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김준엽
-
Why Did Korean Domestic Demand Slow Down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 본 보고서는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지속된 내수부진을 단기적 경기변동이 아닌 구조적인 현상으로 보고 국민계정의 지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임.- 금융위기 이전(1981~96년) 9.3%였던 한국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2..
황운중 외 작성일 2016.01.28 조회수 4,426
-
저성장 시대의 고용확대 정책: 유럽 주요국 사례 및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의 경우, 실업률과 고용률의 괴리가 크다는 점과 취약계층이라 할 수 있는 청년층 및 여성의 고용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고용시장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문으로 지적- 국제적인 차원에서 실업률은 3.7%로 OECD 회원국 중 노르웨..
강유덕 외 작성일 2016.01.26 조회수 3,219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럽 은행산업의 대내외 환경 변화와 대응 전략
■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로 인해 유럽 은행산업은 전후 유례없는 위기에 직면함. 이에 EU는 단일시장의 심화를 통한 정책대응을 선택함. - 위기 이전의 경영성과(performance)를 회복하지 못한 유럽의 금융기관들은 엄격해진 금융..
오태현 외 작성일 2015.01.08 조회수 3,631
-
유럽 주요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정책과 시사점
■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유럽의 경우에도 제조업부문의 산업 경쟁력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함. - 제조업이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끄는 국가경제의 버팀목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각국에서는 제조업..
강유덕 외 작성일 2014.12.30 조회수 3,311
-
유럽의 사례를 통해 본 복지와 성장의 조화 방안 연구
■ 유럽재정위기 이후 재정건전성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면서 점차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복지지출의 적정성 문제가 크게 부각됨.- 남유럽 국가들이 재정위기에 봉착한 데는 다양한 원인이 있으나, 경제수준과 경쟁력에 비해 복지지출 비중이..
강유덕 외 작성일 2014.01.29 조회수 3,698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