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장종문
-
디지털경제의 진전과 산업혁신정책의 과제: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 ICT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디지털경제(digital economy)가 글로벌 경제의 화두로 급부상-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최근 논의는 디지털경제의 진전을 기초로 하며, 이는 경제, 산업, 사회, 문화 전 측면에서 실질적인 변화와 혁신을 추동할 것으로..
김정곤 외 작성일 2017.01.15 조회수 6,860
-
국제 디지털 상거래의 주요 쟁점과 한국의 대응방안
■ 디지털 상거래(digital trade)는 전자상거래(e-commerce)와 유사한 개념이나,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산업의 등장으로 디지털 재화의 거래가 급성장하는 현실을 반영한 개념임.- 최근 디지털 재화(digital product)로 대표되는 무형 재화의..
김정곤 외 작성일 2016.01.26 조회수 4,619
-
적정기술 활용을 통한 對아프리카 개발협력 효율화 방안
■ 아프리카는 1960년대 초반 독립 이후 지난 60여 년 동안 국제사회로부터 1조 4,000억 달러의 막대한 원조자금을 지원받았지만, 다른 개도국 지역과는 달리 빈곤 해소가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음. - 2000년대 들어 국제사회의 대규모 빈곤..
박영호 외 작성일 2015.01.15 조회수 3,866
-
해외 정책금융기관 활용을 통한 아프리카 건설ㆍ플랜트 시장진출 방안
■ 최근 들어 아프리카가‘위기의 대륙’에서 새로운‘기회의 시장’으로 부상 중에 있음.- 아프리카의 발전을 가로막았던 내전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자원개발 및 인프라 건설 붐이 계속되면서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5%대의 괄목할..
박영호 외 작성일 2014.01.29 조회수 4,327
-
아프리카 건설ㆍ플랜트 시장특성 분석 및 한국의 진출방안
■ 아프리카는 최근 정치ㆍ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신흥 자원개발시장으로서의 전략적 가치가 결부되면서 21세기 새로운 신흥시장으로 부상 - 분쟁 감소,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2000년대 들어 5~6%의 높은 성장세를 시현하며, GDP가 지난 10년..
박영호 외 작성일 2013.01.15 조회수 4,093
-
아프리카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 ODA 추진방안
■ 원조의 양적 확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원조의 내실화이므로, 어느 분야에 우리의 원조 역량을 집중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아프리카에 대한 ODA 규모는 지난 5년간 유ㆍ무상을 합쳐 8.6배나 증가하여 2010년에는 4.5억 달..
박영호 외 작성일 2013.01.15 조회수 3,6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