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03건 페이지 27/121
-
김흥종 원장, 美 다큐멘터리 출연, “한국경제 발전과 한미관계” 주제로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김흥종 원장이 미국 공영방송 PBS(Public Broadcasting Service)의 대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인 에 출연하여 “한국경제 발전과 한미관계”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미국 외교정책협회(Foreign Policy Association)가 제작하고 PBS를 통해 미 전역에 송출되는 본 프로그램은 195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정치 분야 이슈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한국의 경제 변화 및 미국과의 관계를 조명한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김흥종 원장을 비롯해 게리 코놀리(Gerry Connolly) 미국 민주당 하원의원, 마크 리퍼트(Mark Lippert) 전 주한 미대사, 웬디 커틀러(Wendy Cutler) 전 USTR 부대표, 이수혁 주미대한민국대사, 존 볼턴(John Bolton)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캐슬린 스티븐스(Kathleen Stephens)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 및 전 주한 미대사, 크리스 머피(Chris Murphy) 미 코네티컷주 민주당 상원의원, 토마스 번(Thomas Byrne)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 등 20명의 전문가 인터뷰가 담겼다. 김흥종 원장은 1950년대 이후 한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과 관련하여 “한국전쟁 직후 한반도는 인적 자원에 의지하여 발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이것이 개개인의 역량이 뛰어난 현재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의 재벌시스템에 대한 정의와 미중 무역분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했다. 전체 인터뷰 영상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은 2020년 8월 온라인에 우선 송출되었으며, 2020년 12월 미국 PBS 방송을 통해 오프라인으로도 방송될 예정이다.* 인터뷰 영상 바로가기* 김흥종 원장 정보 바로가기※ 출연진(알파벳순)Aum, Frank / Senior Expert,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Bera, Ami / U.S. Representative from California, Chairman of the East Asia Subcommittee of the House Foreign Affairs Committee and Former Co-chair of the House Korea CaucusBolton, John / Former U.S National Security AdvisorByrne, Thomas / President, Korea SocietyCain, Geoffrey / Author, Samsung RisingCho, Michelle / Assistant Professor,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TorontoConnolly, Gerry / Member of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from Virginia’s 11th DistrictCutler, Wendy / Chief negotiator for the U.S in KORUS negotiations; Vice President, Asia Society Policy Institute Davis, Daniel / Senior Fellow, Defense PrioritiesDenmark, Abraham / Former Deputy Assistant Secretary, Defense for East AsiaGutierrez, Carlos / Former U.S Secretary of CommerceKang, David / Professor and Director of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t USC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Kim, Heungchong / President, Korea Institute for Intermational Economic PolicyLee, Jessica / Senior Research Fellow, Quincy InstituteLee, Soo Hyuck / South Korean Ambassador to the U.S.Lee, Sung-Yoon / Assistant Professor, Korean Studies Fletcher School, Tufts UniversityLippert, Mark / Former U.S. Ambassador to South KoreaMurphy, Chris / U.S. Senator from ConnecticutStephens, Kathleen / Former U.S. Ambassador to South KoreaTerry, Sue Mi / Senior Fellow, Korea Chair, CSIS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9/11 조회수 2,961
-
KIEP, ‘KEEP 프로젝트 워크숍’ 개최…청년과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9월 4일(금) 온라인 세미나 형식으로 ‘2020 KEEP 프로젝트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KIEP가 2013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는 「KEEP(KIEP Emerging Economies Pathfinder) 프로젝트」는 신흥지역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과 청년 참가자가 한 팀을 이루어 지역전문가(멘토)의 지도하에 실질적인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팀별로 진출 업종과 신흥시장 특성에 맞는 활동목표 수립, 현지출장 등을 통한 정보 수집, 바이어 미팅 및 협력사 발굴 등 해외 진출에 필요한 다양한 조사·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는 동남아시아(베트남, 인도네시아), 남아시아(인도), 중국, 아프리카(나이지리아)로 진출하고자 하는 5개 팀이 본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웨비나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충제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작년 KEEP 프로젝트 최우수팀의 활동내용 공유, 전문가 특강, 중간보고 및 멘토링이 이어졌다. 전문가 특강에는 스타트업 자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딜로이트 컨설팅의 고객산업본부 공공부문 김정열 상무가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중소기업의 신흥시장 진출 방안’을 주제로, 글로벌 기업 관계자가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인재의 기준은?’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여 국제대학원 학생들의 역량강화 기회를 제공했다. 이후 각 팀의 탐구 진행상황 중간보고와 지역전문가의 멘토링이 이어졌다. 