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국 공급측 구조개혁 평가와 시사점 경제개혁, 산업구조

저자 현상백, 박민숙, 박진희, 조고운, 김부용 발간번호 18-1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8.12.31

원문보기(다운로드:2,98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경제는 2012년부터 고속 경제성장 시대를 마감하고 중속성장을 의미하는 ‘신창타이(新常態, New Normal)’ 시대에 진입하였다. 이는 중국경제가 지난 30여 년간 추진해온 투자, 수출 주도의 양적 성장방식이 한계에 봉착하였으며 새로운 성장모델로의 전환이 필요해졌음을 의미한다. 중국정부는 신창타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경제 발전전략으로 ‘공급측 구조개혁’을 제시하였다.
   공급측 구조개혁은 총수요 위주의 양적 발전에서 벗어나 총공급 측면에서 경제산업 고도화를 통한 질적 발전으로의 전환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개혁개방 이후 30여 년간 이어진 노동, 자본의 대규모 투입에 의존한 요소투입형 경제성장 방식을 넘어 기술 수준 제고 등 총요소생산성 제고를 통한 혁신형 경제성장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중국정부는 공급측 개혁을 통해 중진국 함정을 극복하고 중국을 2050년까지 초강대국 대열에 올려놓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신창타이 시대의 중국 발전전략인 공급측 구조개혁은 2015년 11월 시진핑 주석이 제기하였는데 2018년은 실시 3년차 되는 해로 이에 대한 중간평가 및 시사점 도출이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 공급측 구조개혁의 추진 배경과 특징을 분석하고 중점과제로 추진 중인 설비과잉 해소, 기업부채 축소, 기업원가 절감, 신성장동력 창출을 과제별로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급측 구조개혁을 평가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2장에서는 중국 공급측 구조개혁의 추진 배경, 주요 내용, 전개 과정,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 공급측 구조개혁이 제기된 추진 배경을 경제체제 요인, 거시정책 요인, 생산요소 요인, 산업적 요인, 금융리스크 요인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공급측 개혁은 국진민퇴라는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제기되었다. 특히 철강, 석탄 등 국유기업 위주의 전통산업과 인프라, 부동산 분야에서 설비과잉, 중복투자, 자원낭비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중국정부의 총수요 조절 위주 거시경제정책도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에 봉착하였다. 중국 생산요소 시장에서도 대내외 환경 변화로 인해 노동 및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양적 투입에 의존한 경제성장 방식이 한계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실물 및 금융 간 리스크 상호 전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유기업 위주의 전통산업에서 설비과잉 해소와 기업부채 축소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또한 기존의 산업을 대체할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이 필요해졌다. 즉 중국 공급측 구조개혁은 총공급 측면에서 구조적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발전전략으로 제기된 것이다. 공급측 구조조정은 2015년 제기된 이래 구체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중점과제로는 △설비과잉 축소 △부동산 재고 해소 △기업부채 축소 △기업원가 절감 △취약부문 보완 등이 제시되었다. 공급측 구조개혁에서 대내외 경제 상황에 따라 중점과제와 우선순위가 조절된다는 점도 논의했다. 공급측 구조개혁의 특징으로서 중국경제의 특수성에 기반한 발전전략임을 1980년대 레이건-대처의 공급주의 정책과 비교하여 서술하였고 질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제3장에서 제6장은 중국정부가 추진하는 공급측 구조개혁의 중점과제별로 추진 현황과 정책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평가를 실시했다. 제3장은 중국정부가 최우선 과제로 추진한 설비과잉 해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설비과잉과 유사한 개념에 대해 비교 서술하고, 설비과잉 발생 배경에 대해 대내외적인 요인을 분석하였다. 설비과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공업 설비이용률 및 산업별 설비이용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중국정부의 설비과잉 해소 정책은 2009년부터 시행되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공급측 구조개혁이 제기된 2016년부터 중앙정부 주도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하면서 철강, 석탄 분야에서 설비과잉 해소 성과가 빠르게 나타나 기업 수익성도 빠르게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중국정부는 설비과잉 해소 과정에서 대형 국유기업간 통폐합을 통해 설비 축소를 유도하였는데, 중국의 대표적인 철강업체인 바오산강철과 우한강철의 합병 사례 분석을 통해 중국 전통산업의 구조조정 전개 과정과 미래 발전전략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설비과잉 해소의 성과 및 한계에 대해 평가하고 한국에 주는 기회와 위협 요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4장은 중국경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히는 기업부채 축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업부채 축소가 추진된 배경을 논의하고 2008년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한 기업부채 현황을 BIS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별, 시기별, 부문별 등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기업부채를 기업 소유제별, 산업별, 기간별로 분석하여 중국 기업부채가 국유기업 비중이 높고, 부동산, 인프라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장기 채권 비중이 높은 점을 주요 특징으로 제시하였다. 