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세계경제
발간물
오늘의 세계경제
도요타 리콜사태의 발생 원인과 교훈
- 저자 김양희
- 번호2010-01
- 작성일2010-02-25
▣ 일본 도요타 자동차가 사상 최대의 리콜사태로 창사 이래 가장 큰 위기에 직면함.
- 도요타는 2009년 8월 가속페달 문제를 시작으로 결함 부위와 대상 차종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2010년 2월 16일 현재 전 세계에서 리콜 및 수리 대상이 도요타의 2009년 일본판매대수에 필적하게 되었음.
- 도요타의 더디고 무책임한 대응이 ‘품질의 도요타’에 대한 신뢰 실축을 가속화하였음.
▣ 이번 도요타의 리콜 사태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임.
- 도요타는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하고자 전사적인 원가절감에 사활을 걸게 되어 설계 → 부품조달 → 완성차조립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품질관리를 소홀히 하게 되었음.
- 성장중시 경영전략의 확산과 위기에 대한 신속대응이 미흡한 조직문화도 도요타에 대한 신뢰를 실추
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였음.
▣ 한국은 이번 사태를 통해 전사적 품질관리 및 위기 관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되 일본의 자동차산업 및 제조업에 대한 과도한 폄하의 시각을 경계해야 함.
- 국내 자동차업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설계 → 부품조달 → 완성차조립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품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위기요소가 없는지 재점검에 나설 필요가 있음.
- 그러나 일본 제조업은 여전히 강하고 특히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은 막강하므로 이번 사태가 일본
자동차 산업, 나아가 제조업 전반의 위기라는 확대해석은 금물이며, 오히려 그들의 강점을 최대한 흡수하려는 자세가 요청됨.
- 도요타는 2009년 8월 가속페달 문제를 시작으로 결함 부위와 대상 차종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2010년 2월 16일 현재 전 세계에서 리콜 및 수리 대상이 도요타의 2009년 일본판매대수에 필적하게 되었음.
- 도요타의 더디고 무책임한 대응이 ‘품질의 도요타’에 대한 신뢰 실축을 가속화하였음.
▣ 이번 도요타의 리콜 사태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임.
- 도요타는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하고자 전사적인 원가절감에 사활을 걸게 되어 설계 → 부품조달 → 완성차조립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품질관리를 소홀히 하게 되었음.
- 성장중시 경영전략의 확산과 위기에 대한 신속대응이 미흡한 조직문화도 도요타에 대한 신뢰를 실추
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였음.
▣ 한국은 이번 사태를 통해 전사적 품질관리 및 위기 관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되 일본의 자동차산업 및 제조업에 대한 과도한 폄하의 시각을 경계해야 함.
- 국내 자동차업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설계 → 부품조달 → 완성차조립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품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위기요소가 없는지 재점검에 나설 필요가 있음.
- 그러나 일본 제조업은 여전히 강하고 특히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은 막강하므로 이번 사태가 일본
자동차 산업, 나아가 제조업 전반의 위기라는 확대해석은 금물이며, 오히려 그들의 강점을 최대한 흡수하려는 자세가 요청됨.
첨부파일
-
제10-01호.pdf (555.88KB / 다운로드 10,711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