박영호 KIEP 선임연구위원, 국중수 GS건설 책임, 이충열 고려대학교 교수, 박소영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 김봉훈 맥스틴글로벌(주) 대표 등 연구 및 실무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멘토단은 현지 정보와 경험을 토대로 멘티들의 탐구조사 보완 방안과 현지 진출 전략에 대해 조언했다. KEEP 프로젝트 팀별 탐구활동은 오는 10월까지 진행되며, 이후 탐구 결과에 대한 평가와 시상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행사명: 2020 KEEP 프로젝트 워크숍 - 일시: 2020년 9월 4일(금) 10:00~17:00-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의: 세계지역연구센터 유인지 연구원(044-414-1544)※ 본 행사는 정부의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수칙 준수 하에 진행되었습니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9/04 조회수 3,089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 및 한국의 역할 논의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8월 19일(수)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고 코로나19 팬데믹을 둘러싼 국제사회와 한국의 대응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국경을 초월한 보건안보 위험에 직면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어떤 방식으로 국제협력을 선도하고, 국제사회와 연대해 나갈 것인지 모색하는 자리였다. 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긴밀한 국제공조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면서, 국제사회에 한국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KIEP와 각 분야 전문가들의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양수길 UN 한국 SDSN 회장이 “코로나시대 한국의 역할”에 대해 발제하고, 문진영 KIEP 글로벌전략팀장이 “한국의 코로나 방역 대응”에 대해 발표했다. 강선주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교수가 “코로나19와 글로벌 협력”을 주제로 발표한 후, 김흥종 원장의 주재 하에 학계, 싱크탱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과 한국의 역할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진행했다.- 행사명: 팬데믹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과 한국의 과제 간담회- 일시: 2020년 8월 19일(목), 10:00~12:00- 장소: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코스모스룸-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담당자: 국제개발협력센터 글로벌전략팀 나승권 전문연구원(044-414-1130)※ 본 행사는 정부의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수칙 준수 하에 진행되었습니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8/19 조회수 2,960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가치사슬(GVC) 변화 전망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한미경제연구소(KEI)와 공동으로 8월 5일(수) 본원 333호에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가치사슬(GVC) 변화 전망’ Webinar를 개최하였다. 웹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 이 행사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GVC의 변화, 주요 국가들의 현황과 향후 전망을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코로나19는 세계경제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생활방식, 특히 기존 무역질서와 글로벌가치사슬(GVC)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번 사태가 GVC의 효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Kathleen Stephens KEI 소장은 이런 시점에서 금번 웨비나를 통해 코로나19 이후의 GVC 변화양상과 전망에 대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식견이 공유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Marcus Noland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부소장 역시 코로나19로 GVC가 여러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는 가운데 세계 공급체계의 미래를 전망하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Troy Stangarone KEI 선임연구원이 사회를 보는 가운데 최낙균 KIEP 선임연구위원과 Jeffrey Schott PIIE 선임연구위원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최낙균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GVC가 점차 얼어붙고(frozen) 있는 점에 우려를 표하며, 미중 갈등과 보호무역주의 심화가 한국 및 동아시아 국가들의 교역관계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고 밝혔다. Jeffrey Schott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와 미중 갈등이 GVC에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있는데, 이런 추세는 코로나19 극복 후에도 지속 가능한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기업 리쇼어링과 관련하여 최낙균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한국의 리쇼어링 사례는 10건 내외로 한국 기업은 리쇼어링보다 원자재, 부품, 상품재고의 수준 높은 관리를 통해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Jeffrey Schott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의 경우 대선 결과와 향후 대외정책기조 변화에 따라 기업 리쇼어링 정책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낙균 선임연구위원은 세계는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GVC가 외부충격을 견딜 수 있으며(resilient), 자율적인(autonomous) 상태에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양측 토론자는 글로벌가치사슬(GVC)이 지역가치사슬(RVC)로 재편되면 각 지역 허브국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Jeffrey Schott 선임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과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을 통한 국가들의 능동적인 역할과 참여가 요구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토론자들은 서비스무역, 한중일 FTA 등 온라인 시청자들이 사전에 보내온 질문에 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가치사슬(GVC) 변화 전망- 일시: 2020년 8월 5일(수), 21:00~22:00- 장소: 세종시 국책연구단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미경제연구소(KEI)- 문의: 선진경제실 미주팀 임지운 전문연구원(044-414-1273)* 웨비나 영상 보러가기: KIEP 유튜브 채널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8/05 조회수 6,337