기업부채 축소 관련 정책은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2016~17년 기업부채 축소 정책 추진 결과 본연의 목표인 국유기업 부채 축소보다 민영기업의 자금난을 야기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2018년에는 국유기업 부채 축소를 강조하는 ‘구조적 부채 축소’로 전환하게 된 내용을 논의하였다. 중국 기업부채가 금융 리스크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 중국 신용갭, 신용강도, 이자보상배율(ICR) 등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논의한 결과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속도 조절이 예상되고 기업부채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으나 중국정부가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금융위기나 실물로의 전이 가능성은 낮다는 결론을 얻었다. 2017년 공급측 구조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된 기업부채 축소는 어느 정도 성과를 보였지만, 2017년 기업부채 축소 과정에서 민영기업이 극심한 자금난을 겪는 부작용이 발생했고 2018년 미중 통상분쟁 이후 속도 조절에 들어가는 등 최근 이슈에 대해 논의했다. 향후 기업부채 축소 과정에서 국유기업의 디폴트가 예상되는 점과 금융 리스크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 및 대비 강화가 요구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제5장은 중국정부가 시장경제의 주체인 기업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추진한 기업원가 절감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의 기업원가 현황을 자금조달 비용, 인건비, 세금, 에너지 및 원자재 비용, 물류비용, 환경비용, 토지비용, 부동산 임대비용, 제도적 거래비용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의 기업원가는 각 항목별로 전반적으로 인상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인건비, 사회보험 비용, 자금조달 비용 등이 기업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며, 환경보호 관련 비용이 중국정부의 환경보호 정책 추진에 따라 새로운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논의했다. 중국정부가 기업원가의 부담을 덜고 기업의 경영활동에 활력을 주기 위해 추진한 정책으로서 영업세의 부가가치세 전환, 행정절차 간소화, 전략산업 지원, 사회보험 납부율 인하 등을 분석하여 중국정부의 감세정책을 통한 산업 고도화와 신성장동력 창출에 대해 논의했다. 부가가치세 전환은 서비스업 발전에서 성과가 나타난 반면, 행정절차 간소화와 사회보험 납부율 인하는 큰 효과를 보이지 못한 점을 평가하였다. 2018년 미중 통상분쟁 이후 대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중국의 감세정책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산업 경쟁력 제고와 신신성장동력 창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라는 전망과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6장은 공급측 구조개혁의 최종 목표이자 중장기 목표인 신성장동력 창출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의 신성장동력 창출 현황은 글로벌 혁신지수,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 지수, R&D투자액, 특허신청건 등 혁신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중국의 산업 및 혁신 경쟁력이 제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성장동력 창출 관련 정책은 공급측 구조개혁이 제기되기 이전부터 분야별로 구체화되어 추진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중국정부가 추진하는 첨단제조업 전략인 중국제조2025, 인터넷 융합전략인 인터넷플러스, 혁신창업 생태계 구축 전략인 대중창업 만중혁신과 관련하여 주요 내용과 추진 계획을 살펴보았다. 각 정책별로 중국정부가 주도적으로 지원하고 빠른 성장을 보이며 한국 산업과 협력 또는 경쟁 관계가 예상되는 산업 분야를 선정하여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중국제조2025 사례로는 전기자동차 업체인 BYD를, 인터넷플러스는 자율주행차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는 바이두를, 대중창업 만중혁신은 글로벌 선도업체로 발전하고 있는 드론 제조업체인 DJI를 분석하였다. BYD는 중국정부의 전기차 육성정책과 정부 보조금 지원하에서 배터리 업체에서 전기차 업체로 발전할 수 있었고, 바이두는 글로벌 유수 제조업체들과 협업하여 자율주행차 플랫폼인 ‘아폴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DJI는 중국정부가 드론을 활용한 비즈니스를 허가함에 따라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중국정부는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 육성과 관련하여 대대적으로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는바, 한국정부도 선택과 집중을 통한 신산업 육성과 중국과의 신산업 협력을 모색할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였다.
