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05건 페이지 54/121
-
박영호 아중동팀 연구위원, ‘아프리카 지역 개발원조 간담회’ 토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박영호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아중동팀 연구위원이 8월 8일(화) 서울 외교부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지역 개발원조 간담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였다. 외교부가 주최한 본 회의는 아프리카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평등 발전을 둘러싸고 우리나라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자 마련되었다. 박영호 아중동팀 연구위원은 외교부 측 기조 발표 이후 이어진 자율 토론에서 아프리카의 숙련 노동 및 민간 부문 일자리 양성, 한국기업의 투자를 통한 양국 시너지 효과 제고, 아프리카 농업가치사슬 발전과 공중 보건 역량 배양 등의 이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서울대학교 및 뉴욕주립대학교 등으로부터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아프리카 지역의 개발원조를 둘러싼 해법을 모색했다. * 박영호 구미·유라시아본부 아중동팀 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17/08/08 조회수 1,112
-
곽성일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위원, ‘ICT기업 해외진출 전략 수립을 위한 자문회의’ 토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곽성일 아시아태평양본부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위원이 7월 28일(금) 서울 D.CAMP에서 열린 ‘ICT기업 해외진출 전략 수립을 위한 자문회의’에 참석해 토론을 진행하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주최한 본 회의는 정보통신기술(ICT)산업의 인도, 싱가포르,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지역 진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제언을 구하고,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고충을 청취하고자 마련되었다. 곽성일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위원은 지역 전문가로 참석해 동남아시아국가별 품목에 따른 맞춤형 전략에 대해 토론하고, 각 권역별 시장의 특성과 전략적 가치 및 경제·산업·정책 등 진출 환경 전반에 대한 자문을 이어갔다. 본 회의에는 미래부, KISDI,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 정부기관 동남아시아 전문가들과 기업의 수출 담당자들이 참석해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나누고, 정책적 제안을 제시했다. * 곽성일 아시아태평양본부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28 조회수 899
-
KIEP, ‘The 5th Korea-Ukraine Economic Forum’ 공동주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한국경제학회(KEA), 주우크라이나 한국대사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외교부·경제개발통상부 등 우크라이나 정부기관과 공동으로 주최한 ‘The 5th Korea-Ukraine Economic Forum’이 7월 28일(금, 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개최되었다. KEA가 우크라이나 정부 및 관련기관과의 정보 교류, 협력 증진을 위해 주관한 본 행사는 “Economic Cooperation within the Context of Eurasian Integration(유라시아 통합을 위한 경제 협력)”이란 주제로 진행되었다. 총 4개 세션에서 16편의 논문이 발표된 이번 포럼에서 박정호 KIEP 구미·유라시아본부 러시아·유라시아팀장은 “Trade and Investment(무역과 투자)”에 대한 논의가 오간 제1세션의 발표자로 나서 “Achievements and Tasks: Korean and Ukrainian Economic Cooperation(한·우크라이나 경제 협력의 업적과 과제)”를 주제로 양국의 경제분야 협력 증진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과 우크라이나를 대표하는 정부 및 연구기관, 학계의 경제 전문가들이 모여 인적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우크라이나의 구조조정 및 개혁과정에서 한국과 공동으로 구상 가능한 경제 분야의 협력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 행사명: The 5th Korea-Ukraine Economic Forum- 일시: 2017년 7월 28일(금), 9:00∼18:00- 장소: 우크라이나 키예프-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경제학회(KEA), 주우크라이나 한국대사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외교부·경제개발통상부 등 우크라이나 정부기관- 문의: 구미·유라시아본부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jounghopark@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28 조회수 1,585
-
박영호 아중동팀 연구위원,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확대 전문가 회의’ 발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박영호 구미·유라시아본부 아중동팀 연구위원이 7월 27일(목)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확대 전문가 회의’에 참석하여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본 회의는 최근 아프리카가 신흥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아프리카 국가들의 주요 현황과 전망을 점검하고자 마련되었다. 강명수 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력국장의 환영사로 시작된 행사에서 박영호 아중동팀 연구위원은 “아프리카 진출 확대 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진행하였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전력공사(KEPCO), 수출입은행,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외국어대학교 등으로부터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아프리카 내 한국과의 유망 협력 분야 발굴에 힘쓰고, 우리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 박영호 구미·유라시아본부 아중동팀 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 사진제공: 한국플랜트산업협회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27 조회수 1,141
-
