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숫자로 보는 세계경제

발간물

목록으로

2023년 중국 대외무역의 특징과 한·중 무역에 대한 시사점

  • 작성자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일2024-03-30

2023년 중국 대외무역의 특징과 한·중 무역에 대한 시사점 중국의 수출입 규모 추이 (단위: 억 달러) 중국의 수출입 증가율 추이 (단위: %)  자료: 중국해관통계, CEIC [2023년 중국 무역의 특징 및 세계 무역 내 위상 변화] ▶ 중국 상품무역: 대내외 수요 부진,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등 영향으로 작년 5% 감소 ▶ 감소 원인: ① 선진경제권의 대중국 무역의존도 하락 ② 개도국으로의 교역 대상 전환 ③ 중국 수출입 내 외자기업 비중 축소 등 [중국수출입 품목의 구조 변화와 특징] ▶ 2023년 세계 1위 자동차 수출국으로 부상 ▶ 광물 수입 및 에너지 적자 증대로 1차 산품 적자 확대 ▶ 핵심광물의 전략적 수입 급증


2023년 중국 대외무역의 특징과 한·중 무역에 대한 시사점 한국의 대중국 ICT 제품 무역수지 변화 (단위:억 달러)  자료:한국무역통계, KITA 가공단계별 중국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 변화 (단위: %)  자료: 중국해관통계, KITA 핵심광물(K)의 대중국 수입액 및 의존도 자료:한국무역통계, KITA 주요 핵심광물(K)의 대중국 수입의존도 변화 자료: 중국해관통계, KITA [한/중 무역관계 변화와 특징] ▶ ICT 경기 및 구조적 요인으로 작년 적자(180억 달러)로 전환 ▶ 대표 흑자 품목인 중간재 및 전자/화학흑자 급감 ▶ 핵심광물 중심으로 대중국 수입의존도 상승


2023년 중국 대외무역의 특징과 한·중 무역에 대한 시사점 중국의 수출입 규모 추이 (단위: %) 자료: USGS(2024),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 [평가 및 시사점] ▶ 중국의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 간 괴리가 커지는 상황 대중무역의 적자 구조가 지속될 전망 ▶ 한국의 대중국 의존 심화와 중국의 자급화 및 수입선 다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어, ▶ 광물 수요의 대부분(약 95%)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은 핵심광물의 안정적 확보 위해 주요 광물 생산·공급 국가와의 다각화된 국제적 협력 필수 ▶ 중국의 경제·산업 구조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새로운 수입 수요 증가에 대비해 우리의 공급 능력을 강화해야 ▶ 특히 중국의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수입특화 구조를 가진 제품군에서 한국의 공급경쟁력을 제고하려는 노력 필요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