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한ㆍ중ㆍ일 서비스산업 직접투자 현황과 역내협력 활성화방안
■ 서비스산업은 서비스산업 간 또는 다른 산업 부문과의 연계성이 크기 때문에 다른 산업의 근간으로서 그 역할이 중요함.
■ 또한 WTO DDA 협상이나 최근 양자간 FTA 체결 시 서비스 개방이 주요 의제로 부상함.
■ 한ㆍ중ㆍ일 FTA 산관학 연구와 더불어 3국간 서비스 부문 개방에 대한 논의 또한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중국 내 산업정책 변화의 움직임을 고려해 볼 때, 상품의 이동이나 노동비용 차이를 통한 제품가격 저렴화 관련 투자에 집중되어 있는 현재의 대(對)중국 투자를 서비스산업으로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세계무역기구(WTO)의 GATS 협상 과정에서 제출된 양허안이나 한ㆍ중ㆍ일 3국이 최근 추진한 FTA 서비스 부분 양허안의 분석을 통한 부문별 자유화 수준 평가 등에 집중됨.
■ 본 연구에서는 각종 FTA 협상에서 논의되는 서비스 자유화에 대한 이슈 외에, 주요 서비스산업별 역내투자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각 분야별 직접투자의 장애요인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함.
-
브리핑(연구보고서_11-19).pdf (494.87KB / 다운로드 1,154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