윤덕룡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 ‘2017 thebell 유통 Forum’ 사회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윤덕룡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은 3월 29일(수)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머니투데이 더벨(th bell)이 주최한 ‘2017 thebell 유통 Forum’에 참석하여 사회를 보았다. “‘다가온 퍼펙트 스톰’ 유통업계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포럼에서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갑질과 불공정 거래의 타깃이 되고 있는 프랜차이즈 시장의 상생 모델을 살펴보고, 유통업계 전반의 규제 대응 전략이 논의되었다. 윤덕룡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은 세 개의 세션으로 진행된 전체 행사의 사회를 맡아 프랜차이즈 성장 모델, 대(對)중국 사업의 위기 및 기회 요인,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유통업계의 대응 전략에 대한 발표를 주재하고, 토론 및 질의응답을 나누었다. 이날 포럼에는 국내 주요 유통 및 제약 기업, 경제연구소, 금융회사, 대기업 등 유관단체 유통 전문가 150여 명이 모여 관련 논의를 이어갔다. 포럼 관련기사는 더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26 조회수 1,418
-
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 ‘한국경제, 북방에서 미래를 찾다’ 정책토론회 발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이 7월 21일(금) 서울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한국경제, 북방에서 미래를 찾다”를 주제로 개최된 정책토론회에 참석하여 발표를 진행하였다. 본 토론회는 한국 문재인 정부의 중국 및 러시아를 상대로 한 신(新)북방정책과 국제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와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행사다. 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은 “새로운 대(對)러시아 북방협력 구상”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러시아의 신(新)동방정책 추진 배경과 아태지역 진출 확대로 인한 대외무역 비중 증가, 그리고 투자환경 개선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최근 러시아는 세계은행의 기업환경평가(Doing Business) 순위에서 2010년 120위에서 2015년 62위, 2015년 40위로 급상승했다고 언급하며, 이는 우리나라의 대(對)러 신경제협력 추진에 중요한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심재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김흥규 아주대학교 교수, 나희승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부장,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실장, 박종수 글로벌경제평화연구소 이사장, 임수석 외교부 유럽국장 등 각계의 동북아 전문가들이 참석해 심도 있는 토론을 펼쳤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 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21 조회수 1,625
-
KIEP, ‘KEEP 프로젝트 워크숍’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20일(목)과 21일(금) 양일간 서울 호텔페이토 강남에서 ‘KEEP 프로젝트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KEEP 프로젝트」는 KIEP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고, 실무형 청년 지역전문가를 양성하고자 국내 주요 국제대학원과 함께 운영 중인 개방참여 형식의 프로젝트다. 올해 「KEEP 프로젝트」의 특징은 대학원생과 중소기업이 한 팀을 이뤄 각 국제대학원 소속 교수의 지도하에 실질적인 해외진출을 추진한다는 점이다.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이 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동남아,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중남미, 남아시아(인도) 지역으로의 중소기업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이재영 KIEP 구미·유라시아본부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번 행사에는 박정호 KIEP 러시아·유라시아팀장, 곽성일 KIEP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위원, 정도숙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국사업단 박사, 최윤정 글로벌전략지원단 KOTRA 박사, 임태균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교수가 멘토로 참여했다. 해외진출 관련 실무 교육과 청년참가자에 지역전문가로서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강연은 3개 세션에서 총 8개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세션에서는 김봉훈 맥스틴글로벌 대표가 신흥시장의 기회를 발굴하기 위한 사전준비 방안과 시장 전반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다. 이상현 에어비앤비 정책총괄은 공유경제와 떠오르는 신규산업, 신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을 에어비앤비의 사례를 통해 짚어보았다. 2세션에서는 조용민 구글코리아 부장이 데이터기반 마케팅 방법론과 트렌드를 소개하고, 활용방안에 대해 참가자들과 함께 고민해 보았다. 지식재산권 분쟁 및 기술유출, 제품 모방 등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박상완 지담특허법률사무소 파트너 변리사가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전했다. 이어 박승찬 용인대학교 교수가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리스크 관리 해법에 대해 이야기했다. 마지막 3세션에서는 오승호 한국리서치 차장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설문지 작성 방법과 절차를 소개하고, KIEP의 박미숙 미주팀 전문연구원과 김홍원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 전문연구원이 지역연구의 특징과 연구방법, 현지조사 실전 경험과 준비 팁에 대해 알려주었다.이번 워크숍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청년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상황에서 중소기업과 청년인재의 연결고리가 되어 기업의 인력부족 해소 및 해외진출, 지역전문가 양성에 기여하고 있는 「KEEP 프로젝트」가 참가자들의 역량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된다. - 주제: KEEP 프로젝트 워크숍- 일시: 2017년 7월 20일(목)~21일(금)- 장소: 서울 호텔페이토 강남-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의: 구미·유라시아본부 연구협력팀 정동연 전문연구원(044-414-1167)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21 조회수 1,787
