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숫자로 보는 세계경제

발간물

목록으로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II

  • 작성자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일2024-06-26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10.6 -선진국 - 유로지역 인플레이션 (%) 자료: Eurostat 검색일: 2024. 4. 5). 일본 GDP 성장기여도 (9%, %p) 주: 실질계절조정, 전문분기대비 자료: 일본 내각부(검색일: 2024.4.4). [미국] 개인소비 재고변동 수출 주: 실질계절조정, 전문분기대비 자료: 일본 내각부(검색일: 2024.4.4). 주택투자 정부지출 수입 ▶ 예상보다 강건한 소비지출, 민간투자 회복, 정부지출 등이 성장의 주요 축 담당... 2024년 2.4% 성장 예상 ▶ 다만, 고금리 기조 지속이 소비에 시차를 두고 영향 주면서 점차 둔화세를 나타낼 듯 ▶ 소비자 대출액이 빠르게 늘고 연체율이 상승하는 점 또한 제약 요인 ▶ 미국 정부의 보조금 대출 보증에 따른 민간 투자 확대는 긍정 요인 [유로지역] ▶ 낮은 수준의 투자와 해당 지역에서 30% 이상을 차지하는 독일 경제의 부진으로 0.7% 성장에 그칠 전망 ▶ 독일,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과 긴축 재정, 수출 감소 등으로 0.0%의 저조한 성장률 보일 듯 ▶ 프랑스, 무역이 성장을 이끌면서 0.6% 기록 전망 ▶ 이탈리아, 부진한 정부지출 대신 투자와 무역이 성장을 도와 0.7% 기록 전망 ▶ 스페인, 관광업과 투자 회복으로 2.4% 기록 전망 ▶ 영국은 정부지출 확대와 민간소비 개선으로 0.5% 기록 전망 [일본] ▶ 내수의 완만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2023년 높은 성장을 견인했던 ▶ 수출입 부문 기여도의 하락이 예상됨에 따라 2024년 0.9% 기록 보여 ▶ 녹색전환·디지털 전환·반도체·AI 등의 국내투자 확대정책, 완만한 고용상황 개선 등은 상방 요인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 신흥국 - 중국 주요경제지표 주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고정자산투자는 누계치(YTD). 자료: CEIC, 중국 해관총서, 중국 국가통계국(검색일: 2024.5.9).인도 GDP 성장기여도 (백만배럴/일) 주 전년동기대비. 자료: CEIC(검색일: 2024.4.25). [중국] -10.0 21.03 21.06 21.09 21.11 22.03 2206 2209 2211 23.03 23.06 23.09 23.12 민간소비 정부소비 총고정자본형성순수출-GDP 성장률 주 전년동기대비. 자료: CEIC(검색일: 2024.4.25). ▶ 2024년 중국정부는 -5% 내외의 경제성장률 목표를 제시했지만, 시장의 낮은 기대와 지속적인 경제 리스크, 대외 불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4.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다만 정부의 다양한 경제안정화 정책 추진에 따른 효과를 고려해, 종전 전망치 대비 0.3% 상향 조정 [인도] ▶ 정부 및 민간 투자 확대와 민간소비 회복으로, 2024년 6.8%의 고성장세 이어갈 듯 ▶ 인프라와 주택 공급을 중심으로 정부와 민간 투자가 계속해서 확대될 예정 ▶ 물가안정과 농업 부문 회복으로 농촌지역 소비가 정상화됨에 따라 높은 수준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모디 정부의 투자유치 노력 또한 기여 [아세안] ▶ 아세안 5개국은 대외수요 회복, 관광 증가, 정부지출 확대 또는 정상화,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 등의 긍정적 요인으로 종전 전망치와 유사한 4.5%의 견조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 ▶ 인도네시아, 10월 취임 예정인 신정부의 지출 확대, 말레이시아, 수출 및 관광 개선, 필리핀, 인프라와 관광 개선, 태국은 정부지출 정상화 및 관광호조 지속 베트남은 제조업 수출과 해외직접투자 유입 등으로 성장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 신흥국 - 러시아 산업생산 및 고정자산투자 추이 (전년동기대비,%) 자료: 러시아 통계청 및 경제개발부검색일: 2024.4.30) 자료 브라질 부문별 성장률 (전년동기대비,%) 자료: 브라질 통계청(BGE) [검색일: 2024. 4. 8). [러시아] ▶ 전시 상황 장기화에 따른 뉴노멀(New Normal)에 적응하면서 2024년에도 지난해와 유사한 3.2%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평가됨 ▶ 군비지출 급증과 실업률 하락, 실질임금 상승 등에 따른 소비 여력 확대 등이 내수 주도 성장 흐름을 이끌며 플러스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노동시장 과열에 따른 임금 상승이 경기 둔화를 초래할 가능성 [브라질] ▶ 고금리와 저조한 농산물 작황으로 성장세가 둔화되나 재정지출 확대, 수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1.8% 성장 예상됨 ▶ 2023년 말부터 북부지역의 극심한 가뭄과 남부지역의 폭우 등 기상이변으로 인해 농산물 작황이 악화된 상황이며, 중앙은행의 기준금리가 2024년 4월 기준 10.75%로 여전히 높아 경제활동에 제약요인으로 작용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