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 혁신적인 노동인력 수요전망 방법론의 적용
- 개도국은 경제구조전환 과정에 있고, 노동시장을 둘러싼 제반환경이 한층 복잡해지고 있으므로 예측력을 높일 수 있는 혁신적(innovative)인 노동수요전망 방법론 모색이 필요
▶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접근
- 신흥국의 글로벌 가치사슬(GVC) 편입이 확대되고 있어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는 노동인력 수요전망 방법론적 접근이 필요
- 베트남의 경우 개혁·개방 이후 GVC의 활발한 참여로 최종수요에서 차지하는 해외부가가치 비중이 28%(1990~95년)에서 34.8%(2010~15년)로 확대
▶ 빅데이터 분석 활용
- 개도국에서도 컴퓨터 보급과 인터넷 접근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구인구직 등 노동시장 관련 정보가 온라인을 통해 쏟아져 나오고 있어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
▶ 산업수요와 직업교육간의 연계 강화
- 직업교육 ODA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수원국의 노동수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
-
정책연구 브리핑-신흥국 산업인력 수요 전망 방법론 연구-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hwp (765.5KB / 다운로드 770회)
-
정책연구 브리핑-신흥국 산업인력 수요 전망 방법론 연구-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pdf (298.78KB / 다운로드 917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