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숫자로 보는 세계경제

발간물

목록으로

중동 분쟁 확산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 작성자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일2024-02-29

중동 분쟁 확산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한국형컨테이너운임지수(KCCI)와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추이 주KCC)는 1월 22일, SCF는 1월 19일까지의 수치임. 자료:한국해양진흥공사(검색일: 2024.1.22.); 한국관세물류협회 (검색일: 2024.1.22). 국제유가 추이 (단위: 달러/배럴) 주: 2024년 1월은 검색일까지의 수치임. 자료: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검색: 2024. 1. 28.). ▶ 이란 및 역내 친(親)이란 무장단체 vs 이스라엘-미국-역내 반(反)이란 무장단체 동시다발적 무력 충돌 발생.. 중동지역 내 정세 불안 심화 ▶ 영구 휴전 협상의 핵심인 '인질 및 포로 석방 문제'를 두고,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입장 차 좁혀지지 않아 ▶ 분쟁 확산으로 인해 ① 해운 운임 상승 및 운송 지연 ② 국제유가 상방 압력 확대 ③ 분쟁 당사국 및 주변국 경기 위축 등 영향 있어 ▶ 역내 긴장 장기화 시① 원자재 중심 인플레 상방 압력 확대 ② 유럽/북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역 차질 ③ 이집트/동유럽 내 우리 제조 시설에 대한 부품 공급 비용 상승 예상


중동 분쟁 확산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분기별 파나마 운하 통항 선박 수 추이 (단위:척) 자료: Bloomberg Terminal(검색일: 2024.1.24.).러-우 전쟁 발발 전후 수에즈 운하 내 원유 및 석유제품 수송량 (단위: 백만배럴/일) 자료: Lee and Wittels(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4, 1.24).▶ Case ①. 역내 긴장 완화 시 영구 휴전 합의로 역내 정세가 안정화되면, 인플레 상방 압력이 완화되고 전쟁으로 위축되었던 한국의 대이스라엘 무역 규모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 ▶ Case ②. 역내 긴장 장기화 시 유럽 및 북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역 차질 지속, 우리 제조 기업의 이집트/동유럽 내 생산 공장에 대한 부품 공급 비용 상승, 원자재 중심의 인플레 상방 압력 심화 등 예상 ▶ Case ③. 전면전 확장 시 이란+역내 친이란 무장단체 vs 이스라엘+미국 간 전면전 발발 시 2023년 기준 한국 수출의 3%, 해외 건설 수주의 32.3%를 차지하는 중동지역과의 양자 간 경제협력이 위축될 수 있음.

중동 분쟁 확산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우리나라 원유 도입량의 지역별 비중 추이 주: 2023년은 3/4분기까지의 수치임. 자료:한국석유공사 메트로넷(검색: 2024, 1. 12.). 2023년 호르무즈 해협 주변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원유 도입 비중 주: 3/4분기까지의 수치임. 자료: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검색: 2024, 1.12). ▶ 우리 정부: 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이 가해질 수 있어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방안을 준비할 필요 있음 ① 물류 차질 심화에 대비, 자동차 등 특수선종을 필요로 하는 제품 중심으로 선복 최대한 확보 + 수출사의 물류비 부담 경감 위한 지원 고려 ② 에너지 수급 차질 + 원자재 중심 인플레 상승 대비해 비축유 확보 정세가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걸프국가 중심으로 협력 확대를 도모 ③ 원유 수입원이 특정 지역에 편중될 시 현지 정세 변화에 따라 우리의 에너지 안보가 크게 불안해질 수 있으므로, 대중동 원유 도입 의존도가 더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새로운 원유 도입처 발굴 노력 지속해야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