   제7장에서는 공급측 구조개혁에 대한 종합평가와 과제별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국 공급측 구조개혁은 신창타이 시대에 중진국 함정을 벗어나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발전전략으로 기존 경제학 이론이나 거시경제정책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중국경제의 특수성에 기반한 창의적인 발전전략으로 평가된다. 중국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중국의 특수한 경제현실에 기반한 정부 주도의 총공급 관리라 할 수 있다. 다만 중앙정부의 강력한 구조개혁 과정에서 지방정부 및 국유기업의 저항과 반발을 최소화하고 협조를 얻어내는 것이 개혁 조치 성패의 관건으로 보인다. 지난 3년간 철강, 석탄 산업 설비과잉 해소에는 일정 성과를 거두었으나, 질적 발전과 관련된 구조 고도화 성과는 미흡하거나 평가하기 이른 측면이 있다. 기업부채 축소 과정에서는 부채 총량은 감소하였으나 민영기업의 자금난이 심화되는 부작용이 발생하여 새로운 국진민퇴를 야기하였다. 미중 통상분쟁이 본격화됨에 따라 일부 구조개혁 과제는 속도, 강도 조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공급측 구조개혁이 한국경제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경제가 현 단계의 모순을 넘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총수요와 총공급을 균형적으로 고려하면서 한국경제의 구조적 모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설비과잉 산업에 대한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에는 정부와 시장의 역할이 조화롭게 작용해야 하며 한국의 경우 정부의 역할을 강화하여 설비과잉 업종을 선별하고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정부에 주는 시사점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정부의 과감한 정책 추진과 방향성 제시가 필요하며,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적 지원을 추진할 것을 제시하였다.
   공급측 구조개혁 추진으로 인해 중국이 적극적으로 산업고도화와 구조조정을 추진함에 따라 한중간 산업의 비교우위가 근본적으로 재편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며, 이에 따라 한중 협력 패러다임도 전환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국 전통산업의 구조조정으로 거대한 글로벌 업체가 탄생할 것으로 보이고 산업ㆍ기술 고도화가 본격화되면 한국과는 철강, 조선 분야에서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정부의 설비과잉 해소 범위가 향후 판유리, 시멘트, 조선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바, 관련 산업은 중국발 구조조정 추진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그 파급 영향에 대비해야 한다. 특히 중국발 구조조정이 미치는 글로벌 제품 가격의 동향과 중국 전통산업의 구조 고도화에 따른 기술 추격과 경쟁 관계로의 전환에 대해서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 중국이 추진하는 기업부채 축소와 관련하여 한국 투자자들은 중국 국유기업의 디폴트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고 한국정부는 미중간 통상분쟁으로 인한 중국발 리스크에 대한 대비를 강화해야 한다. 중국정부가 기업원가 절감을 위해 추진하는 감세정책은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도 적용되므로 중국 내 경영환경 개선이 기대되지만, 중국의 환경보호 강화에 따른 환경보호세 부과는 새로운 원가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이 비교우위에 있는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같은 분야에서는 초격차를 유지하고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여 신산업 분야에서 중국과 새로운 분업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표준 선점에 있어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중국 신산업 분야에서 한국기업의 참여ㆍ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중국의 혁신 생태계를 활용하기 위한 창업 협력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Starting from 2012, the Chinese economy has slowed down to enter the era of “New Normal,” where medium-paced growth is the new norm. This means that the Chinese economy has reached the limits of its quantitative growth driven by investment and exports over the last 30 years, and now needs to transition toward a new growth model. In response, the Chinese government has proposed “Supply-side Structural Reform” (SSSR) as a new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in the era of New Normal.
   SSSR signifies a shift away from demand-side quantitative growth toward supply-side qualitative development by upgrading the economy and industry. It means to transform into an innovative economic growth method by rais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through improvements in the technology level, forsaking the previous economic growth method dependent on large-scale input of labor and capital which the Chinese economy has engaged in for 30 years since its reform and opening. The Chinese government plans to overcome the so-called middle income trap through supply-side reforms and lay the foundations for China to rise as a superpower by 2050. SSSR was proposed by President Xi JinPing of China in November 2015 and the year of 2018 is the third year of its implementation. In this report, we analyze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SSSR, and examine in detail the issues of cutting industrial overcapacity, deleveraging corporate debts, lowering corporate costs, and promoting new growth engin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evaluate China’s SSSR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
   Chapter 2 analyzes the background, main contents,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supply side structural reform.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SSSR in terms of the economic system, macroeconomic policy, production factor, industrial factor and financial risk. We als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SSSR in comparison with the Reagan-Thatcher supply policy of the 1980s.
