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Policy Analysis 싱가포르의 知識基盤經濟 이행전략과 시사점

저자 정재완 발간번호 01-0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1.12.20

원문보기(다운로드:1,14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세계경제는 최근 경쟁의 세계화, ICT의 발달, 과학기술 진보의 가속화, 수요의 고급화·다양화 등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여건의 변화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킴에 따라 경제의 패러다임은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이 기술·지식 등에 의해 결정되는 知識基盤經濟(KBE, Knowledge-Based Economy)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기반경제의 도래는 경제구조와 기업의 비즈니스 방식 뿐 아니라 사회의 근본적 가치와 문화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1990년대 중반 이후 미국, 영국, 네덜란드, 카나다 등 OECD 국가를 비롯 세계의 주요 선진국과 경쟁국은 지식기반경제로 진입하고 있거나 이행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쟁국인 싱가포르도 새로운 경제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東아시아 금융위기 직후부터 지식기반경제로 서둘러 이행하고 있다.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보다 앞서 지식기반경제로 이행하고 있는 싱가포르의 이행전략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실시하고, 이와 한국의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전략을 비교하여 한국의 지식기반경제 구축에 대한 시사점 및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다만, 이 연구는 싱가포르 정부가 발표한 자료 및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전문가와의 인터뷰는 일부분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분석 및 평가의 대상인 이행전략을 좁은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생략)
Singapore's Strategy towards Knowledge-Based Economy and Its ImplicationsJae-Wan Cheong
Recently, the world economy has rapidly changed into globalization of competition, development of ICT, accel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mprovement, high-class orientation and diversification of economic demand. As these economic conditions cause synergy among them, economic paradigm is rapidly converting into Knowledge-Based Economy (KBE); corporate or national competitiveness depends on technology and knowledge. The appearance of KBE greatly influences fundamental value and culture of a society as well as economic structure and corporate business pattern. According to these, major advanced nations including OECD nations of U.S., U.K., Netherlands, Canada have entered KBE or forwarded the movement since the middle of 1990s. Specially, Singapore, one of our rival countries, has also moved into KBE to survive in this new economic environment directly after the East Asian Financial Crisis.On the basis of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perform analysis and assessment on the strategy of Singapore that is moving towards KBE earlier than us,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Korea, and to draw the implications and tasks to build KBE in Korea. B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just focuses on data and references announced by the Singapore government, deals with limited interview with experts, and narrowly interprets the strategy toward KBE of the subject for analysis and assessment. (The rest is omitted.)
Ⅰ. 序 論
1. 연구 목적
2. 연구 목적 및 범위
3. 연구 방법 및 보고서의 구성

Ⅱ. 知識基盤經濟의 到來와 싱가포르의 移行 背景
1. 지식기반경제의 의미와 영향
2. 싱가포르의 지식기반경제 이행 배경

Ⅲ. 싱가포르의 移行 戰略
1. 싱가포르의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비전
2.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전략

Ⅳ. 싱가포르의 知識基盤經濟 移行戰略의 評價 및 韓國과의 比較
1. 싱가포르의 이행전략 및 이행에 대한 평가
2. 한국의 이행전략 및 이행상황 평가
3. 한국과 싱가포르의 비교

Ⅴ. 結論 및 示唆點
1. 요약 및 결론
2. 시사점 및 정책제언

참 고 문 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33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