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오늘의 세계경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 2019년 12월에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진자 수가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2020년 1월 25일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중국 중앙정치국 상무회의가 개최되었으며, 2월 중순이 중국 내 확산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
- 2020년 2월 10일까지 중국 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누계 확진자 수는 4만 2,638명이며, 이 중 1,016명이 사망함.
▶ SARS 사례로 미루어볼 때 중국경제에 대한 영향은 2020년 상반기에 집중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1/4분기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
-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산이 1/4분기 말 안정기에 접어들 경우 2020년 중국경제의 연간 성장률은 0.5%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만약 확산이 2/4분기까지 지속된다면 연간 성장률이 1%p 하락할 가능성도 있음.
▶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무역 및 금융 연계성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유관산업 및 실물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환율 및 자본유출입 등 금융부문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 존재
-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로 달러화 및 엔화는 강세, 원화와 위안화는 동반 약세를 보였고, 원/달러와 위안/달러의 동조화 현상 강화에 따른 환율변동 리스크가 증가함.
▶ 한국의 대중국 수입에서 후베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2018년 1.0%)하며, 후베이의 대한국 주요 수출 품목과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의 관련성이 낮아 한국의 수출에 주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을 예상
▶ 하지만 SARS 시기(2003년)와 비교해 한국의 대중국 가치사슬이 심화되어 중국 내 조업 단축, 중국의 수출 및 소비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한국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커질 가능성 존재
- 총액 기준으로 한국산업의 글로벌 밸류 체인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의 1.8%에서 2014년 5.3%로 증가함.
▶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영향이 단기간에 그칠 가능성이 높지만, ① 정부 차원의 사업지속계획(BCP) 가이드라인 수립 및 기업 차원의 BCP 구축 지원 ② 국제금융시장 위험요인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③ 중국의 적극적 정책 개입에 대한 대비 ④ 중국 지역별 확산 정도에 따른 대응방안 모색을 제안함.
-
오세경 20-04_.pdf (2.71MB / 다운로드 11,259회)다운로드
-
오세경 20-04_.hwp (4.28MB / 다운로드 4,411회)다운로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