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중동지역 산업 및 금융환경의 변화와 한·중동 금융협력 방안
■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0~12년 ‘아랍의 봄’을 거치면서 중동지역의 산업 수요 및 정책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
- 최근 GCC(Gulf Cooperation Council)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은 석유 자원 고갈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 비석유부문의 제조업뿐만 아니라 ICT, 금융, 관광, MICE 산업 등을 육성하기 위해 경제 및 산업 다각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 이에 따라 당해 업종에 적합한 중소기업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으며, 민간부문의 참여도 확대되고 있음.
- 국민의 삶의 질 개선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에 대한 프로젝트 이외에 보건의료시설, 학교, 주택 등과 같은 사회 인프라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 이러한 산업 수요 및 정책의 변화는 중동 산유국의 재정 및 금융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중동 산유국들은 고유가로 인해 상당한 규모의 재정 흑자를 기록하고 있기는 하지만 최근 GDP 대비 재정 흑자규모의 비중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음.
- 석유 수출에 기반한 재정 수입만으로는 증가하는 프로젝트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됨.
- 이에 따라 산유국 정부들은 시공사에 금융 주선을 요구하기도 하고 발전ㆍ담수화 사업의 경우 민간 독립사업자의 직접 투자를 선호하기도 함.
- 또한 중동 지역의 제조업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국내 중소ㆍ중견기업의 직접투자 진출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기도 함
■ 중동지역의 산업 및 금융환경의 변화로 인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한계가 극복되어야 함.
- 1970~80년대에 효과적이었던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계약 기반의 중동 진출 방식은 최근 국내 기업간의 과당 경쟁과 저가 수주가 나타나는 배경이 되고 있음. 따라서 좀더 장기적인 안목에서 사업 개발이나 운영 및 유지보수단계까지 사업의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최근 프로젝트 규모가 점차 대형화되고, 민간부문의 직접 투자가 확대되면서 기업의 금융 조달 능력은 더욱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음. 단순히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대출만이 아니라 프로젝트 파이낸스(PF)를 통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함.
■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염두에 두고 국내 기업들이 중동 진출방식을 보다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와 중동 국가, 그리고 국내외 개발금융기관들 사이에 어떠한 금융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할 것인가를 분석하고자 함.
- 중동지역의 산업 및 금융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해외 개발금융기관들의 대중동 금융지원 전략 및 사례를 분석하면서 국내 중동 진출 기업의 금융조달능력 강화를 위한 한ㆍ중동 금융협력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함.
- 본 연구에서의 금융협력은 주로 국내 기업의 대중동 투자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국내외 개발금융기관의 금융 지원을 그 대상으로 함.
■ 본 연구는 이러한 한ㆍ중동 금융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GCC 지역의 민간부문 투자를 확대하고 더 나아가 신흥경제국에 공동으로 진출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수립하고자 함.
- 우리나라 금융 부문의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중소ㆍ중견기업의 중동 진출을 도모하면서 국내외에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임.
- 또한 이는 중동 국가들의 중소 제조업 기반을 확충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민간부문을 확대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연구보고 14-24(중동지역 산업 및 ).pdf (846.2KB / 다운로드 999회)다운로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