   Chapters 3 to 6 reviewed in detail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of each of the key tasks of SSSR pursued by the Chinese government. Chapter 3 analyzed the measures taken by the Chinese government to resolve industrial overcapacity issues,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has put forward as a top priority. First, we compared the concept of overcapacity and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of overcapacity.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overcapacity-related policies since 2009, but these failed to have a big effect. Then, various SSSR measures were proposed in 2016, leading to intense restructuring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rapid recovery of excess capacity in the steel and coal industries, also elevating the profitability of companies rapidly. During this process of relieving overcapacity, the Chinese government encouraged the reduction of facilities through the integration and consolidation of large state-owned enterpris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merger of Baoshan Steel and Wuhan Steel, China's representative steelmakers, we discussed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Chinese traditional industry and the future strategy in detail. Lastl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cutting industrial overcapacity and discussed opportunities and threats to Korea.
   Chapter 4 analyzed the deleveraging of corporate debt, which is considered to be a major risk for the Chinese economy. We discuss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China’s corporate debt, which has increased at a rapid pace since 2008, by using BIS data. In addition, we analyze Chinese corporate debt by company ownership, industry, and periods, showing that China’s corporate debt has a high proportion of state-owned enterprises, real estate and infrastructure, and long-term bonds. We also analyzed the deleveraging policies by period, the results of which indicate the reduction of corporate debt in 2016-17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financing of private companies rather than the reduction of debt at state-owned enterprises. We discussed the shift to “structural corporate deleveraging,” which emphasizes the reduction of state-owned enterprise debt from 2018. The possibility of China's corporate debt developing into a financial risk is discussed through data analysis of China’s credit gap, credit strength, and ICR. We expect that the rate of change will be controlled and corporate debt will remain within a level manageable by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us the possibility of a financial crisis occurring or spreading to the real economy is low.
   In Chapter 5, we analyzed measures taken by the Chinese government to lower corporate costs and enhance corporate vitality in the market economy. We analyzed the status of China’s corporate cost by classifying it into financing cost, labor cost, tax, energy and raw material cost, logistics cost, environmental cost, land cost, real estate admission cost and institutional transaction cost. China’s corporate costs are increasing in general terms, and labor costs, social insurance costs, and funding costs are a heavy burden on companies. We also discuss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 protection agendas posing a new burden as the Chinese government pursues more eco-friendly policies. By analyzing the transition of business tax to value-added tax (VAT) to reduce the burden of company costs and promote vitality in business activities – thus streamlin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supporting the strategic industry and reducing the social insurance payment rate – we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nd creation of new growth engines through VAT tax reforms by the Chinese government. While the transition of VAT was successful in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there were also evaluations that the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he reduction of the social insurance payment rate did not have a great effect. China has carried out large-scale tax cuts since the US-China trade dispute in 2018, and we expect these to be implemented in a direction that supports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creates new growth engines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hapter 6 analyzes the creation of new growth engines, which is the ultimate goal and mid- to long-term goal of SSSR. Through an analysis of innovation-related data such as the global innovation index, global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R&D investment amount, and patent applications, we confirmed that China’s industrial and innovation competitiveness is improving. Policies related to the creation of new growth engines have been refined and pursued since before SSSR measures were proposed. We also reviewed China’s Made in China 2025 and Internet Plus agenda, and its innovative start-up ecosystem policy. For each policy, we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industries in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has actively supported and show rapid growth, and in which cooperation or competition are anticipated with Korean industries. Our case studies analyze BYD,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Baidu, which is developing its own autonomous vehicle platform “Apollo,” and DJI, a drone manufacturer, as the new engines of China’s economy.
   In Chapter 7, we perform an overall evaluation of SSSR, the results indicating that China's SSSR is a creativ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the uniqueness of the Chinese economy, one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conventional economic theory or macroeconomic policy as a development strategy for sustained and stable growth. This form of government-led total supply management is based on China’s special economic conditions and aims to reconcile the contradictions within the Chinese socialist market economy. However, the key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SSSR measures will be to minimize resistance on the part of local governments and state-owned enterprises and gain their cooperation in the process.
