as Huawei and SMIC, has been greatly expanded to include export controls targeting all of China under the Biden administration. Additionally, Chapter 2 reviews the concerns of various companie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regarding these broader export controls and reviews key countries’ responses to the semiconductor supply chain.
In Chapter 3,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s supply chain, encompassing equipment, materials, foundry, memory, and design sectors. For each sector, we scrutinized major companies and their relevance to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By reviewing various public announcements and company disclosures,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impact of export controls on individual companies,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memory semiconductors, and semiconductor design. It became clear that Chinese semiconductor companies were rapidly improving their technical capabilities with substantial support from the Chinese government in all areas.
In Chapter 4, we delved into the repercussions of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AI chips, the two main targets of export controls. Our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China’s import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Furthermore, Korea’s export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which serve as a complement to Americ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have also declined as a result of the impositionof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Additionally, the imposition of export controls on AI semiconductors could potentially lead to a modest decline in demand for high bandwidth memory (HBM). While the baseline estimate indicates a smaller decline in demand due to the export controls compared to the broader memory market, the long-term impact could b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evolution of future export control measures and the expansion of the AI semiconductor market.
In Chapter 5, we projected possible extensions of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to encompass heterogeneous integration technology and next-generation power semiconductors. Furthermore, we also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broadening the scope of countries involve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n addition, this report outlines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the need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to establish alternative production facilities to mitigate risk exposure, an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fabless companies.
In Chapter 2 reviews the history of U.S.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which progressively became stronger and broader in scope during the Obama, Trump, and Biden administrations. In doing so, we confirmed that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have become more frequent and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anctions. Regarding export controls attempted by the Obama administration, American companies were able to circumvent them by assisting Chinese companies. The Trump and Biden administrations have closed such loopholes by expanding existing sanctions. The scope of the Trump administration’s sanctions against some companies, such as Huawei and SMIC, has been greatly expanded to include export controls targeting all of China under the Biden administration. Additionally, Chapter 2 reviews the concerns of various companie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regarding these broader export controls and reviews key countries’ responses to the semiconductor supply chain.
In Chapter 3,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s supply chain, encompassing equipment, materials, foundry, memory, and design sectors. For each sector, we scrutinized major companies and their relevance to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By reviewing various public announcements and company disclosures,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impact of export controls on individual companies,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memory semiconductors, and semiconductor design. It became clear that Chinese semiconductor companies were rapidly improving their technical capabilities with substantial support from the Chinese government in all areas.
In Chapter 4, we delved into the repercussions of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AI chips, the two main targets of export controls. Our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China’s import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Furthermore, Korea’s export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which serve as a complement to Americ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have also declined as a result of the impositionof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Additionally, the imposition of export controls on AI semiconductors could potentially lead to a modest decline in demand for high bandwidth memory (HBM). While the baseline estimate indicates a smaller decline in demand due to the export controls compared to the broader memory market, the long-term impact could b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evolution of future export control measures and the expansion of the AI semiconductor market.
In Chapter 5, we projected possible extensions of semiconductor export controls to encompass heterogeneous integration technology and next-generation power semiconductors. Furthermore, we also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broadening the scope of countries involve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n addition, this report outlines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the need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to establish alternative production facilities to mitigate risk exposure, an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fabless compan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구성
제2장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현황 및 주요국 대응
1. 반도체 수출통제 현황
2. 수출통제에 대한 기업 및 협단체의 반응
3. 주요국 대응
제3장 반도체 산업 공급망
1. 반도체 제조 장비
2. 반도체 소재
3. 파운드리
4. 메모리 반도체
5. 첨단반도체 설계
제4장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의 경제적 영향
1. 반도체 제조시설에 대한 수출통제의 영향
2. AI 반도체 수출통제의 영향
3. 소결
제5장 결론
1. 요약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구성
제2장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현황 및 주요국 대응
1. 반도체 수출통제 현황
2. 수출통제에 대한 기업 및 협단체의 반응
3. 주요국 대응
제3장 반도체 산업 공급망
1. 반도체 제조 장비
2. 반도체 소재
3. 파운드리
4. 메모리 반도체
5. 첨단반도체 설계
제4장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의 경제적 영향
1. 반도체 제조시설에 대한 수출통제의 영향
2. AI 반도체 수출통제의 영향
3. 소결
제5장 결론
1. 요약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36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글로벌 영향력 강화 전략 평가와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단행본
미중갈등과 경제안보: 닉슨-저우언라이 회담록을 통한 교훈
2024-07-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남미 국가의 서비스 시장 개방이 GVC 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2024-03-27
연구보고서
미국의 대중 금융제재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연구보고서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정책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및 시사점
2023-12-26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안보: 주요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한국의 경제안보전략
2023-09-13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자료
국제분쟁과 경제적 상호의존성: 경제안보에 대한 시사점
2023-04-28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