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연구브리핑

발간물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목록으로

인도 제조업의 세부 업종별 특성 분석을 통한 한ㆍ인도 협력방안

 ■ 한동안 지속됐던 경기침체 이후 세계경제가 회복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중국의 성장률을 상회하고 있으며, 이러한 견고한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2017년 인도 경제성장률이 다소 둔화되었으나, 이는 인도정부의 경제개혁조치로 인한 일시적 현상임.
- 이러한 고성장기조에 따라 2016년 인도는 명목 GDP 기준 이탈리아를 앞서며 G6 국가로 자리매김함.
- 구매력 평가기준(PPP)으로는 이미 일본을 추월하여 미국과 중국에 이어 글로벌 3대 경제대국임.
- 인도의 고성장세는 경기순환 차원의 일시적 현상이 아닌 ‘모디노믹스(Modinomics)’로 상징되는 모디정부의 친시장ㆍ고성장 경제개발정책의 효과가 가시화되는 과정임.

■ 특히 ‘Make in India’로 잘 알려진 인도의 제조업 육성정책은 인도가 중국에 버금가는 글로벌 제조업의 허브로 발전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함에 따라 전 세계가 인도를 주목하고 있음.
- 2017년 7월 1일부로 인도의 3대 개혁 법안(노동법, 토지수용법, GST 법) 중 하나인 GST (Goods and Service Tax, 상품서비스세) 법이 시행됨에 따라 인도경제의 패러다임 변화가 본격화되고 있음.
-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대인도 경제협력과 우리 기업의 대인도 진출방안에 대한 심층적이고 연속성 있는 연구가 필요
- 최근 중국의 생산기지로서의 가치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는 등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에 따라 대안 중 하나인 인도 제조업에 대해 보다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자세하고 정교한 정보제공이 요구되고 있음.

■ 본 연구는 기업수준의 자료를 이용해 인도 제조업을 24개 소분류 및 137개 세분류로 구분하여 세부 업종별 구조와 특성을 연구함.
- 우선 세부 업종별 분석에 앞서 인도 제조업의 현황, 제도, 정책을 조사 및 정리함. 
- 인도 제조업 세부 업종별 특성을 시장지배력, 성과, 연구개발, 글로벌화, 생산성으로 구분하고 산업집중도, 허핀달ㆍ허쉬만지수, 러너지수, 매출액, 총자산, 영업이익률, 연구개발비, 수출, 수입, 노동생산성을 산출함.
- 인도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확률적 프런티어모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고, 이에 대한 결정요인을 세부 업종과 기업특성별로 비교분석
- 또한 인도 제조기업을 인도 국내기업, 해외기업(한국기업 제외), 한국기업으로 나누어 이들의 특성을 비교분석함.

■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정부의 대인도 협력과 우리 기업의 대인도 진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우리 기업에 대인도 진출 유망산업을 선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
∘ 제조업 세부 업종별로 인도가 현지 진출을 통한 생산이 유리한지 아니면 수출시장으로서의 가치가 두드러진지에 대한 판단을 위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기를 희망
-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가 한ㆍ인도 제조업 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 수립 및 유망분야 발굴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함. 

첨부파일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