   The policy implications of SSSR on the Korean econom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the Korean economy to take another step beyond its current contradictions at this stage, it will need to balance aggregate demand and aggregate supply.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balance the role played by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in a harmonious manner throughout the restructuring and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in overcapacity industries.  Finall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boldly push forward policies and present its vision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in creating new growth engine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제2장 공급측 구조개혁의 추진 배경 및 특징
1. 추진 배경
     가. 경제체제 요인: 중국 특색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구조적 모순 축적
     나. 거시정책 요인: 총수요 조절 위주의 거시경제정책 한계 봉착
     다. 생산요소 시장 변화: 루이스 전환점 도달 및 자본 한계생산성 하락
     라. 산업적 요인: 전통산업의 심각한 설비과잉 해소 및 신산업 육성 필요
     마. 금융 요인: 실물과 금융 간 리스크 상호 전이 방지
     바. 대외 요인: 철강 등 중국 설비과잉 산업에 대한 주요국의 견제
2. 전개 과정 및 주요 내용
     가. 전개 과정
     나. 주요 내용
3. 특징
     가. 중국경제의 특수성에 기반한 발전전략
     나. 질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 활용
4. 소결


제3장 설비과잉 해소 현황 및 평가
1. 선행연구
2. 설비과잉 발생 배경 및 현황
    가. 설비과잉의 개념
    나. 중국의 설비과잉 발생 배경
    다. 중국의 설비과잉 현황
3. 설비과잉 해소 관련 정책 분석
4. 설비과잉 해소 평가
5. 주요 사례: 바오산강철ㆍ우한강철 합병
6.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기업부채 축소 현황 및 평가
1. 선행연구
2. 기업부채 현황
    가. 중국 부채 현황(비금융기업, 정부, 가계)
    나. 중국 기업부채 구조 및 규모
    다. 중국 기업부채의 주요 특징
3. 기업부채 축소 관련 정책 분석
    가. 2015년 말 이전: 기업부채 문제의 인식
    나. 2015년 말~2017년: 공급측 구조개혁과 ‘기업부채 축소’
    다. 2018년 이후: ‘구조적 부채 감축(结构性去杠杆)’ 정책 추진
4. 기업부채 리스크 평가
5. 기업부채 축소 관련 주요 이슈
    가. 미중 통상분쟁 시기 중국 기업부채 축소
    나. 중국 회사채 디폴트 급증과 국진민퇴(国进民退) 우려 확산
6. 소결 및 시사점


제5장 기업원가 절감 현황 및 정책
1. 선행연구
2. 기업원가 현황
    가. 자금조달 비용
    나. 인건비
    다. 물류비용
    라. 토지비용 및 부동산 임대비용
    마. 기업세
    바. 환경보호 관련 비용
    사. 행정성 지출비용
3. 기업원가 절감 관련 정책 분석
    가. 세금 감면
    나. 행정비용 감축과 행정절차 간소화
    다. 전략산업에 대한 지원정책
    라. 사회보험 납부요율 감축
4. 기업원가 절감 평가
    가. 성과
    나. 문제점
5. 소결 및 시사점


제6장 신성장동력 창출 현황 및 평가
1. 선행연구
2. 신성장동력 창출 현황
    가. 중국 혁신능력 관련 현황
    나. 「중국제조 2025」 관련 현황: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다. 「인터넷+」 관련 현황: 자율주행 자동차를 중심으로
    라. 「대중창업 만중혁신」 관련 현황: 창업 생태계를 중심으로
3. 신성장동력 창출 관련 정책 분석
    가. 첨단 제조업 육성정책: 「중국제조 2025」
    나. 인터넷 융복합 산업 육성정책: 「인터넷+」
    다. 혁신창업 생태계 구축 정책: 「대중창업 만중혁신」 
4. 신성장동력 창출 관련 사례 분석
    가. 중국제조2025관련 사례: 전기차업체 BYD
    나. 인터넷+ 관련 사례: 자율주행플랫폼 업체 바이두
    다. 대중창업 만중혁신 관련 사례: 드론 제조업체 DJI
5. 소결 및 시사점


제7장 결론 및 시사점
1. 공급측 개혁에 대한 평가
    가. 종합 평가
    나. 설비과잉 해소에 대한 평가
    다. 기업부채 축소에 대한 평가
    라. 기업원가 절감에 대한 평가
    마. 신성장동력 창출에 대한 평가
2. 공급측 개혁이 한국경제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3. 공급측 개혁에 따른 한국의 기회와 위협요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64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Working paper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national Production on Global and Domestic Value Chains Following Trade Restructuring and Corresponding International Economic Policies 2022-08-26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제조업 분야 산업정책과 산업구조 변화 연구 2020-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농식품 무역과 통상분쟁 연구 2020-12-30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Policy Analysis The Income-led Growth in Korea: Statu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Countries 2020-10-08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연구보고서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 협력의 비전: 분야별 협력과제와 실현방안 2020-11-30 연구보고서 중국 산업구조 고도화에 따른 한·중 경쟁력 변화와 대응전략 2020-06-29 전략지역심층연구 체제전환국의 민간기업 및 기업가 육성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연구: 러시아,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2020-08-31 연구보고서 자산가격 변화가 경제적 불평등과 대외경제 변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9-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농업분야 4차산업혁명 정책 및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2016년 대북제재 이후 북한경제 변화와 신남북협력 방향 2019-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