-
과거사와 수출규제를 넘어, 구조적 대전환기의 한일관계 논의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30일(목)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와 공동으로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구조적 대전환기의 한일관계’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조치 이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과거사·수출규제·외교안보 문제와 더불어 최근 코로나19 협력까지 한일관계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한 가운데 양국의 전문가들이 모여 의견을 교류하는 자리였다. 김흥종 KIEP 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일본 수출규제 이후 한일관계가 냉각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코로나19 극복과 미·중 통상갈등이라는 중차대한 현안을 놓고 양국이 협력의 접점을 찾아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본 행사를 통해 한일관계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일관계에 대한 건설적인 토론과 창의적인 해법이 나오길 바란다고 밝혔다. 길홍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사무총장은 개회사에서 코로나19라는 전 세계적인 위기 상황에서도 한국과 일본의 관계 회복에 진전이 있었던 만큼, 이번 국제 심포지엄이 일본의 수출규제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의미 있는 토론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수훈 경남대학교 교수(前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는 축사를 통해 코로나19 사태에서 한국과 일본은 자원을 모으고 협력관계를 모색해야 하며, 이번 포럼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한일 관계를 미래 지향적인 방향으로 인도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개회식에 이어 재레드 다이아몬드(Jared Diamond) UCLA 교수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세계사의 대전환과 한일관계”를 주제로 화상 기조강연을 했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코로나19는 세계적인 공조가 필요한 사상 첫 전염병이라고 밝히며, 이로 인한 협력을 계기로 한국과 일본은 물론 전 세계가 기후변화나 자원,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도 강화해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제1세션은 김현철 서울대 일본연구소 소장의 사회로 “수출규제 1년과 한일관계의 현 주소”라는 주제 하에 3명의 전문가 발제가 있었다. 정성춘 KIEP 부원장은 일본의 수출규제 과정과 이후 양국에 미친 영향, 향후 한일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야마구치 지로 호세이대학교 교수는 코로나19로 드러난 일본의 민족주의를 소개하고, 알렉시스 더든(Alexis Dudden) 코네티컷대학교 교수는 한일 관계의 역사 속 미국의 역할을 조명했다. 제2세션은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의 사회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일협력과 동북아”를 주제로 3명의 전문가 발제가 있었다. 최희식 국민대학교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한 한일 관계의 변화를 살피고 해법 모색에 대한 의견을 제안했다. 기미야 다다시 도쿄대학교 교수는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양국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제프리 킹스턴(Jeffrey Kingston) 템플대학교 교수는 동북아 국제 정세에 대한 진단과 추후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이후 나카노 고이치 소피아대학교 교수, 이왕휘 아주대학교 교수, 리청르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손열 연세대학교 교수의 활발한 토론과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주제: 구조적 대전환기의 한일관계- 일시: 2020년 7월 30일(목). 13:00~17:50- 장소: 서울 더플라자호텔 다이아몬드홀(22F)- 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주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문의: 일본동아시아팀 김승현 전문연구원(044-414-1035)* 세미나 발표자료 보러가기: 국제심포지엄 보도자료 별첨* 세미나 관련기사 보러가기: 매일경제, 아주경제, 더리더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7/30 조회수 3,139
-
KIEP, 국제개발협력센터 신설 및 ODA 정책연구·전략평가 기능 강화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13일(월)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연구 및 전략평가 기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국제개발협력센터를 신설하고, 기존에 단일팀으로 운영해온 개발협력 연구를 국제개발협력센터 내 △정책분석팀 △전략평가팀 △글로벌전략팀 등 세 개 팀으로 확대·개편했다. 한국은 2009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 가입 이래 ODA의 양적 확대 및 질적 제고를 위해 노력해온 만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국제개발협력 기본법 개정에 따른 국무조정실의 개발협력정책 및 사업총괄 기능 강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한 개도국의 경제·사회 위기 극복방안 및 글로벌 협력전략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KIEP는 2008년 국책연구기관 중 최초로 개발협력정책 연구부서를 설치하고, 정부의 개발협력정책 수립 및 이행을 지원하며 ODA 평가 전문성을 확보해왔다.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국제개발협력 정책 및 전략 분석, 프로젝트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연구 및 평가업무를 강화할 예정이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7/13 조회수 3,132
-
