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오늘의 세계경제
정승호
-
북핵과 북ㆍ중 경제관계 전망
▣ 과거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는 북핵문제의 진전상황에 관계없이 꾸준히 증가해왔으나 작년 10월 북한의 핵실험 이후 이러한 과거의 특징이 근본적으로 변하였음.- 1993년 북한의 NPT 탈퇴로 촉발되었던 1차 북핵위기 당시 북ㆍ중무역은 전년대비..
조명철 외 작성일 2007.04.27 조회수 7,088
-
북핵과 북ㆍ미 경제관계 전망
▣ 본 보고서에서는 북ㆍ미 관계 정상화 회담 관련 주요 쟁점 및 경제제재 해제시 북한이 얻게 될 경제적 이익을 분석하고, 향후 북핵문제를 중심으로 전개될 양국간 경제관계를 전망해 보려고 함. ▣ 북ㆍ미간 경제교류는 미국의 포괄적 대북 경제..
조명철 외 작성일 2007.03.14 조회수 5,983
-
2007년 북한 대외경제 전망
▣ 본 보고서에서는 2006년도 북한 대외경제의 부문별 실적들을 분석하고, 향후 핵문제를 중심으로 전개될 다양한 환경에서 북한의 대외경제를 전망해보려고 함.▣ 북한은 2007년 신년사설에서 ‘경제사업’을 국가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였으며, 이..
조명철 외 작성일 2007.02.06 조회수 5,534
-
UN 대북 제재 결의 이후, 북ㆍ중 접경지역 경제협력 현장의 변화
▣ 중국 당국은 UN의 대북 제재 결의 이후, 북한에 대해 일부 금융거래 제한 및 통관 검색 강화 등을 비롯한 경제제재조치를 실행하고 있음.▣ 중국은 4대 국유상업은행을 중심으로 대북 금융거래에 대한 제재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북한의 6자회담..
조명철 외 작성일 2006.11.17 조회수 5,638
-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은 10월 9일 핵실험을 진행하였다고 발표하였으나, 핵실험의 장소 및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 중에 있음.▣ 북한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는 UN 결의안 등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결의안 채택의 핵심쟁점은 UN 헌..
조명철 외 작성일 2006.10.13 조회수 6,758
-
북한 미사일 발사 배경 및 한국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은 2006년 7월 5일 대포동 2호 등 모두 7발의 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하였는데, 미국의 독립기념일(7. 4)을 맞이하여 전격적으로 이루어진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 지역의 정치ㆍ군사적 긴장과 불안정성을 고조시키는 한편, 남북관계..
홍익표 외 작성일 2006.07.07 조회수 6,380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