-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 ‘한-중앙아 산림협력 국제세미나’ 발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박정호 구미·유라시아본부 러시아·유라시아팀장이 7월 21일(금) 서울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린 ‘한-중앙아 산림협력 국제세미나’에 패널로 참석하였다. 산림청에서 주관하고 제20대 국회 의원친선협회가 주최한 본 세미나는 유라시아 산림협력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한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 간에 산림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은 국내 전문가로 초청되어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산림정책 및 복원사례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산림생태복원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번 행사에는 손요한 고려대학교 교수, 문인석 외교부 유라시아과장, 최영태 산림청 국제협력담당관 등 국내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한국과 세계 최대 단일 대륙이자, 거대 시장인 중앙아시아와의 산림협력을 통한 상호 경제 교류 활성화 방안 등을 둘러싼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 박정호 구미·유라시아본부 러시아·유라시아팀장 정보 바로가기* 사진제공: 산림청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21 조회수 2,023
-
KIEP,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 (튀니지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ization and Industrial Property 소속의 Chokri Makhlouf 학자)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13일(목) 원내 201호 회의실에서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ization and Industrial Property의 Chokri Makhlouf 학자를 초청하여 방문학자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KIEP 방문학자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학자가 방문기간 중 진행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자 마련된 자리였다. Chokri Makhlouf 학자는 튀니지의 정치 상황 및 역사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관광산업에 대해 소개했다. 특히 ‘아랍의 봄(Arab Spring)’ 전후의 튀니지 관광산업을 분석하며, 다른 아랍 국가들과 산업 현황을 비교하기도 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이권형 아중동팀 팀장, 정재욱 아중동팀 부연구위원 등 원내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발표와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 주제: Tourism Industry and Arab Spring Effects and Perspectives: The Case of Tunisia- 일시: 2017년 7월 13일(목), 10:30~11:30- 발표자: Dr. Chokri Makhlouf (튀니지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ization and Industrial Property의 Chokri Makhlouf 소속)- 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호 회의실- 문의: 구미·유라시아본부 연구협력팀 오지윤 연구원(044-414-1213)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13 조회수 1,215
-
KIEP,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지속 가능한가?’ 심포지엄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한국금융연구센터와 7월 12일(수) 서울 명동 은행회관 8층 대회의실에서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지속 가능한가?”를 주제로 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최근 브렉시트(Brexit) 및 중국의 성장 둔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같은 세계적인 변화에 직면해있는 가운데 한국 경제의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 가능할지 여부를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김준동 KIEP 부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무역비중이 감소하는 와중에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폭은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심층적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어 환영사를 한 신관호 한국금융연구센터 소장은 미국 중심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있음을 언급하고, 이러한 상황은 세계경제성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한국경제에 유리하지 않다는 우려를 내비쳤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김효상 국제금융팀 부연구위원은 “경상수지 흑자구조 지속에 대한 평가 및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국의 경상수지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단기적으로 유가하락, 중장기적으로는 인구구조의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한치록 고려대학교 교수가 글로벌 가치사슬과 무역수지의 환율탄력성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한치록 교수는 미국이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를 근거로 ‘환율조작국’ 압박을 가하고 있는데 이는 무역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환율이 경상수지를 결정하는 데 제한적인 역할만을 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마지막 패널토론에서는 정지만 상명대학교 교수의 좌장 하에 김형주 LG경제연구원 박사, 박성욱 금융연구원 박사, 양두용 경희대학교 교수, 정혁 서울대학교 교수, 황건일 기획재정부 국장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토론 참석자들은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의 향방을 논의하고, 고령화, 글로벌 가치사슬의 완화 등 경상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봤다. 환율의 국제수지 조정기능이 약화된 원인과 한국의 외환관리 방향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도 점검했다.이번 심포지엄은 6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한국의 경상수지에서 환율의 조정역할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경상수지 관리방안을 논의해보는 뜻깊은 자리였다. - 주제: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지속 가능한가?- 일시: 2017년 7월 12일(수), 14:30∼17:30- 장소: 서울 명동 은행회관 8층 대회의실-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금융연구센터- 문의: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거시팀 이진희 연구원(044-414-1183)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7/12 조회수 2,396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