2020년도 KIEP 연구자문위원회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10일(금) 2021년 사업계획 검토 및 발전방안 논의를 위한 ‘KIEP 연구자문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본 회의는 국내 연구기관, 정부부처, 경제계, 학계 전문가들을 모시고 기관의 차년도 연구과제 선정 및 추진 등과 관련된 자문을 구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전문가들은 현재 KIEP의 내부여건과 외부 고객들의 수요를 반영한 각 분야별 사업목표, 연구과제 및 개별사업 등에 대해 의견을 개진했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연구자문위원들의 고견을 연구과제와 사업에 적극 반영토록 하겠으며, 추가적으로 필요한 연구주제에 대해서는 수시연구과제 등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에는 KIEP 전임 원장들을 비롯해 손동균 국무조정실 개발협력정책관, 정대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 김영재 외교부 국제경제국장, 김영민 LG경제연구원장,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 이병헌 중소기업연구원장, 이종건 KOTRA 통상협력실장이 연구자문위원 자격으로 참석했다.- 행사명: 2020년도 KIEP 연구자문위원회- 일시: 2020년 7월 10일(금), 17:30~20:00-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본 행사는 정부의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수칙 준수 하에 진행되었습니다.(단체사진 촬영 후 마스크를 착용하였습니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7/10 조회수 2,633
-
KIEP-전경련,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경제 전망 및 위기 대응전략 모색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은 7월 6일(월)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된 이 행사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능가하는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계경제를 전망하고 글로벌 리스크 분석을 통해 대응전략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코로나19 국면에서 미·중 통상갈등이 심화되고, 자국우선주의가 강화되는 등 한국경제가 직면한 대외 통상환경이 매우 엄중하다고 밝혔다. 이런 때일수록 우리나라는 IT 강국으로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를 선도할 기술혁신과 더불어 신남방·신북방 등 새로운 지역과의 경제협력 강화 및 유럽과의 협력 관계 구축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올해 하반기에도 코로나19가 지속될 경우, 대출상환 유예기간이 끝나는 10월부터 유동성 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국민이 70년대 오일쇼크, 90년대 IMF 외환위기, 2000년대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한 DNA와 경험이 있는 만큼 코로나19 위기도 기회로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자고 말했다. 기조연설을 진행한 앙가나 배너지(Angana Banerji) IMF 아태국(Asia Pacific Department) 시니어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일부 아시아국가에서 경기회복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어 2021년에서야 본격적인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성백린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지난 100여 년간 이념 중심으로 진행되어온 전쟁이 바이러스와의 전쟁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바이러스 대응은 인류 공통의 전략적 신산업이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음으로 세계 주요 지역별 하반기 경제전망과 리스크 요인에 대한 KIEP 연구진들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윤여준 미주팀장은 금년도 2분기 미국경제는 경제활동이 상당 부분 재개되고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V자형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양평섭 중국경제실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은 여타 거대 경제권에 비해 코로나19 수습이 빨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중 갈등으로 인한 리스크 요인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동희 유럽팀장은 유로지역은 거의 모든 국가가 도시봉쇄(lockdown)를 감행함에 따라, 그 어느 지역·국가보다 코로나19의 경제적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규판 선진경제실 선임연구위원은 2020년 일본경제는 대면 서비스산업 둔화와 제조업 경쟁산업 수출 감소로 –5.0%의 성장률을 예상하며, 경기회복은 2021년 2분기가 되어서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영식 신남방경제실장은 2020년 ASEAN 경제는 △제한된 코로나19 확산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대응 △상대적으로 낮은 국내 서비스산업 비중 등을 근거로 –2% 전후의 성장률을 예상했다. 김정곤 인도남아시아팀장은 인도는 지난 5월초 단계적 봉쇄령 해제 이후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는 추세라고 밝히며, 이에 따른 경제성장률은 –3.2%~-5.2%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제: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 전망과 한국의 대응- 일시: 2020년 7월 6일(월), 14:00~16:10- 장소: 서울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홀(* 유튜브 생중계)-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전국경제인연합회(FKI)- 문의: 일본동아시아팀 손원주 연구원(044-414-1287)* 세미나 발표자료 보러가기: 2020년 FKI-KIEP 공동세미나* 세미나 관련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 뉴시스, 뉴스1, 조선일보, 한국경제, 경향신문, MBC, 이투데이, 디지털타임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7/06 조회수 4,391
-
KIEP, 한반도 정세 평가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협력 논의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은 6월 18일(목)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한반도 정세 평가와 남북협력의 대안적 모색”이라는 주제로 ‘2020년 한반도 신경제포럼’을 개최하였다.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생중계된 이 행사는 국내 전문가들이 모여 최근 북한의 대(對)남 강경기조로 불안정해진 한반도 정세에 대해 평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협력 가능성과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심화된 미·중 갈등은 이들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한반도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의 연이은 대남 강경기조는 북한 내부사정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의 불확실성이 연계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며, 이런 때일수록 남북이 상호 신뢰를 잃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KIEP에서는 ‘(가칭)경제협력에 관한 남북 기본합의서(남북 CEPA)’ 체결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남북 교류의 제도적 틀을 고민해온 만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협력을 위한 정책과 대북제재 관리 방안을 모색해나가겠다고 언급했다. 정세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기조연설에서 최근 격화된 북한의 대남 강경기조와 관련하여 당분간 더욱 강경한 메시지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미국과 협의하여 4·27 판문점 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 등을 확실히 이행하겠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해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포함한 남북 정상 간 합의 내용 이행이 가능한 국제정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본 세션에서는 이승환 민주평통 사무처장이 사회를 보는 가운데 “한반도 정세 평가와 남북협력의 대안적 모색”이라는 주제로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부총장, 엄주현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사무처장이 각각 △정치·군사분야 △남북경협분야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발제와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북·중 국경 폐쇄 등의 여파가 유엔안보리 제재의 장기화로 어려워진 북한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될지라도 전 세계적으로 인력과 물자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가 재조정되고 있어, 북한의 대내외 환경은 이전과 같을 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부총장은 최근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의 원인으로 △북한 내 경제적 위기 △북미 대화 및 남북 관계에서 누적된 실망감 등을 꼽았다. 또한 현재 한반도 정세가 매우 엄중하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보건의료협력이 남북 관계에 새로운 기회요인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엄주현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사무처장은 최근 북한의 강경기조에 대해 대외적으로는 미 대선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내부적으로 결속을 도모하기 위한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향후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2018년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한 남북보건의료협력이 인도적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제: 한반도 정세 평가와 남북협력의 대안적 모색- 일시: 2020년 6월 18일(목), 9:30~12:00- 장소: 서울 포시즌스 호텔(* 유튜브 생중계)- 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문의: 통일국제협력팀 이정균 전문연구원(044-414-1084)* 세미나 발표자료 보러가기: 2020년 한반도 신경제포럼* 세미나 관련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 뉴시스, 뉴스1, 조선비즈, 머니투데이, 헤럴드경제, 아시아경제, KBS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6/18 조회수 3,343
-
제11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에 김흥종(金興鍾) 원장 취임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제11대 원장으로 김흥종(金興鍾) KIEP 선임연구위원이 취임하였다.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5월 29일(금) 서울 여의도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제285차 정기이사회를 열고 제11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으로 김흥종(金興鍾) KIEP 선임연구위원을 선임 및 임명했다. 김흥종 신임원장은 6월 1일(월) 세종국책연구단지 A동 1층 대강당에서 취임식을 가지고 공식 업무를 시작하였다. 김흥종 원장은 취임사에서 KIEP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새롭게 수립하는 연구기관인 만큼 사명감을 가지고 업무에 임할 것을 당부했다. 국가적 과제를 발굴하는 전문성 있는 연구기관, 그리고 KIEP 가족과 더불어 국민에게 신뢰받는 연구기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자고 강조했다. 또한 직장은 구성원의 인격집합체이므로 직원들 간 상호존중을 부탁하며 취임사를 마무리지었다. 김흥종 원장은 EU·유럽지역과 FTA·국제통상 분야 경제 전문가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김 원장은 외교통상부 한-EU FTA 전문가 자문위원, 한국국제경제학회·한국EU학회·한국국제통상학회 부회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및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겸임교수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미국 UC 버클리 대학교에서 풀브라이트 방문학자를 지냈다.- 신임원장 약력 - <학 력>ㅇ 1999.02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졸업(경제학 박사)ㅇ 1995.06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경제학과 졸업(MPhil in Economics)ㅇ 1989.02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졸업(경제학 석사)ㅇ 1987.02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경제학 학사)<주요경력>ㅇ 2001.06 ~ 2020.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원장(제2본부장, 경영기획본부장)/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연구조정실장/유럽팀장/선임연구위원ㅇ 2008.08 ~ 2009.07 미국 UC 버클리 대학교 풀브라이트 방문학자ㅇ 2000.04 ~ 2001.04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명예펠로우ㅇ 1996.01 ~ 1996.08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ㅇ 외교통상부 한-EU FTA 전문가 자문위원ㅇ 한국EU학회 부회장, 한국국제통상학회 부회장 ㅇ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 ㅇ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6/01 조회수 8,242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